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 제시문이 교과서나 시, 문학 작품 등에서 나오는 것이 현 추세다. 아울러 비문학 기출 문제 제시문을 변형한 것이 논술에 사용될 가능성이 크다. 그래야 교과 범위를 벗어났다는 비판을 피하면서도 까다로운 논술 제시문들을 쉽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시나 문학 작품 등이 논술 제시문으로 나오는 경우, 그 내용에서 특정 입장을 이끌어 내고 구체화시켜 보려고 해야 한다.
논술 이미지 트레이닝
- 소극적 자유와 적극적 자유 -
※ 다음 우화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옛날에 ‘빡시게’라 불리는 청년이 있었다. 그는 매사에 성심성의껏 대했고 정말 인생을 빡시게 살다 가기를 원했다.
빡시게는 세상이 불쾌했다. 일어나지 말아야 할 것이 일어나고, 또 높은 자리에 앉을 자격이 없는 자들이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니, 이러한 세태는 빡시게로서는 용납할 수 없었던 것이다. 소수의 기득권 세력에 동조하는 가난한 무리는 줄지 않으니, 이 또한 기가 찰 노릇이었다.
빡시게는 어떻게 하든 기득권을 깨부숴야 한다는 신념 아래 기득권에 반하는 ‘모든 것을 종합한 이념’을 신봉하기 시작했다. 그런 이념을 신봉하면, 기득권 세력을 병자로 진단하기가 너무나 쉬웠기 때문이다.
기득권에 철저히 반하는 이념으로 무장한 빡시게는 어느 날 길에서 한 아이를 만났다. 그 아이는 시종일관 1, 2, 3만 세고 있었다.
“왜 세 손가락만 사용하니?”
“모든 게 세 개면 족해요. 열심히 일해 번 돈을 주인에게 갖다 바치면 세 끼를 준답니다.”
“네 개를 받아도 모자랄 판에 철저히 주인에게 이용당하고 있는 멍청한 놈이구나.”
“제가 멍청한 놈이라뇨?”
빡시게는 더 이상 분을 참을 수가 없었다.
“세상이 지금 이 모양 이 꼴이 된 데에는 너 같은 놈도 책임을 져야 해”
빡시게가 아이에게 욕을 퍼붓기 시작하자 갑자기 주변에서 또래 아이들이 모여들기 시작했다. 아이들은 달려들어 힘을 모아 빡시게를 줘 팼다.
“앞으로 우리보고 네 개 이상을 세라고 말하는 자는 모두 적이다.”
어린아이들에게 얻어터진 빡시게는 코피를 닦으면서 한탄했다.
“세 개의 손가락만 사용하는 주제에 ..., 애들이 이 모양이니 세상도 이 모양이지. 정말 엿 같은 세상이야.”
그러나 세상은 본래 사람을 가리지 않는 법이다.
|
1. 위 우화를 바탕으로 소극적 자유와 적극적 자유의 관계에 대해 자유롭게 논해 본다면?
2. <보기>와 위 우화에서 발견할 수 있는 공통점과 차이점은?
<보기>
정부가 나의 소극적 자유를 보장해 준다고 해서 나의 인생 목적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은 아니야. 요즘은 취업을 할 때에도 남보다 화려한 ‘스펙’이 필요하다고. 나도 그런 스펙을 만들고 싶지만 그 경비를 마련할 방법이 없어.
|
※ 논술 이미지 트레이닝
위 우화 분석을 통해 소극적 자유와 적극적 자유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제 그 관계를 다룬 논술 문제가 어떤 식으로 구성되는지를 놓고 ‘이미지 트레이닝’을 해보자.
논제 1. 다음 제시문들을 읽고 서로 다른 두 입장을 요약해 본다면?
(가) 인간은 빵만으로 살 수 없다. 블라 블라 루소 얘기 등장
(나) 빵이 그 무엇보다 인간에게 중요하다. 국가는 개인에게 빵만 보장해 주면 된다. 나머지는 각자 알아서 해야 하는 사적 영역에 속한다. 블라 블라
(다) 개개인이 잠재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정부의 책임
(라) 정부도 자신의 이득을 극대화하려는 개인들의 모임이다. 정부가 지나치게 개인들의 관계에 개입하면, 정부는 비대해질 것이다. 그 결과는 권력 남용, 블라 블라 ... 개인의 자유 침해
|
논제 2. 위 두 입장에 따라 최저 생계비의 범위를 정해 본다면?
'GK 비판적 사고 > 쓰레기 입시 논술, 면접, 수능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표분석면접자료: 노인 빈곤층 문제 (0) | 2013.11.17 |
---|---|
판사의 판결 과정과 통계학자의 가설 테스트 과정 (0) | 2013.11.12 |
도표를 활용해 제시문 비판적으로 분석해 보기(2012연대) (0) | 2013.09.27 |
EBS 윤색문제: 앙부일구 (0) | 2013.09.26 |
관점 및 기준의 특징 찾기: 아름답다는 것 (0) | 2013.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