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과 철학 에세이/잡세상 잡글

트윗질: 러시아 아나키즘

착한왕 이상하 2010. 8. 14. 17:48

* 다음은 어제 '트위터 씨부림'을 복사해 정리한 것이다. 다음은 러시아 아나키즘에 대한 소개글도 아니라, 140자 압박 속에서 채팅하듯 쓴 것임을 밝혀둔다. 여기에 올리는 것은 트위터에 올린 것을 약간 수정한 것이다.

 

 

러시아 아나키즘

 

 

1. 러시아 아니키즘 운동의 가장 오래된 형태는 기독교적 아나키즘이다. 이와 관련해 톨스토이가 자주 거론된다. 톨스토이를 중심으로 한 아나키즘 운동은 18세기 말 Quietism 종파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그 종파에 속했던 농부들은 짜르와 결탁한 정교회에 반대해 세금 거부 운동을 벌였다.

 

2. 이러한 농민들의 세금 거부 운동은 Children of God 종파의 Dukhobor를 중심으로 확대되었고, 그는 결국 투옥되었다. 이들의 세금 거부 운동에는 다음의 동기가 깔려 있었다. 국가가 해주는 것이 없는데, 왜 우리가 세금을 내야 하는가?

 

3. 무저항 정신을 바탕으로 한 톨스토이의 기독교적 아나키즘은 퀘이커 교도인 듀크호브르의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 아나키즘이 국가 권력을 부정하기 때문에 다양한 종교와 결합할 수 있다. 아나키즘 운동이 불교나 힌두교와 결합한 사례는 인도나 동남아 등지에서 발견할 수 있다. 우리 불교의 경우는 어떠한가?

 

4. 불교와 자생적 공동체 운동이 결합한 형태로 아나키즘적 요소를 불교 역사에서 발견할 수도 있겠지만, 이를 확대 해석할 수는 없다. 즉, 사회 운동의 차원에서 불교와 아나키즘이 결합했던 적은 없었다고 말해야 한다. 물론 이에 대한 반론을 제시할 수 있다면, 이것은 상당히 흥미로운 연구 결과라 할 수 있다.

 

5. 종교만이 러시아 아나키즘 운동의 뿌리가 되는 것은 아니다. 러시아 아나키즘의 또 다른 전통은 외부 사상을 토착화 시키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그 형성 과정에 영향을 미친 인물들로 Petrashevsky, Aksakov, Herzen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푸루동, 스티르너, 푸리에 등뿐만 아니라 톨스토이의 영향을 받았다.

 

6. Petrashevsky, Aksakov, Herzen 등은 평화주의자들이었다. 반면에 유럽에 본거지를 둔 바쿠닌의 아나키즘 운동은 조국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기근과 함께 짜르의 권력이 위협받기 시작하자, 유럽에서 활동하던 러시아 아나키스트들은 서로 연대할 필요성을 느꼈다. 그러한 아나키스트들 중 한 명이 크로포트킨이며, 바쿠닌도 재조명받게 된다.

 

7우리에게 친숙한 바쿠닌이나 크로포티킨, 즉 유럽에서 활동한 아나키스트 이론가들이 아니라, 러시아 내에서 아나키즘 운동을 이끈 세력들에게서 나타나는 공통점은 무엇인가?

 

8. 그것은 반지성주의(anti-intellectualism)이라 할 수 있다. 계몽주의 시대의 '엘리트적인 인간형'을 상징하는 이성과 같은 개념에 대한 혐오감은 러시아 반지성주의의 특징이었다. 반지성주의는 한 편으로는 기독교적 아나키즘, 그리고 또 한 편으로는 Herzen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그에 따르면 국가는 추상적 허구이며, 추상적이기는 마르크스주의도 마찬가지였다.

 

9러시아 아나키스트들의 이러한 반지성주의 성격으로 인해, 마르크스의 사회 변동의 과학화는 헤겔과 함께 러시아 아나키스트들의 비판 대상이 되었다. 누가 누구를 가르치는가? 사실 유럽에서도 이 문제는 마르크스와 아나키스트들 사이에 갈등의 불씨가 되었다. 이는 바쿠닌에게서 엿볼 수 있다.

 

10. 러시아 아나키즘의 뿌리가 기독교적 아나키즘이었으며, 기독교적 아나키즘 운동은 농민 운동의 성격을 갖고 있었다. 농민 운동은 민중 운동이었으며, 민중 운동에 동조하는 정치 세력은 대중성을 가져야 한다. 지성주의는 그러한 대중성을 가로 막는 장벽으로 여겨졌다. 즉, 러시아 아나키즘의 형성기인 19세기 말, 20세기 초, 지성주의는 엘리트주의와 혼용 사용 가능한 개념이었다.

