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합성 물질은 이러이러한 증상을 약화시킨다. 이 가설을 H라고 하자. H가 공인되려면, H는 ‘그 특정 합성 물질이 그러한 증상 약화에 효과가 없다’는 귀무가설(null hypothesis) Ho와의 경쟁 관계에서 우위를 점해야 한다. H를 주장하는 어느 과학자 A가 있다고 하자. A는 H를 받아들이지 않는, 그래서 Ho를 주장하는 B와 대립 관계를 맺게 된다. 그 대립 관계는 경우에 따라서는 적대적 관계로 발전해, A와 B의 관계는 서부극에 나오는 일종의 ‘결투’와 같은 모습을 보여 주기도 한다. 뇌신경계 발견사에서 찾아볼 수 있는 실례로 장-밥티스트 부요(J-B. Bouillaud, 1796-1881)와 알프레드 벨포(A. Velpeau, 1795-1867) 사이의 대결을 들 수 있다.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2549397566
부요와 벨포: 뇌신경계 발견사의 대결 구도의 한 사례
특정 합성 물질은 이러이러한 증상을 약화시킨다. 이 가설을 H라고 하자. H가 공인되려면, H는 ‘그 특...
blog.naver.com
'과학과 철학 에세이 > 역사의 단편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르타 벤츠의 인류 최초 자동차 도로 주행 (0) | 2022.05.04 |
---|---|
동계 올림픽, 젠더 평등의 역사? (0) | 2022.02.16 |
어린 알버트 실험의 알버트는 누구인가? (0) | 2021.09.17 |
다산 정약용의 말 하나 (0) | 2021.09.13 |
코끼리 메리의 교수형 1916년 (0) | 2021.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