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tilitarianism 3

철학자들의 행복: 벤담 3. 블랙스톤과 벤담, 법제와 도덕적 권리의 관계

벤담이 법 이 전에 주어진 혹은 법보다 우선하는 자연법 및 도덕적 권리를 부정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 물음을 살펴보려면, 당시 자유와 도덕적 권리의 관계에 대한 주류 입장을 알 필요가 있다. 로크와 블랙스톤(W. Blackstone)으로 대변된 그 주류 입장에 따르면, 시민으로서 개인의 자유는 자연법을 모방한 법제에 의해 촉진 가능하다. 그 법제는 자연법에 근거한 도덕적 권리들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로크의 행복론에서 자연 상태는 법제 없이 합리적 판단 능력의 발휘만으로도 조화로운 공동체 유지가 가능한 상태이다. 소유를 법적 권리로 보장할 필요가 없는 상태인 것이다. 자연을 이용해 인간에게 유용한 것을 만들고, 유용한 것들을 삶에 정착시키는 것은 로크에게는 신에 대한 의무를 다하는 것이다. 유용..

벤담, 사실과 법적 허구(Bentham on Facts and Legal Fictions)

결과주의(consequentialism)를 대표하는 행위 공리주와(act utilitarianism) 규칙 공리주의(rule utilitarianism)의 모태인 고전적 공리주의(classical utilitarianism) 혹은 쾌락 공리주의(hedinostic utilitarianism)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 인물 벤담(J. Bentahm)! 벤담을 소개하는 위키, 다음, 네이버 포털 사이트 정보나..

공리주의 이해에 대한 기초 테스트 하나

* 다음은 논술 등에서 학교마다 다른 방식의 정의로 학생들에게 혼선을 주는 공리주의의 이해를 도와주기 위한 기초 테스트 중 하나이다. 다음 테스트를 개발자 이상하의 허락 없이 변형하여 사용하는 것을 금한다. [퀴즈] 다음 글의 빈 칸을 채워 본다면?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cock25king/222016355257 퀴즈: 공리주의 이해에 대한 기초 테스트 하나 * 다음 퀴즈는 2007년 대학 강의를 그만두고 이런저런 일 하다가 초등부터 고딩까지 학생들을 가르쳤던 시...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