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 글은 의 후기에 해당한다. 650여 쪽의 본문 내용을 모르는 상태에서 다음 글을 충분히 이해하기는 힘듦을 밝혀 둔다. 살펴볼 세 번째 물음은 다음과 같다. • 사회 역사적 과정들은 현시점의 특정 관점에서만 추적해 볼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역사적 담론은 현실 문제 진단까지 다루기 때문에 역사적 서술보다 폭이 넓다. 제아무리 역사적 증거들을 바탕으로 한 담론일지라도 현시점의 관점에서 벗어날 수 없다. 역사적 담론은 현시점의 특정 관점에 부합하는 과거 사례들만 추려 내어 각색한 일종의 허구적 이야기가 아닐까? 역사적 서술에 바탕을 둔 담론은 현실 문제 진단과 무관할 수 없다. 그러한 진단에는 현시점의 관점이 개입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역사적 담론은 판단 주체의 경험에 의존적이다. 이 점에서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