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다음 글에 이어지는 내용이다.
<스토아 사상의 덕 체계>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2345800786
스토아 사상의 덕 체계
제논(Zenon), 클레안테스(Cleanthes), 크리시포스(Chrysippus) 등에 의해 학풍이 마련된 스토아 사상에 ...
blog.naver.com
치유라는 것은 정상적인 것과 비정상적인 것의 구분을 필요로 하며, 치유의 규정 방식도 그 구분에 의존적이다. 여기서 치유에 대한 두 가지 규정 방식을 생각해 볼 수 있다.
• 첫째, 정상적인 것을 정의하고, 그러한 정의에 따라 비정상적인 것을 ‘정상적인 것의 결여’로 간주한다. 이때 치유는 정상적인 것의 복원을 목적으로 한다.
• 둘째, 정상적인 것을 정의하지는 않는다. 정상적인 것은 그저 비정상적인 것들에 대비된 포괄적 개념일 뿐이다. 치유의 목적은 정상적인 것의 복원이 아니라 ‘비정상적인 것의 제거’에 국한된다.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2347373577
치유의 두 가지 접근법
* 이 글은 다음 글에 이어지는 내용이다. <스토아 사상의 덕 체계> https://blog.naver.com/cock25ki...
blog.naver.com
'과학과 철학 에세이 > 착한왕의 개념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콜라 철학 (0) | 2021.09.30 |
---|---|
고대 행복론의 지성적 관점 (0) | 2021.08.24 |
아리스토텔레스 이론지와 실천지의 구분 (0) | 2021.04.16 |
평등주의(Egalitarianism), 짧은 버젼 (0) | 2020.02.07 |
이기주의 분류법 2. 규범적 접근법, 형이상학적, 도구적 접근법, 두 종류의 합리적 이기주의 (0) | 2019.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