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태 논쟁
1.
인간의 수정란이 일상생활에서 ‘사람’이라 불리는 개체(individual)는 아니다. 따라서 초기 수정란을 죽이는 행위가 일반적 의미의 ‘살인’과 동일한 것으로 취급될 수는 없다. 낙태(abortion)는 단순히 수정란을 죽이는 행위를 뜻하지 않는다. 그것은 일반적으로 신경계가 형성되거나 형성된 상태의 수정란, 즉 태아(fetus)를 죽이는 행위를 뜻한다. 인간 수정란의 발생 과정을 살펴보면, 신경계는 임신 8주 정도 지나 형성되기 시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신 8주 이후의 수정란을 죽이는 것도 살인 행위로 간주되어야 하는가? 이러한 문제와 관련된 낙태의 허용 여부 및 허용 정도는 윤리적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사회적 측면에서도 논쟁거리가 된다.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2086211105
'과학과 철학 에세이 > 과학, 기술,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술 결과 평가 TA (0) | 2010.05.30 |
---|---|
항착상제 RU486 (0) | 2010.05.18 |
유사한 것에 근거한 약품 디자인 (0) | 2010.05.12 |
재난의 꾸러미 분석 기법 (0) | 2010.05.09 |
양심적인 공학자 A.O. 티쉴러: 우주 왕복선 개발 (0) | 2010.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