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은 하나의 글만 구성하는 과정을 마친 후 종합 훈련 1을 통과한 초등학교 6학년생을 대상으로 한 글쓰기 훈련 Part 2의 일부입니다. '일반화와 보충', 반박과 약화', '대조 및 대립 관계'로 구성된 Part 2는 두 글을 결합하는 방식을 다룹니다. 여기에는 '일반화와 보충'편만 올립니다. 다음 글쓰기 훈련을 저자 착한왕(이상하)의 허락 없이 변형하여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금합니다.
근거들을 가지고 화제와 결론을 연결하는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좋은 글이란 그 결론이 근거를 갖고 있는 경우입니다. 화제는 글에 명시될 수도, 아닐 수도 있습니다. 하나가 아닌 여러 개의 화제들이 등장하는 글도 있습니다. 더욱이 글머리에 등장하는 화제에 대한 답이 글의 핵심 결론이 아닌 경우도 있습니다.
[물음 1] 글 시작부에 문제 제기 성격의 화제가 등장하는 글이 있다고 합시다. 그 글에 대한 평가로 올바른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다면?
<보기>
(가) 그 화제에 대한 답이 반드시 글의 핵심 결론이겠군. (나) 그 화제에 대한 답이 글 전체의 핵심 결론인지 아닌지는 더 읽어 보아야 알겠군. (다) 좋은 글은 그 화제에 답하는 방식이 근거를 갖추고 있는 것이겠군.
|
① (가) ② (나) ③ (다) ④ (가), (다) ⑤ (나), (다)
여기서는 두 글을 연결하는 단순한 두 가지 방식을 살펴볼 것입니다. 두 글 <눈벽돌집이 얼음집으로 변하는 과정>과 <주거 문화 속에 담긴 과학적 원리>가 주어져 있다고 합시다.
<눈벽돌집이 얼음집으로 변하는 과정>
이누이트들은 옛날 이글루라는 얼음집에 살았습니다. 눈벽돌로 원형의 집을 만들면, 얼음집으로 변합니다. 이것이 어떻게 가능할까요? 눈벽돌집을 만든 다음 물을 뿌리면, 눈벽돌이 녹으면서 벽돌 사이의 틈새를 메워 줍니다. 다시 물이 얼면서 눈벽돌집은 얼음집으로 변하게 됩니다. 이렇듯, 눈벽돌집이 얼음집으로 변하는 과정에는 온도 변화에 따른 물질의 상태 변화와 관련된 과학적 원리가 숨어 있습니다.
<주거 문화 속에 담긴 과학과 기술>
주거 문화란 삶의 공간과 관련된 인간의 모든 행동 방식을 뜻합니다. 현재 우리의 주거 문화를 살펴보면, 아파트 등의 주거 공간에는 많은 첨단 기기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문명이 발달하지 않은 시대나 환경에 사는 사람의 주거 문화에서도 과학적 원리를 찾아볼 수 있을까요? 이누이트들이 눈벽돌집을 얼음집으로 만든 과정을 살펴보면, 우리는 이 물음에 대해 긍정적으로 답해야 합니다. 즉, 문명이 발달하지 않은 시대나 환경에 사는 사람의 주거 문화에서도 과학적 원리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위 두 글은 친절하게도 화제가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제 두 글을 결합해 보려고 합니다. 두 글을 결합할 때 그냥 연결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를 알기 위해 주거 문화에는 과학적 원리가 숨어 있다는 사실을 밝히는 글을 쓴다고 해 봅시다.
[물음 2] <눈벽돌집이 얼음집으로 변하는 과정>과 <주거 문화 속에 담긴 과학적 원리>라는 두 글의 화제는?
[물음 3] 각각의 화제에 대한 답, 즉 핵심 결론은?
[물음 4] 화제와 답을 가지고 글 <눈벽돌집이 얼음집으로 변하는 과정>을 요약해 본다면?
[물음 5] 화제와 답을 가지고 글 <주거 문화 속에 담긴 과학적 원리>를 요약해 본다면?
[물음 6] 위 글에 대한 판단으로 올바른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다면?
<보기>
(가) <눈벽돌집이 얼음집으로 변하는 과정>은 <주거 문화 속에 담긴 과학적 원리>의 핵심 결론에 대한 구체적 사례라고 할 수 있겠군. (나) <주거 문화 속에 담긴 과학적 원리>의 핵심 결론을 강화하는 데 <눈벽돌집이 얼음집으로 변하는 과정>이 사용될 수 있겠군. (다) <눈벽돌집이 얼음집으로 변하는 과정>의 핵심 결론은 <주거 문화 속에 담긴 과학적 원리>의 핵심 결론을 일반화한 것이라고 할 수 있겠군.
|
① (가) ② (가), (나) ③ (나) ④ (나), (다) ⑤ (다)
<눈벽돌집이 얼음집으로 변하는 과정>과 <주거 문화 속에 담긴 과학적 원리>라는 두 글을 결합해 본다고 합시다. 두 글의 결합 방식은 글을 쓰는 사람의 목적에 의존적입니다. 우리는 다음 목적을 갖고 있다고 합시다.
