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그리스, 스토아 사상, 중세를 관통하는 행복의 지성적 관점에 따르면, 진정으로 행복한 삶은 지성적인 것으로서 합리적 판단 능력 없이는 불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삶은 도덕적이어야 한다. 이러한 지성적 관점에서 자기 보존과 관련된 이익 계산, 욕구 및 쾌락 등은 진정한 행복을 방해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합리적 판단 능력의 올바른 사용은 도덕적인 것을 전제한다. 행복의 지성적 관점은 중세에 이르러 행복의 기준을 신적인 것과 연관시키는 사고방식을 굳혀버렸다. 진정한 행복이 신적인 것이라면, 현세의 인간은 행복할 수 없다. 이러한 아퀴나스의 결론은 신 존재를 추론적 대상으로 여길 뿐 신의 본질을 ‘알 수 없는 것’으로 규정하는 아벨라르 이후 중세 부정 신학 전통을 대표한다.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2627126600
홉스의 사고방식(행복론 중심)
고대 그리스, 스토아 사상, 중세를 관통하는 행복의 지성적 관점에 따르면, 진정으로 행복한 삶은 지성적인...
blog.naver.com
'과학과 철학 에세이 > 착한왕의 개념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학자들의 행복: 홉스 3. 다섯 가지 핵심 논제들 (0) | 2018.01.08 |
---|---|
철학자들의 행복: 홉스 2. 영원성의 정치적 모방. 정치론을 둘러싼 해석 논쟁 (0) | 2017.12.06 |
철학자들의 행복: 토마스 모어4. 국가, 인간, 정원, 수사학적 사고 실험 (0) | 2017.09.27 |
철학자들의 행복: 토마스 모어3. 마르크스주의와의 유사성 (0) | 2017.09.08 |
철학자들의 행복: 토마스 모어2. 에덴 계획의 정치적 추구 (0) | 2017.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