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K 비판적 사고/GCTC 청소년 교육

합성세제

착한왕 이상하 2010. 10. 27. 06:14

* 어린이 추론학교 제 3기생들을 위한 사고훈련 자료 중 일부인 다음을 저자 착한왕 이상하의 허락 없이 변형하여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금합니다.

 

합성세제

 

향순이의 엄마는 ‘향기 요법’에 열광하는 분입니다. 향기 요법이란 무엇일까요?

 

향기 요법에 열광하는 사람들에 따르면, 라벤더 꽃의 향기와 같은 특정 향기는 정신 건강에 좋을뿐더러, 질병도 치료해준다고 합니다.

 

향순이 엄마는 향기 요법의 탁월한 치료 효과에 대한 증거로 다음을 들었습니다.

 

• 서양 의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히포크라테스는 라벤더 향이 독감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 최근 우울해 하던 강아지 왈순이는 라벤더 향을 맡고 다시 쾌활해졌다.

 

 

[물음 1] 향순이 엄마가 믿고 있는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라벤더 향은 건강에 좋다.

② 히포크라테스는 신이다.

③ 라벤더 향은 질병 치료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에도 좋다.

④ 라벤더 향이 가득한 집에 사는 사람들은 쾌활하다.

 

 

향순이는 향기 요법을 모조건 믿을 수 없었습니다. 향기 요법이 정말 독감에 효과가 있다면, 어쩌면 라벤더 향이 아니라 라벤더 향 속의 특정 화합물이 그 원인일 수도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 화합물은 독감 치료제 ‘팍나아’의 성분과 비슷할 것입니다. 하지만 팍나아는 라벤더 향이 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라벤더 향은 ( A )와 ( B )의 혼합물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런데 독감 치료제 팍나아는 값이 싸지만, 향기 요법에 사용되는 라벤더 향은 무척 비쌉니다. 팍나아 한 알은 500 원이지만, 엄마가 사온 ‘팍팍뿌려줘’ 라벤더 향은 100 밀리리터 당 50,000 원입니다.

 

 

[물음 2] (A)와 (B)에 들어가야 하는 것은?

            (A)                               (B)        

① 독감 치료 성분                         독감

② 독감 치료 성분                     다른 성분

③ 독감 치료 성분                        왈순이

④    다른 성분                             독감

 

 

향순이는 인터넷을 통해 히포크라테스의 임상 기록을 살펴보기로 했습니다. 임상기록이란 환자의 치료 과정을 기록해 놓은 것입니다. 히포크라테스의 임상기록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 환자 빠카스는 사혈법, 즉 피를 뽑는 치료를 받은 3 일 후, 피똥을 싸고 사망했다.

• 환자 헬러는 사혈법 치료를 받고, 그 다음 날 피똥을 싸고 사망했다.

• 환자 뽀사이돈은 사혈법 치료를 받은 5 일 후, 거품을 문 채 피똥을 싸고 사망했다.

 

히포크라테스의 임상기록 그 어디에도 라벤더 향의 치료 효과에 대한 말은 없었습니다.

 

 

[물음 3] 히포크라테스의 임상기록을 본 향순이의 생각을 써봅시다.

 

 

 

 

향순이는 엄마가 열광하는 향기 요법을 믿을 수가 없었습니다. 어느 날, 빨래를 하기 위해 합성세제를 들고 가는데, 왈순이가 신이 나 뒤를 졸졸 따라 왔습니다. 순간, 향순이는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 향순이의 생각 A :

 

향순이는 합성세제를 물에 탔습니다. 그리고 ‘팍팍뿌려줘’ 라벤더 향 통에 그 물을 집어넣었습니다.

 

엄마는 집에 들어오자마자, 이렇게 말했습니다.

 

• 향순이 엄마의 말 B:

 

엄마는 라벤더 향과 합성세제 향을 구분할 수 없었습니다.

 

 

[물음 4] 향순이의 생각 A를 추축해 써본다면?