• 모든 주거 문화에는 과학적 원리가 숨어 있다는 것을 핵심 결론으로 삼으려고 한다.
위 목적에 따라 두 글을 결합하는 경우, 글 <A>의 결론이 핵심 결론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때 글 <A>의 화제를 주화제라고 합니다. 반면에 글 <B>의 결론은 그렇게 결합한 글 전체의 핵심 결론이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글 <B>의 화제는 글 전체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글 <B>에만 해당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글 <A>의 화제가 주화제라면, 글 <B>의 화제는 부화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음 7] 위 글의 빈 칸 <A>와 <B>에 들어가야 하는 것은?
<A>
<B>
앞서 언급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눈벽돌집이 얼음집으로 변하는 과정>과 <주거 문화 속에 담긴 과학적 원리>라는 두 글을 결합한다고 할 때, 다음 두 가지 결합 방식이 가능합니다.
<결합 방식 1>에 따라 두 글을 결합한다고 해봅시다. 화제는 명시해도 되고, 안 해도 그만입니다. <눈벽돌집이 얼음집으로 변하는 과정>을 먼저 잘 구성해 써야 합니다. 여기서 잘 구성해 써야 한다는 것은 ‘그 글이 <주거 문화 속에 담긴 과학적 원리>과 연결된다는 점을 고려하면서 써야 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그 다음, ‘이러한 사례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와 같은 문제를 던지는 것입니다. 그 다음, <주거 문화 속에 담긴 과학적 원리>라는 글을 연결시키는 것입니다.
<결합 방식 2>에 따라 두 글을 결합한다고 해봅시다. 먼저 <주거 문화 속에 담긴 과학적 원리>라는 글을 잘 구성해 써야 하겠죠. 그 다음 ‘이에 대한 보기로 무엇을 들 수 있을까?’와 같은 문제를 던지는 것입니다. 그리고 <눈벽돌집이 얼음집으로 변화는 과정>라는 글을 연결시키는 것입니다. 그 어떤 경우든, 언급한 문제를 반드시 던져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말하고자 하는 것이 잘 드러나도록 두 글을 결합하는 것입니다.
[물음 8] <결합 방식 1>에 따라 두 글을 결합해 본다면?
[물음 9] <결합 방식 2>에 따라 두 글을 결합해 본다면?
앞서 살펴본 <결합 방식 1>을 <일반화>라고 합시다. <결합 방식 2>를 <보충>이라고 합시다. 이제 문제들을 스스로 풀어 봅시다.
[물음 10] 다음 두 글을 <일반화>와 <보충>에 따라 각각 결합해 본다면?
<까마귀>
지금까지 관찰된 모든 까마귀는 검다. 따라서 내일 관찰될 까마귀도 검을 것이다. 증거를 가진 그럴듯한 주장에는 ‘하루아침에 까마귀의 색이 변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와 같은 가정이 깔려 있다.
<숨은 가정>
관찰 사실들을 증거로 한 주장은 그럴듯한 것으로 여겨진다. 증거를 가진 그럴듯한 주장에는 우리가 공유한 믿음이 숨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일반화>
<보충>
[물음 11] 다음 두 단서들을 <일반화>와 <보충>에 따라 각각 결합해 본다면?
<단서 1>
• 우리가 만나는 사실들 중에는 설명을 필요로 하는 것들이 있다.
• 그러한 사실을 설명하려면, 가설이 필요하다.
• 과학적 가설도 설명을 필요로 하는 사실로 인해 만들어진다.
<단서 2>
• 지구본을 보면, 대륙들의 해안선들이 서로 잘 들어맞음을 알 수 있다.
• 서로 멀리 떨어진 두 대륙에서 동일한 화석들이 발견된다.
• 이를 바탕으로 베게너는 대륙 이동설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일반화>
<보충>
[물음 12] 다음 두 단서들을 <일반화>와 <보충>에 따라 각각 결합해 본다면?
<단서 1>
• 한때 사람들은 지구 상의 물체는 스스로 가라앉는 성질을 갖고 있다고 믿었다. 즉 당시 사람들은 지구가 물체를 잡아당기는 중력 때문이 아니라 물체의 가라앉는 성질 때문에 물체가 낙하한다고 믿었다.
• 그러한 믿음을 받아들이면, 머리 위로 던져진 돌멩이는 던진 자리로 떨어지지 말아야 한다. 돌멩이를 머리 위로 던진 순간, 지구의 움직임으로 인해 돌멩이는 다른 자리로 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 그런데 머리 위로 던져진 돌멩이는 던진 자리로 떨어진다.
• 따라서 지구는 정지해 있어야 한다.
<단서 2>
• 지금 우리가 참이라고 믿는 것도 미래에는 거짓이 될 수 있다.
• 우리가 참이라고 믿는 것이 거짓으로 밝혀진 예는 많다.
<일반화>
<보충>
'GK 비판적 사고 > GCTC 청소년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퍼아디언 (0) | 2010.10.14 |
---|---|
마이티마우스와 피자의 무게 (0) | 2010.10.05 |
논리적 연결사 (0) | 2010.10.02 |
쥐 행성의 프톨레마우스 (0) | 2010.09.29 |
다단계 로켓 (0) | 2010.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