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K 비판적 사고/GCTC 퀴즈, 단문, 중문 추론

추리 논증 훈련 6-7. D.J. 코코모(결론 강화/유사한 논증 찾기)

착한왕 이상하 2023. 3. 26. 16:23

주어진 전제로부터 그럴듯한 결론을 끄집어내는 논증 과정은 귀납으로 분류된다. 인과 논증이 항상 귀납 논증으로 분류되는 것은 아니지만 귀납 논증을 대표하는 하나의 논증 유형에 해당한다. 결론을 강화시켜 준다는 것은 어떤 전제를 보충함으로써 귀납 논증의 결론을 더욱 그럴듯하게 해준다는 것이다. 특히 결론이 어떤 원인의 결과인 경우, 결론을 강화시켜 주는 전제는 결과에 대한 증거나 원인들과 결과를 연결시켜 주는 숨은 가정이 된다.

 

유사한 논증 찾기 문제를 접할 때, 주어진 논증이 연역과 귀납 중 어느 쪽에 가까운지를 먼저 구분해야 한다. 그러한 구분을 ‘논증의 범주적 구분’이라고 하자. 실제 내용적 논증에서 연역과 귀납의 엄격한 구분은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논증의 범주적 구분의 내용적 기준은 무엇인가? 전제들을 근거로 결론이 논증 맥락에서 예외를 허용한다는 점에서 그럴듯하다면, 해당 논증은 귀납에 가깝다. 예외를 허용한다고 보기 힘들수록 해당 논증은 연역에 가깝다. 인과 논증, 상관관계 논증, 유비 논증, 가설 추리 논증 등 여러 종류의 논증이 있기 때문에, 논증의 범주적 구분에 뒤따를 작업은 논증의 종류 파악과 논증의 구성 방식에 주목해야 한다.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3055968129

 

추리 논증 훈련 6-7. D.J. 코코모(결론 강화/유사한 논증 찾기)

주어진 전제로부터 그럴듯한 결론을 끄집어내는 논증 과정은 귀납으로 분류된다. 인과 논증이 항상 귀납 논...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