교육 사회학 2

번스타인의 정밀어와 한정어 3. 교육적 가치와 시민 교육

한정어와 정밀어의 구분 방식이 갖는 교육적 가치와 맞물린 ‘탄력적 소통 교육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규정된다. • 탄력적 소통 교육은 이념보다는 문제의 공유를 우선시하기 때문에 계층 및 계층 간 관계에 대한 이해를 우선시한다. 다시 말해, 각 계층에 대한 도덕적 평가는 탄력적 소통 교육에서는 일단 유보된다. 탄력적 소통 능력의 발휘가 그러한 도덕적 판단을 무시하는 것은 아니다. 특정 계층에 대한 도덕적 평가는 단순히 해당 계층 구성원들이 선한지 악한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다. 그 평가는 어떤 계층을 보호 대상으로 삼을지, 약화 대상으로 삼을지, 강화 대상으로 삼을지에 대한 판단을 요구한다. 특정 계층에 대한 도덕적 평가는 개인의 선보다는 공동체의 조화로운 유지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특정 계층을 사회..

번스타인의 정밀어와 한정어 2. 논쟁

번스타인의 연구는 1960년대 말에 진행되었다. 당시에는 지금보다 정보의 계층 간 이동이 원활하지 못했다. 노동자 계층의 상당 부분은 빈곤층, 흑인 및 소수 인종 사람들이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한 사람들은 교육에서 상대적 약자 계층을 형성했으며, 지역적으로도 격리되어 있었다. 반면에 중산층 사람들의 정보 활용 방식은 지리적, 문화적, 사회적 측면에서 그 분포 범위가 넓고 활동적이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중산층 아이들은 탄력적 소통, 즉 상황에 따라 정밀어와 한정어 표현을 혼용하여 소통하는 방식에서 더욱 탁월한 능력을 보일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 점은 과거의 사실일 뿐이다. 그것을 정보의 공유가 손쉬워진 지금의 상황에 직접 적용하기는 힘들다. 공교육의 경우, 과거보다 다양한 계층이 뒤섞여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