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ilosophers' Happiness 4

철학자들의 행복: 홉스 5. 신적인 것과 인간적인 것의 관계

신적인 것과 인간적인 것의 공조 가능성 혹은 연속성을 부정하는 홉스의 관점은 H2~H4에 반영되어 있다. 홉스 정치 철학의 핵심 논제 H2~H4는 욕구와 행복의 관계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그 관점이 어떻게 H2~H4에 반영되어 있는지를 알려면 욕구와 행복의 관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홉스는 제 6장에서 행복을 쾌락 등 특정 심적 상태나 신적인 것과 연관시키는 사고방식을 비판한다. 그리고 행복을 ‘욕구의 지속적 충족’으로 규정한다. 따라서 홉스에게 행복은 특정 심적 상태로서의 욕구가 아니다. 제 11장과 12장을 주의 깊게 분석해 보면, 홉스가 ‘욕구’를 적어도 네 가지 의미로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

철학자들의 행복: 홉스 4. 인간과 동물의 관계

H1에는 인간과 동물을 엄격히 이분하는 홉스의 관점이 깔려 있으며, 그 구분 기준은 합리적 판단 능력이다. 홉스에게 동물은 합리적 판단 능력을 결여한 존재이기 때문에, 동물과 인간의 차이는 정도의 차이가 아니라 종류의 차이에 해당한다. 홉스의 철학을 ‘이 세상의 실체는 오로지 물질뿐이라는 유물론’으로 규정할 때 주의할 것이 있다. 19세기 유행한 유물론이나 현대적 물리주의와 달리, 홉스의 유물론은 신 존재를 전제한 것이다. 홉스의 유물론은 종교적 갈등을 극복하려고 고안된 ‘새로운 신학’의 이론적 토대와 같은 것이다. 따라서 홉스의 사고방식에서 인간과 동물 사이의 진화적 연결 가능성과 같은 것을 찾아보려고 해서는 안 된다. 그 사고방식에는 인간을 신의 피조물로 간주하는 기독교적 신념이 전제되어 있다. 홉스..

철학자들의 행복: 플라톤

플라톤 소크라테스에 따르면, 참된 지식에 근거한 성찰 없이는 진정한 행복은 불가능하다. 참된 지식을 얻으려고 노력하는 철학자만이 진정한 행복을 누릴 수 있다. 그런데 유한한 인간이 실제 누릴 수 있는 행복은 영원하지 않다. 더욱이 참된 지식을 얻으려고 한다고 얻는다는 보장도 없다. 이러한 사실은 철학자에게는 좌절감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렇다면 참다운 지식을 얻으려고 하는 것과 행복을 연관시키기 위해서 철학자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신적인 영역에 속한 ‘영원하고 제한 없는 행복’은 철학자도 획득할 수 없는 것임을 아는 것이다. 다시 말해, 신적인 것을 염원하고 모방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 점은 플라톤의 「필레보스(Philebus)」, 「향연(Symposium)」, 그리고 「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