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과 철학 에세이/비판적 사고 56

사르카즘, 나쁜 것을 암시하는 좋은 것

2024년 12일 9일, 전남대 철학과 P 교수의 사르카즘 혹은 사캐즘(Sarcasm) 사건이 있었다. 20-30대 남성 집회 참가율이 저조하다면서 P는 어느 팟캐스트에서 “20대, 30대 남성들에게 알려주고 싶은 정보가 있다. 여자분들이 집회에 많이 나온다”라고 말했다. P의 말은 20-30대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들도 조롱하는 뉘앙스를 담고 있어 곧 구설수에 올랐다. 그러자 P는 자신의 발언이 ‘철학적 풍자’라면서 ‘사르카즘’을 운운했다. 의미있는 풍자는 사물이나 현상을 다른 방식으로 보도록 해 주다. 그가 운운한 사르카즘은 그런 풍자가 아니라 비아냥거림이다. 철학 교수라 그런지 고상한 단어들을 사용하던데, 나 같이 실력이 뒤처진 사람이 어찌 P를 함부로 비판할 수 있겠는가. 다만 나도 학위는 갖고 있..

나비 부인과 푸치니의 눈물, 검열관이 되려는 일부 페미니스트들

자코모 푸치니(G. Puccini)의 3막 오페라 ‘나비 부인(Madame Butterfly)’은 미국의 변호사이자 작가 존 루터 롱(J.L. Long)의 1898년 작 동명 단편 소설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롱은 선교사 부인으로 일본에 건너갔던 누이의 경험담 그리고 프랑스 해군 장교이자 작가 피에르 로티(P. Loti)의 1887년 반자전적 소설 Madame Chrysanthème)>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로티의 소설은 19세기 중엽 이후 유럽에서 유행한 자포니즘(japonisme)의 영향을 받은 작품이다. ‘자포니즘’은 일본 취향을 예술 장르 속에 녹여 내려는 사조를 뜻하는 용어이다. 푸치니 이 전에도 일본을 배경으로 한 19세기 오페라들이 있었다. 생상스의 1872년 오페라 ‘동양의 공주’, 길버..

스포츠화된 지능, IQ 276? 근거 없는 추정

* 2024년 세계기억력대회에서 우승한 한국인의 IQ가 무려 276이라는 기사가 떴다. 그 276의 IQ는 어떻게 나온 것인가? 현대 인지과학이나 인지심리학 연구자들의 동의를 얻을 수 없는 추정치다. 한마디로 근거 없는 추정치이다. 이 짧은 글에서 전문적 논의 없이 이를 보일 것이다. 먼저 ‘복잡한 문제 해결 능력=지능= 높은 IQ’라는 공식의 맹점을 지적할 것이다. 그리고 스포츠화된 지능의 일종으로 세계기억력대회의 IQ 추정의 허점을 지적할 것이다. 문제 해결 능력이 정말 IQ로 테스트 가능한 요인들에 전적으로 의존한다면, 그리고 그 요인들이 타고난 것이라면,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하려는 노력은 큰 의미를 가질 수 없다. 그렇지 않다면, 관심을 가지고 주목한 문제들을 놓고 물고 늘어지는 능동적 집중 활..

성찰적 글쓰기, 교육 실습 포트폴리오 2. 교육 실습 보고서 예시

기업이나 기관에 제출할 교육 실습 포트폴리오는 그 내용을 간략하면서도 한 눈에 들어오게 구성해야 한다. 그러한 실습 포트폴리오를 만들려면, 좀 더 풍부한 내용의 교육 실습 보고서가 필요하다. 대학 교과 과정에서 요구하는 교육 실습 포트폴리오란 일반적으로 그러한 교육 실습 보고서를 의미한다. 어느 영국 대학에서 아동 교육을 전공하는 가상의 유학생 L을 가정하자. 교육 실습 포트폴리오 작성 과정을 이수한 L은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막상 보고서를 쓰려고 하니, 문제가 발생했다. 담당 교수의 요구 때문이었다. ‘자문화기술지(autoethnography) 방법’을 사용하라는 요구였다.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3245525405 성찰적 글쓰기, 교육 실습..

찰적 글쓰기, 교육 실습 포트폴리오 1. 교육 실습과 작성 가이드라인 GKG-PF

21세기에 들어와 직업 연수 및 교육 실습 포트폴리오가 취업 및 교원 임용 평가에서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국외의 얘기다. 국내 대학생들이 작성한 교육 실습 포트폴리오나 보고서를 찾아보았다. 대부분 감상문 내용에 불과한 대학생들의 보고서들을 대하고 교육 실습, 실례로 교생 실습을 다룬 국내 논문 중 피인용 수가 많은 것을 살펴보았다. 나름 질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를 내세우면서 교육 실습 보고서들을 분석한 논문 내용을 보면, 중반부를 지나 ‘스스로 학생 되어보기’ ‘학생들과 마주치기’, ‘교사의 역할’ 등과 관련하여 낭만적 서술이 난무한다. 참고문헌의 국외 논문들은 최신 것들인데, 논문 내용에 반영된 교사의 모습은 20세기 초 유행했던 ‘효율적 교사 모습’에 국한된 경우가 많았다...

