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적인 것과 인간적인 것의 공조 가능성 혹은 연속성을 부정하는 홉스의 관점은 H2~H4에 반영되어 있다. 홉스 정치 철학의 핵심 논제 H2~H4는 욕구와 행복의 관계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그 관점이 어떻게 H2~H4에 반영되어 있는지를 알려면 욕구와 행복의 관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홉스는 제 6장에서 행복을 쾌락 등 특정 심적 상태나 신적인 것과 연관시키는 사고방식을 비판한다. 그리고 행복을 ‘욕구의 지속적 충족’으로 규정한다. 따라서 홉스에게 행복은 특정 심적 상태로서의 욕구가 아니다. 제 11장과 12장을 주의 깊게 분석해 보면, 홉스가 ‘욕구’를 적어도 네 가지 의미로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