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모든 사람이 합의할 수 있는 정의에 대한 단 하나의 규정 방식은 없다. 그럼에도 공동체를 유지하는 데 기반이 되는 정치적 이념이나 문화적 요소들을 고려하는 경우, 정의를 이해하는 여러 방식들에는 유사성이 있게 마련이다. 그러한 유사성을 바탕으로 대중은 정의롭지 못한 구체적 사안에 대해 분노를 표출할 수 있다. 그러한 집단적 분노를 조율하는 정책적 고민을 통해 정의에 대한 절차적 원칙들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정의에 대한 구체적 이론 혹은 이론적 정의론 없이도 정의에 대한 담론은 가능하다. 앞서 살펴본 처벌적 정의의 절차적 세 원칙들에 대한 논의에 함축되어 있는 이러한 ‘이론을 전제하지 않는 정의론’은 다수 철학자들에게는 여전히 이질적이다. 더욱이 인간의 합리적 판단 능력의 원천으로 이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