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코마코스 윤리학>은 하나의 내용적 정합성을 구성하고 있는가? 총 10권으로 구성된 이 책은 여러 상반된 내용을 함축한 부분들 때문에, 그것들에 대한 일관된 해석은 힘들다. 1권~9권의 내용은 ‘사회 유지의 관점’에서 이론지와 실천지의 공조 관계를 강조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그런데 여기에 제 10권의 내용을 더해 ‘진정한 행복의 관점’에서 책 전체를 조망하는 경우, 오로지 이론지를 추구하는 철학자의 삶만이 진정으로 행복한 삶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다시 말해, <니코마코스 윤리학>은 사회 유지와 진정한 행복 중 어느 관점에서 접근하는가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는 여지를 갖고 있다. 이를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의 이중성’이라고 하자. 그 이중성을 알려면, 그의 ‘지성적 덕’을 파헤쳐 보는 것은 필수적이다.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2312044149
아리스토텔레스 이론지와 실천지의 구분
<니코마코스 윤리학>은 하나의 내용적 정합성을 구성하고 있는가? 총 10권으로 구성된 이 책은 여러 ...
blog.naver.com
'과학과 철학 에세이 > 착한왕의 개념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 행복론의 지성적 관점 (0) | 2021.08.24 |
---|---|
치유의 두 가지 접근법 (0) | 2021.05.12 |
평등주의(Egalitarianism), 짧은 버젼 (0) | 2020.02.07 |
이기주의 분류법 2. 규범적 접근법, 형이상학적, 도구적 접근법, 두 종류의 합리적 이기주의 (0) | 2019.06.04 |
이기주의 분류법 1. 기술적 접근법, 심리적 이기주의, 비쾌락적, 쾌락적 이기주의 (0) | 2019.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