 

11. 아나키스트 공동체가 거시적 차원에서 형성되려면 혁명은 필수적인가? 이 물음에 대해 긍정적으로 답한 인물은 바쿠닌이었다. 바쿠닌은 혁명에서 지식인의 역할을 강조한 러시아 아나키스트였다. 그러나 바쿠닌의 경우에도 마르크스에 대한 경계심을 늦추지 않으려는 태도를 엿볼 수 있다. 그 경계심은 단순히 마르크스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과학주의' 일반에 관한 경계심이었다.

 

12. 러시아 아나키즘의 핵심은 반지성주의, 파퓰리즘이었지만, 아나키스트들이 교육 부정론을 옹호한 것은 아니었다. 그들은 지식의 평등한 공유가 향후 아나키즘 실현 여부에 대한 성공 열쇠로 보고, 아나키즘 운동에서 교육을 그 무엇보다 중요시 여겼다.

 

13바쿠닌은 열렬한 대중 교육 옹호자였다. 대중 교육을 옹호하기 위해서는 과학, 고전, 수학, 기술에 대한 새로운 교육관이 요청되었다. 사회 기능의 측면에서, 그리고 개인의 자유의 획득 측면에서, 교육은 엘리트 지향주의에서 벗어나야 한다. 이것이 바쿠닌 교육 철학의 핵심이었다.

 

14. 바쿠닌의 아나키즘 이론과는 별개로 그의 교육 철학은 재음미해볼만하다. 하지만 바쿠닌의 교육 철학에 대한 연구는 너무나 미미하다. 기껏해야 최근 영국에서 나온 <아나키즘과 교육 철학(번역 안 된 상태)>에서 조금이나 엿볼 수 있다.

 

15. 반지성주의가 러시아 아나키즘을 대표하더라도, 1905년 이후 노동자층을 중심으로 한 아나키스트 운동가들은 유럽의 사회주의와 마르크스주의를 수용했다. 그러한 수용 과정에서 러시아 아나키즘을 대표하게 된 인물이 바쿠닌과 크로포트킨이다.

 

16그러나 사회주의와 마르크스주의의 수용은 맹목적 수용이 아니었다. 그 수용 과정은 자신들의 시대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과거 전통과 새로운 사상을 융합하는 변형 과정'에 해당한다. 이 때문에, 러시아 아나키즘을 논할 때 바쿠닌, 크로포트킨 외에도 톨스토이와 Herzen 등을 살펴보아야 하는 것이다.

 

17. 이제 다 건너 뛰고 1917년 러시아 2월 혁명 시점으로 시간을 앞당겨 보자. 아나키즘과 레닌주의는 국가를 부정한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었지만, 정치 조직의 구성법, 이론 체계에서는 다르다. 그런데 공동의 적이 있는 경우에는 이념적 차이보다는 유사성이 강조되게 마련이다.

 

18서로의 차이보다는 적을 죽이기 위해 힘을 합쳐야 한다. 이러한 주장은 레닌의 연설문에 그대로 나타나 있다. 하지만 공산주의자들과 아니키스트들 사이에는 공동의 적이 사라지기만 하면 금방 터질 것 같은 불씨가 항상 남아 있었다.  

 

 

질문과 답변

 

@sseolz @Twitsophy 유익한 트윗 감사... 근데 크로포트킨의 글에서는 과학을 순진하게 신봉하는 듯한 인상을 받았어요.. 계보가 다른건가요?

 

바쿠닌, 크로포트킨 둘다 과학이 세상을 변화시키는 데 중요한 수단이라고 믿었는데, 그 믿음 정도를 비교해해 본다면 크로포트킨이 더 강한 것이죠. 특히 크로포트킨은 바쿠닌보다 마르크스의의 영향을 많이 받은 인물인 까닭에, 크로포토킨에게서 그런 느낌을 받을 수 있숩니다.

 

@happhys 러시아의 아나키스트들이 과학주의를 경계한다는 게 여기? 마르크스의 사적 유물론?! RT @Twitsophy 러시아 아나키스트들의 이러한 반지성주의 성격으로 인해 마르크스의 사회 변동의 과학화는 헤겔과 함께 비판 대상이 되었다.

 

마르크스주의뿐만 아니라 당시 꽁트의 실증주의도 러시아 아나키스트들의 비판 대상이었습니다. 여기서 과학주의는 자연과학에 국한된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역사와 자연에 대한 확실한 지식 체계를 얻을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세상을 특정 방향으로 바꿀 수 있다는 도그마로 이해되어야 합니다. 

 

 

* 원래 트위터에서는 '바쿠닌'을 '바쿠민'으로 잘못 썼다. @tWITasWIT 님이 이를 지적해주었다.

 

'과학과 철학 에세이 > 잡세상 잡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미지 깨져 나오는 문제  (0) 2011.10.19
피타고라스 정리 그림 감상  (0) 2011.09.27
지구를 지켜라  (0) 2010.08.10
신은 치매 방지제  (0) 2010.08.07
응가라 기리기리 훔바탁  (0) 2010.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