MBTI 비판과 유형론적 사고방식

두뇌의 영역별 기능 분담설은 현재 상식처럼 통용되고 있다. 그런데 각 기능은 영역들 간 상호 되먹임의 연결망 속에서 작용한다. 좌뇌의 특정 영역이 언어 능력 발휘에 결정적이라고 해도, 우뇌 없는 언어 능력 발휘란 불가능하다. 우뇌의 손상은 정서적 표현 능력을 저하시킨다. 언어 기능에 결정적인 영역이 손상된 경우, 우뇌의 특정 영역이 그 기능을 물려받기도 한다. 언어의 습득과 그 능력의 발휘는 두뇌들의 상호작용을 필요로 하는 사회적 관계망에 의존적이다. 이러한 사실들은 사람들을 단순히 좌뇌형 또는 우뇌형 인간으로 분류할 수 없음을 암시한다. 더욱이 특정 성격에 대응하는 두뇌의 고유한 영역이란 없다. 성격은 사회적 관계 맥락을 포함한 환경 속에서 형성되고 변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서로 단절되거나 중첩 불가능..

성찰적 글쓰기 예시 자료 1. 보고서 '직업상의 사랑'

발표 ‘직업상의 사랑’의 비판적이고 성찰적 보고서 ​ 보육 및 유치원 교사,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 영아실 간호사 등의 직업군 종사자는 정서적 밀착감과 함께 자신이 대하는 영유아와 아동을 대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을 것이다. 직업상의 사랑(professional love)은 그러한 경우에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를 다루는 분야이다. 이 보고서는 교육학의 ‘교육, 문화와 아동기’ 범주에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직업상의 사랑에 관한 나의 발표를 비판적이고 성찰적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발표 보고서 작성은 기존 학제에서는 발표 내용을 다루는 것에 집중되어 있었다. 비판적이고 성찰적 보고서 작성은 발표 내용 외에도 발표와 최종 보고서 완성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저자 자신의 비판적이고 성찰적 평가 요소를 담고 있어야 한..

프레임 함정 1. 엔크비스트의 사기극 마리 퀴리의 지독한 사랑

북유럽 스웨덴을 대표하는 작가로 소개되는 페르 올로프 엔크비스트(P.O. Enquist)의 책 중에 가 있다. 출판사 노블마인이 2005년 으로 출간한 책이다. 책 표지를 보면, ‘퀴리 부인의 전기는 다시 써야 한다’는 문구가 눈에 들어 온다. 그렇다면 이 소설 이 전에 나온 퀴리 부인의 전기는 정말 다시 써져야 할 정도로 잘못된 것인가? 이 소설을 접하는 사람은 이 물음부터 스스로에게 던져야 한다. 은 퀴리 부인의 과학 전기가 아니라 허구를 담고 있을 가능성이 큰 소설이기 때문이다. 글 보기 -> 프레임 함정 1. 엔크비스트의 사기극 마리 퀴..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프레임 함정 1. 엔크비스트의 사기극 마리 퀴리의 지독한 사랑 이 글은 다음 글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 https..

빈곤 포르노 딜레마: 상징어 혹은 은유의 포르노

자선 단체가 너무 많아져 경쟁 관계를 맺는 현실 속에서 빈곤을 남용한 이미지들이 늘어났다. 이미지를 사진에 국한할 때, 기부의 천사로 불리는 안젤리나 졸리가 흑인 아이를 껴안고 시선을 관찰자로 향한 사진은 나에게 동정심보다는 불쾌감을 불러일으킨다. 오드리 헵번이 깡마른 아이를 안고 시선을 관찰자로 향한 사진 역시 마찬가지다. 그렇다고 졸리와 헵번을 비판하고 싶지 않다. 빈곤 남용의 문제는 훨씬 폭넓은 사회적 맥락에서 접근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빈곤 남용을 함축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이미지에 ‘빈곤 포르노(poverty porn)’라는 상징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한다. 그 상징어의 남발은 이미지의 부정적 영향력만 강조할 뿐 해석의 모호함에 대해 무감각하게 만든다. ‘빈곤 포르노’의 남발은..

사고훈련: 2차원 세계 그림 감상

‘플래니버스(Planiverse)’는 캐나다 출신의 컴퓨터 관련 수학자 듀드니(A.K. Dewdney)의 대중서 에 등장하는 2차원 우주를 일컫는 고유 명사이다. 2차원 세계에 대한 구상을 책으로 출판한 사람은 듀드니가 최초는 아니었다. 1884년 영국의 성직자 애벗(Edwin A. Abbot)의 가 2차원 세계를 다룬 최초의 책이라고 할 수 있다.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2900984971 사고훈련: 2차원 세계 그림 감상 ‘플래니버스(Planiverse)’는 캐나다 출신의 컴퓨터 관련 수학자 듀드니(A.K. Dewdney)의 대중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