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과 철학 에세이/착한왕의 개념 사전

스토아 사상의 덕 체계

착한왕 이상하 2017. 4. 26. 01:14

제논(Zenon), 클레안테스(Cleanthes), 크리시포스(Chrysippus) 등에 의해 학풍이 마련된 스토아 사상에 따르면, ‘행복하다는 것은 운명과 우연의 변덕에 굴복하지 않고 좋은 것을 획득하는 것이다. 그런데 좋은 것에 대한 합의는 힘들다. 제논의 역설, 크리시포스의 역설 등 스토아 사상에는 많은 역설들이 있는데, 이는 원리로 가정된 것들을 의심하는 회의적 사고방식이 스토아 사상에 짙게 깔려 있음을 보여 준다. 회의적 사고방식 틀 내에서 좋은 것에 대한 합의는 더욱 어려워진다. 합의의 어려운 점은 집단적 의사 결정을 저해하고 결속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인류사를 살펴보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손쉬운 방법을 채택해왔다. 그것은 공동체 구성원들의 생각과 행위를 규격화하는 규범 체계를 만드는 것이며, 고대 사회의 덕 체계는 동양에서나 서양에서나 그러한 규범 체계를 뜻한다. 이 점에서 스토아 사상이 영향력을 행사했던 로마 사회와 고대 그리스 국가 사회에는 큰 차이가 없다. 그럼에도 두 사회의 덕 체계는 다르다. 이는 다음 물음에 답해 볼 때 분명해진다.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2345800786

 

스토아 사상의 덕 체계

제논(Zenon), 클레안테스(Cleanthes), 크리시포스(Chrysippus) 등에 의해 학풍이 마련된 스토아 사상에 ...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