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K 비판적 사고/GCTC 청소년 교육

19세기 말 독일의 심해 탐사(글 분석 및 구성훈련 초등 6~중등 2)

착한왕 이상하 2013. 7. 11. 22:42

* 다음 훈련 자료를 저자 이상하의 허락 없이 변형하여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금합니다.

 


 

19세기 말 독일의 심해 탐사


동물학자 춘(Carl Friedrich Chun, 1852~1914)은 1897년 ‘독일 자연탐구자와 의사 협회’에서 함부르크(Hamburg)를 출발해 남아프리카를 지나 남극해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을 거쳐 독일로 귀환하는 심해 탐사 계획안을 발표했다. 1897년 9월 21일 춘의 제안을 승인한 독일 정부는 30만 마르크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함부르크-아메리칸 라인사(Hamburg-American Line)’는 탐사를 위한 증기선을 무상으로 제공하기로 약속했다.

 

춘은 동물학자, 식물학자, 화학자, 생리학자, 사진 전문가 등 13명으로 구성된 탐사팀을 구성했다. 탐사팀에게 양도된 배는 16세기 칠레 정복자 발디비아(Pedro de Valdivia)의 이름을 딴 증기선 ‘발디비아’였다. 2천 톤 규모의 발디비아는 탐사 목적에 맞도록 개조될 필요가 있었다. 현미경 작업실, 화학 실험실, 사진실이 발디비아에 갖추어졌고, 크레흐(Adalbert Krech) 선장을 중심으로 한 8명의 항해사와 공학자 그리고 35명의 선원이 탐사팀에 합류했다. 1898년 8월 1일 저녁 발디비아는 9개월에 걸친 탐사를 위해 함부르크 쿡스하펜(Cuxhaven)을 떠났다.

 

탐사의 목적은 크게 세 가지로 압축된다. 첫째, 해양지도를 그리는 것이다. 여기서 해양지도는 단순히 항로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 각 지역 바다의 수질 상태, 투명도, 표면 흐름, 기후 등이 분석되고 기록된다. 둘째, 심해 수질의 화학적 성분을 밝히고, 각종 미생물 표본들을 수집하는 것이다. 그러한 표본들은 탐사 후 공동 연구 자료가 된다. 셋째, 심해 동식물들의 분포를 조사하고 분류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종들이 발견되기도 한다.

 

발디비아는 탐사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1899년 4월 28일 독일로 귀항했다. 춘을 비롯한 70여명의 학자들이 탐사 결과의 정리 작업에 들어갔다. 그들 중에는 1872년에서 1876년 영국의 ‘챌린저 심해 탐사(Challenger expedition)’에 참가하고, 탐사 결과를 정리함으로써 해양학(oceanography)을 탄탄히 다진 머레이(John Murray, 1841~1914)도 포함되어 있었다. 최종 결과는 춘이 죽은 후 1940년 총 24권으로 출판되었다. 오징어와 문어로 대표되는 두족류(cephalopod)는 춘 자신이 정리했다.

 

 

[물음 1] 발디비아 심해 탐사 준비 과정을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① 탐사 계획안→정부의 지원→탐사선 마련→탐사팀 구성→탐사선 개조→탐사팀 확대

② 춘의 계획안→탐사선 마련→정부의 지원→탐사선 마련→탐사선 개조→탐사팀 구성

③ 탐사 계획안→정부의 지원→탐사팀 구성→탐사선 마련→탐사팀 확대→탐사팀 개조

④ 춘의 계획안→탐사팀 구성→정부의 지원→탐사선 마련→탐사선 개조→탐사팀 확대

⑤ 탐사팀 구성→탐사 계획안→정부의 지원→탐사선 마련→탐사선 개조→탐사팀 확대

 

 

[물음 2] <보기> 중 탐사 목적을 잘못 이해하고 있는 친구는?

 

<보기>

땡칠: 해양지도는 배의 운항에 사용될 수 있겠군.

명석: 독일 연구자들만 수집된 미생물 표본들을 연구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겠군.

칠칠: 수집된 자료를 분류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종들이 발견될 수 있겠군.

 

① 땡칠 ② 명석 ③ 칠칠 ④ 땡칠, 명석 ⑤ 땡칠, 칠칠

 

 

[물음 3] 위 글의 지도를 가지고 탐사 경로를 설명해 본다면?

 

 

[물음 4] 현미경 작업실, 화학 실험실, 사진실이 발디비아에 갖추어져 있습니다. 각각은 탐사 목적에 비추어 어떤 기능을 하게 될까요?

 

• 현미경 작업실

 

 

• 화학 실험실

 

 

• 사진실

 

 

[물음 5] 다음 글 구성 방식을 고려하여 위 글을 재구성해 본다면?

 

• 해양 탐사의 목적 -> 해양 탐사의 과거 사례로서 19세기 말 독일의 발디비아 심해 탐사 -> 발디비아 심해 탐사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