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K 비판적 사고/GCTC 청소년 교육

명탐정 셜록 홈스

착한왕 이상하 2010. 4. 16. 05:49

* 아이가 있는 분은 아이와 함께 풀어보세요.

-------------------------------------------------

 

 

 

탐정소설의 대부를 들라면 의사였던 아더 코난도일을 빼먹을 수 없다. 명탐정 셜록 홈스는 그에 의해 탄생했다. 탐정은 설명되어야 할 무엇인가에 주목함으로써 문제를 만들며, 여러 단서에 근거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탐정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코난도일의 단편 ?브루스 파팅턴 설계도?의 일부를 함께 조사해보자. 이제 여러분 각자는 탐정이 되어야 한다.

 

• 중요한 연구를 기록한 비밀문서를 둘러싸고 살인 사건이 발생했다. 시체는 기차선로에서 발견되었다. 그런데 선로에는 핏자국이 없었다. 시체가 발견된 선로에는 커브가 있다.

 

홈스는 즉시 핏자국이 없는 기차선로에 주목한다. 이를 바탕으로 홈스는 하나의 문제를 만든다.

 

“도대체 이 사람은 언제 어디에서 죽은 것일까?”

 

홈스는 친구인 의사 왓슨으로부터 의학을 배웠다. 홈스는 시체의 흔적을 바탕으로 시체의 주인이 며칠 전에 살해당했을 것으로 추측한다. 왓슨은 살해당한 시기에 대한 좀 더 정확한 정보를 홈스에게 제공한다. 그러나 홈스에게는 여전히 문제가 남아 있다.

 

• 홈스의 문제:                                                                                   

 

홈스는 선로에 커브가 있음을 발견한다. 홈스는 기차가 커브를 도는 순간 흔들리면서 시체가 떨어졌을 것이라고 추리한다. 이를 바탕으로 홈스는 하나의 첫 번째 가설을 세웠다.

 

홈스의 첫 번째 가설:                                                                        

 

위 가설이 정말 맞는 것인지를 확인해주는 증거가 있어야 한다. 증거는 관찰 등을 통해 발견해야 하는 경우가 있고, 실험을 통해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유능한 탐정인 홈스는 자신이 세운 가설이 너무나 확실하기에 실험을 하지 않았다. 하지만 우리는 ㉠ 그러한 실험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것으로 사건의 얘기는 끝나지 않는다. 기차가 아닌 다른 곳에서 살인 사건이 발생했다는 것만 밝혀졌을 뿐이다. 홈스는 ㉡ 설명을 요구하는 또 다른 사실을 찾아 탐정 여행을 떠난다. 그는 결국 실제 ㉢ 사건이 일어난 현장을 찾아낼 수 있었다. 홈스는 범행 현장에서 발견한 단서를 바탕으로 범인을 지목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하나의 결정적 실험을 설계한다. 범인을 유인하는 실험이다. 홈스의 실험에 말려든 범인은 체포된다.

 

그러나 범인이 체포되기까지 여러 번의 실패가 있었다. 가설이 실험을 통과하지 못하면 다시 문제를 찾아낸 시점으로 되돌아가야 한다. 그리고 새로운 가설을 세워야 한다.

 

 

[물음 1] 위 글에서 홈스의 문제는?

 

 

 

[물음 2] 위 글에서 홈스의 첫 번째 가설은?

 

 

 

[물음 3] 홈스의 첫 번째 가설을 세우는 데 도움을 준 것은?

 

 

 

[물음 5] 홈스의 첫 번째 가설로 홈스의 문제가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다. 이에 대한 이유를 ㉡과 ㉢을 바탕으로 설명해 본다면?

 

 

 

[물음 6] ㉠의 실험을 설계해 본다면?

 

 

 

[물음 7] 탐정이 범인을 잡는 과정은 과학의 발견 과정과 비슷합니다. 이때 훌륭한 과학자는 명탐정에 비교될 수 있습니다. 위 글을 바탕으로 훌륭한 과학자가 갖추어야 할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실패를 견뎌낼 수 있는 끈기

②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모험심

③ 추리에 도움을 주는 친구들

④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는 데 필요한 배경 지식

⑤ 다른 사람들이 갖고 있지 않은 천재성

'GK 비판적 사고 > GCTC 청소년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자가 되려는 아이  (0) 2010.04.17
지구 내핵 가설  (0) 2010.04.17
스포츠센터는 어느 지점에?  (0) 2010.04.15
모차르트 효과  (0) 2010.04.03
은행 털이 범인은?  (0) 2010.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