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중간 영역의 표상법 성적 취향, 성 정체성과 관련해 누구를 남성 혹은 여성으로 확인할 때, 남성과 여성의 의미는 여러 차원을 갖는다. 생식 가능성 차원, 성적 대상 선호 차원, 성적 역할 차원, 사회적 역할 차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지만 개인의 성적 취향과 정체성을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이상적으로 가정된 남성과 여성의 사이를 일종의 선분으로 취급하는 접근법의 한계를 드러내 준다. 그렇게 취급하는 접근법은 이상적으로 가정된 남성과 여성의 ‘사이’로서 성적 취향이나 정체성이 존재한다는 히르쉬펠트의 입장을 애매모호하게 만든다. 남성과 여성의 의미를 구성하는 여러 차원을 고려하여 이성애, 동성애, 양성애 취향을 다루려면, 적어도 두 개의 차원이 필요하다. 그 하나는 생식 가능성 차원이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