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은 나의 개인 원고 <안과 밖>의 부록 중 하나로 사용할 글이다.
마셜 홀, 란셋, 왕립 학회: 홀 반사 작용 연구의 다양한 수용 방식
마셜 홀(M. Hall, 1790-1857)은 반사 작용 설명에서 생기나 동물 영혼의 불필요성을 실험적으로 밝히는 데 기여한 영국의 의사이자 생리학자이다. 하지만 그는 반사 작용의 모든 종류를 오로지 척추 신경계에 국한시켜 대뇌가 조건 반사와 같은 작용과 관련될 여지를 남기지 않았고, 그 결과 두뇌의 기능적 역할 분담 가능성을 부정했다. 다시 말해, 홀은 대뇌 자체를 정신 작용을 발생시키는 기능체가 아니라 정신 작용을 수용하는 장소로 여겼다. 이 점은 홀이 자발적 운동 및 지적 활동을 과학적 설명 범주에서 제외하려 했던 데카르트 이후의 전통에 충실했음을 보여 준다. 그러한 전통과 밀접하게 맞물린 사고방식은 기계론적 사고방식이다. 생리학에서 기계론적 사고방식은 자발적 운동 및 지적 활동을 과학적 설명 범주에서 제외시킴으로써 모든 생리 작용을 입자들의 흐름과 접촉으로 설명하려고 했던 사고방식이다. 또 한편 그것은 과학과 신학의 조화로운 양립 가능성을 정초시키려는 노력의 사고방식이기도 했다. 반사 작용에 대한 홀의 연구는 전통적 기계론적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인간의 지능과 의지도 과학적 설명 범주에 포함하려는 과정으로 넘어가는 전 단계라고 할 수 있다.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2442985846
마셜 홀 반사 작용 연구의 다양한 수용 방식
* 다음은 나의 개인 원고 <안과 밖>의 부록 중 하나로 사용할 글이다. 마셜 홀, 란셋, 왕립 학회: 홀...
blog.naver.com
'과학과 철학 에세이 > 자연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로카(P. Broca,1824-1880) (0) | 2021.12.16 |
---|---|
양자역학의 핵심 문제들 (0) | 2021.10.31 |
벨-마장디 논쟁: 우선권과 방법론을 둘러싼 논쟁 (0) | 2021.03.09 |
로버트 윗의 지각 원리와 공감 개념 (0) | 2021.01.25 |
로베르트 레마크, 재평가받아야 할 생물학자 (0) | 2020.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