 

 

 

[물음 5] 엄마의 말 B를 추측해 써본다면?

 

 

 

라벤더 향이 특정 질병에 효과를 보이더라도, 그 원인은 라벤더 향이 아니라 그 향에 섞여 있는 특정 화합물일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한 화합물을 이용한 치료제는 값이 쌉니다. 또 라벤더 향이 즐거운 감정을 불러일으킨다면, 굳이 값비싼 라벤더 향을 살 필요는 없을 것입니다. 합성세제 향과 라벤더 향은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굳이 ‘팍팍뿌려줘’를 살 필요는 없겠죠.

 

그러나 향순이는 ‘팍팍뿌려줘’ 라벤더 향이 합성세제 향보다 정신 건강에 큰 효과가 없다고, 또 ‘팍나아’보다 독감 치료에 효과가 없다고 친구들에게 알릴 수는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향순이 아빠는 ‘팍팍뿌려줘’ 라벤더 향을 만드는 건강약품 회사의 판매 부장이기 때문입니다.

 

 

[물음 6] 다음 중 향기 요법에 대한 향순이의 결론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라벤더 향이 강아지 우울증 치료에 효과가 있다면, 합성세제 향도 유사한 치료 효과를 보일 것이다.

② 라벤더 향은 질병 치료에 효과가 없을뿐더러, 정신 건강에 해롭다.

③ 값싼 ‘팍나아’가 라벤더 향보다 독감 치료에 효과가 있어도, 아빠를 위해 이 사실을 친구들에게 알리지 말아야 한다.

④ 엄마는 빨래를 너무 자주 하다 보니 합성세제에 중독된 사람이다.

 

[물음 7] 향순이는 ‘팍팍뿌려줘’ 라벤더 향이 합성세제 향보다 정신 건강에 큰 효과가 없다고, 또 ‘팍나아’보다 독감 치료에 효과가 없다고 친구들에게 알리지 않기로 했습니다. 향순이의 이러한 결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합니까? 이 물음에 대해 토론해 봅시다.

 

 

 

다음은 우울증에 걸린 100 명과 독감에 걸린 100 명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어느 과학자의 실험 과정입니다.

 

• 한 병에는 라벤더 향을, 다른 병에는 합성세제 향을을 넣었습니다.

• 사람들은 어느 병에 무엇이 들었는지 알 수 없도록 눈을 가리고 실험에 참가해야 합니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습니다.

 

<도표 1>

라벤더 향

합성세제 향

• 향기를 맡고 유쾌한 기분이 들었다는 우울증 환자의 수

15

14

• 향기를 맡고 독감이 나을 것 같다고 말한 독감 환자의 수

14

15

 

이번에는 두 병 모두에 합성세제 향을 넣었습니다. 그리고 병 A 에는 ‘라벤더 향’이라는 문구를 붙이고, 병 B 에는 ‘합성세제 향’이라는 문구를 붙였습니다. 이 경우,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습니다.

 

<도표 2>

A

B

• 향기를 맡고 유쾌한 기분이 들었다는 우울증 환자의 수

51

1

• 향기를 맡고 독감이 나을 것 같다고 말한 독감 환자의 수

30

1

 

 

[물음 8] <도표 1>의 실험 결과에서 각 향기에 반응하지 않은 사람들의 수는 전부 몇 명입니까?

 

 

[물음 9] <도표 2>의 실험 결과에서 각 향기에 반응하지 않은 사람들의 수는 전부 몇 명입니까?

 

 

[물음 10] <도표 1>의 실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물음 11] <도표 2>의 실험 결과가 나온 이유를 설명해 본다면?

 

 

 

 

'GK 비판적 사고 > GCTC 청소년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의 피  (0) 2010.11.11
꿀벌 언어 가설  (0) 2010.10.31
시간과 사회  (0) 2010.10.24
베이비 로직: 술어 논리와 양화   (0) 2010.10.23
히잡  (0) 2010.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