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등학교 6 학년 글 쓰기 과정 <두 글 결합해 보기: 비교> 자료의 일부인 다음을 저자 착한왕 이상하의 허락 없이 변형하여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금합니다.
[물음 3~7]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세요.
과거, 현재, 미래로 이어지는 시간 경험은 누구나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누구나 시간에 대한 개념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간 개념은 문화와 사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왜냐하면 시간 개념은 단순히 시간 경험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시간 개념은 인간의 생활 방식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시간에 얽매인 사회를 들여다보면, 사람들은 ‘시간은 돈이다’, ‘시간 낭비’, ‘시간을 절약해야 한다’와 같은 표현을 자주 사용합니다. 시간에 얽매인 사회의 사람들은 시간을 경제적 조건과 결부시켜 이해하는 경향이 큽니다. 사람들은 시간을 규칙적으로 쪼갠 일정표에 맞추어 생활합니다. (가) 그들은 일을 즐기기보다는 일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를 더 가치 있는 것으로 여깁니다. 또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합의가 되면 일정표를 쉽게 바꾸는 경향이 있습니다.
시간에 얽매이지 않은 사회를 들여다보면, 시간을 경제적 조건과 무관한 것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큽니다. 사람들은 일정표에 맞추어 일을 하기보다는 일을 즐깁니다. 그들은 일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보다는 일할 때 느끼는 즐거움을 더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이 때문에, 시간에 얽매이지 않은 사회에서는 일정표를 자주 바꾸는 일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
[물음 1] 위 글에 근거한 판단으로 잘못된 것은?
① 시간에 얽매이는 사회의 사람들은 시간을 돈으로 계산한다.
② 시간에 얽매이지 않는 사회의 사람들은 일정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③ 시간에 얽매이는 사회의 사람들은 시간에 얽매이지 않은 사회의 사람들보다 일로 인한 결과를 중요시한다.
④ 시간에 얽매이지 않는 사회의 사람들은 일 자체에서 즐거움을 얻는 사람들이다.
⑤ 시간에 얽매이는 사회의 사람들은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정표를 쉽게 바꾸는 경향이 있다.
[물음 4] 위 글에 대한 <체크 박스>와 <주장>을 구성해 본다면?
<체크 박스>
검토 사항들 |
시간에 얽매이는 사회 |
시간에 얽매이지 않은 사회 |
|
|
|
<주장>
[물음 5] 위 글의 밑줄 친 부분 (가)에 대한 사례를 들어 본다면?
[물음 6] 위 글의 <주장>이 잘 드러나도록 요약을 한다고 해봅시다. 이때 위 글과는 다른 방식으로 글을 구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떤 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은지를 놓고 함께 토론해 봅시다.
[물음 7] [물음 6]의 토론을 바탕으로 위 글을 재구성해 본다면?
'GK 비판적 사고 > GCTC 청소년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꿀벌 언어 가설 (0) | 2010.10.31 |
---|---|
합성세제 (0) | 2010.10.27 |
베이비 로직: 술어 논리와 양화 (0) | 2010.10.23 |
히잡 (0) | 2010.10.17 |
슈퍼아디언 (0) | 2010.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