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연 4

외연과 내연의 비대칭성: 집합론적 해석

2.6. 내연과 외연의 비대칭성 2.6.1. 외연 생략 2.6.2. 내연 1 생략 2.6.3. 내연 2 생략 2.6.4. 추상적이면서 보편적이지 않은 수들 생략 2.6.5 비대칭성 엄격한 분류에 따른 경우, ‘개’의 외연과 ‘포유류’의 외연을 비교해 봅시다. 후자의 외연이 전자의 외연보다 큼을 알 수 있습니다. 모든 개들은 포유류이기도 하니까요. 이를 논리적 집합들의 관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 {x|개(x)}⊊{x|포유류(x)} 그런데 ‘개’의 내연은 ‘포유류’의 내연보다 큽니다. 모든 개들은 포유류의 공통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개’의 내연이 ‘포유류’의 내연보다 크다는 것은 무엇을 뜻할까요? 개를 정의하거나 설명하려 할 때 포유류의 공통 특징을 거론해야 합니다. 개의 정의는 ‘개는..

논리학 퀴즈: 논리적으로 가능하다는 것

* 시중에 도는 국내외 논리학 입문서 및 비판적 사고 교재들의 내용을 고려할 때, 대학에서 해당 과목을 이수한 학생들도 다음 퀴즈를 풀기는 힘들 것이다. 아무튼 관심 있는 사람은 도전해 보시길 ... 다음은 포유류, 개, 푸들, 고양이, 순이, 왈도의 외연적 관계를 나타낸 그림입니다. 위 ..

인간과 동물 4. 속성 존재론의 문제(철학자는 안 보는 것이 정신건강에 좋음)

개별적 대상들을 서술하는 방식이 반드시 주어와 술어의 문법적 구조를 전제하는 것은 아니다. 명사들로만 구성된 언어도 있기 때문이다. 우리말도 주어와 술어의 문법적 구분을 갖고 있는 언어이다. 하지만 우리말이 주어와 술어의 엄격한 논리적 구분을 갖고 있다고 그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 반면에 영어, 불어 등 인도유럽어족 대부분의 언어들은 그러한 논리적 구분을 갖고 있다. 주어와 술어의 문법적 구분이 아닌 엄격한 논리적 구분이란 무엇인가? 그러한 논리적 구분을 갖는 언어는 다음을 만족한다. (i) 엄격한 의미에서의 논리적 주어는 특정 개별적 대상을 지칭한다. (ii) 모든 개념 F는 논리적 술어 ‘x is F’, 즉 F(x)로 대체 가능하다. ‘x’는 개별적 대상을 지칭하는 임의의 논리적 주어를 나타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