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일반화와 보충 1. 되씹어 보기>에 이어지는 글이다.
무엇을 보충한다는 것은 결론을 그럴듯하게 또는 확실하게 해 주려고 근거를 찾아 글에 집어넣는 기예를 뜻합니다. 무엇을 일반화한다는 것은 근거들을 가지고 유사한 상황 및 대상들에 반복 적용 가능한 결론을 끄집어내는 기예를 뜻합니다. 무엇을 보충한다는 것과 일반화한다는 것은 글의 연결성을 좋게 하는 기예에 속합니다.
글 구성 또는 논의 구성 과정에서 무엇을 보충한다는 것과 일반화한다는 것은 서로 보완 관계를 맺습니다. 어떤 근거를 보충한 결과로 무엇을 일반화할 수 있게 되고, 역으로 무엇을 일반화해 놓고 적합한 근거를 보충하기도 하니까요. 그래서 동일한 또는 거의 유사한 내용의 글을 두 가지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그 하나는 ‘보충의 구성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일반화의 구성 방식’입니다.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한 내용을 보충 또는 일반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어떤 방식을 선택하는가는 글 구성의 목적뿐만 아니라 과정에 영향을 받습니다.
- 동일한 내용을 보충 또는 일반화의 구성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보충의 구성 방식은 어떤 때 많이 사용할까요? 결론보다는 근거를 강조하려 할 때 자주 사용하는 글 구성 방식입니다. 또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 글을 마친 다음 결론을 주장하기에는 무엇인가 모자란다는 느낌이 드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경우, 원래 글을 거의 그대로 놔둔 채 적절한 근거를 강조하여 보충할 수 있습니다. 일반화 구성 방식을 선택할 때, 그 목적은 유사한 상황 및 대상들에 반복 사용 가능한 결론을 핵심 주장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모든’ 또는 ‘대부분’의 의미를 함축한 그러한 결론은 여러 상황 및 대상들에 걸쳐 반복 사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일반 지식’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3865818846
일반화와 보충 2. 무엇을 보충한다는 것과 일반화한다는 것은
*이 글은 <일반화와 보충 1. 되씹어 보기>에 이어지는 글이다. 무엇을 보충한다는 것은 결론을 그럴...
blog.naver.com
'GK 비판적 사고 > GCTC 청소년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화와 보충 1. 되씹어 보기 (0) | 2025.03.14 |
---|---|
글 구성 종합 훈련 1. 우주 탐사 (0) | 2025.01.16 |
화제를 끌어내고 답해 보기 2. 보충 훈련 (0) | 2024.11.25 |
쉬어가기. 페니실린의 발견 (0) | 2024.09.19 |
화제 끌어내 보기 2. 보충 훈련 (0) | 2024.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