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722

DAC 입력 USB만 전원 활성화 방법

윈도우는 가장 강력한 오디오 커널을 갖고 있지만, 음감용으로 사용시 최적화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USB 선택적 전원 끄기 해제(전원을 절약하기 위해 이 컴퓨터가 전원을 끌 수 있음)하는 것이 음질에 좋다는 설이 인터넷에 도는데, 상식적으로 납득할 수 없다. 모든 USB가 항상 풀로 가동하면, 발열에 의한 dpc 레이턴시가 발생할 가능성도 커진다. 미니 PC의 경우, 그 결과는 치명적일 수 있다. USB 입력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만 모든 USB 선택적 전원 끄기 해제 ... 그렇지 않은 경우, DAC과 연결된 USB만 항상 상시 전원 활성화 모드로 돌아가는 게 좋다. 이렇게 하는 것은 간단하다. 설명은 글 올리는 4세대 전투용 PC로 한다.​(1) 제어판 전원 옵션 설정 관리에서 USB 선택적 절..

foo_input_sacd-2.0.0 No DSD Bypass 중요 업데이트

파이프라인 구조를 갖추어 데이터 병렬처리가 가능해진 foo_input_sacd-1.6.5가 2.0.0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2.0.0은 No DSD Bypass 기능을 갖추고 있는데, 네이티브 DSD 재생의 경우에만 DSD 신호를 직접 덱에 보내고 PCM이나 DOP 변환의 경우 신호를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기능입니다. 당연히 구동에 잇점이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파이프라인 구조 덕에 풀 파일 버퍼링 읽기 4기가로 한 상태에서도 갭리스로 녹음된 오페라 SACD-ISO 갭리스 재생이 가능합니다. 단 저 사양 PC의 경우, 곡 길이 편차가 심한 SACD-ISO나 DSD64 등 음원에서 곡 넘어갈 때 곡은 나오는데 타임이 순간 멈추는 현상도 발생합니다. 이번 업데이트에서 이런 문제가 나타나지 않게 되었고, 네이..

연장 책상선반 접이식

개인 원고 작업을 거의 하지 않아 그곳에 있는 오디오랩 M One을 4세대 PC가 있는 전투용 장소로 옮기고, 전투용 장소에 있던 진공관 앰프와 덱을 게인 원고 작업 공간으로 옮겼다. 오디오랩은 욕을 좀 얻어 먹을 게 있다. ​USB 드라이브를 10년 전에 무료로 공개된 XCore 2를 자사품 고가 앰프에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최대 샘플레이트가 고작 8192이다. 피오나 기타 중국산 업체도 무료로 풀린 XCore 2를 사용하나 그래도 윈도우 11 등에 맞추어 꾸준히 드라이브를 최적화하는 노력을 한다. 오디오랩은 이마저도 하지 않는다. 애큐릿, 노미널, 지터 조정 등 여러 기능을 갖추고 있으면 뭐하나, 드라이버 자체가 후진데 ... 레이턴시를 Low, 버퍼링을 8192로 하면 네이티브 DSD 재생에 지..

ffmpeg 업데이트 및 방법

동영상 플레이어 MPV를 장착한 푸바 버전들 foobar2000 AIO, AIO 2, MPV P의 경우 동영상 플레이에 끊김 등 문제가 있다면 ffmpeg 바이너리를 업데이트해 주어야 합니다. 없어도 가끔 (2-3달에 한번 정도) ffmpeg 바이너리를 업데이트해 주는 게 좋습니다. AV 전용 PC는 AMD인데 특정 코덱 동영상 파일에서 끊김 현상이 있어 ffmpeg 바이너리 업데이트한 버전들을 네이버 박스 푸바 공유 폴더 foobar2000 64bit v2.25 Preview Versions에 올렸습니다.​자가 업데이트 방법입니다. 간단합니다.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3960543605 ffmpeg 업데이트 및 방법동영상 플레이어 MPV를 장착한..

밀크드롭, 익스터널 태그, ESlyric 업데이트

음악 시각화 툴 밀크드롭, 익스터널 태그, ESlyric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한 foobar2000 v2.25 Preview 버전들을 네이버 박스 푸바 공유 폴더 foobar2000 v2.25 Preview Versions에 올렸습니다. 자가 업데이트는 (1)-(3) 링크한 곳에서 다운로드받아 푸바 Library->Components에서 하단 Insatll 이용해 설치 ...​(1) 밀크드롭 장착 버전foobar2000 folder P, AIO, AIO 2 AIO M, Radio Web​(2) 익스터널 태그 장착 버전foobar2000 AIO, AIO 2, AIO M, Radio, Radio Web​(3) ESlyric 장착 버전(인터넷 라디오 청취 시 가사 뜰 때 마우스 오른쪽 이용 Auto Scro..

굿바이 J-DDC (KTS 왈츠 프리의 전압 볼륨 레벨의 독특함)

오늘 JAVS J-DDC를 내보냈다. 남은 X70 le와 클린 파워 2는 새로운 덱을 들이면 서브 시스템에 붙일 예정이다. J-DDC는 사실 몇 달 전부터 사용하지 않았다. J-DDC에 문제가 있어어서가 아니라 KTS 진공관 프리앰프 Waltz 때문이다. TR 앰프 쪽에서는 J-DDC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확실히 낫다. 그런데 교류 점화 히팅 방식의 왈츠 프리 쪽에서는 아니다.​직류 변환 과정에서 교류 점화 히팅 방식의 프리 앰프는 큰 교류 리플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크고, 그 결과는 스피커 쪽 큰 잡음으로 나타난다. 이 때문에, 진공관 앰프 제작자들도 교류보다는 직류 점화 히팅 방식을 선호한다. 잘 만든 앰프가 좋은 것이기 때문에, 어느 쪽이 음질적으로 낫다는 주장은 통할 수 없다. 왈츠 프리는 잘 만..

협정서 없는 합의란

이번 미국과 한국의 관세 구두 합의는 내용상 일방 관세 협의다. 다행히 일단 15% 마지노선을 지켰다고 하나, 유럽 EU와 일본은 이미 2.5-3% 자동차 상호 관세가 있었기에 자동차는 경쟁에서 불리하게 되었다. 철강 특별 관세 50%는 건드리지 못하고, 대비 대미 투자 및 LNG 가스 구입 비용도 총 GDP 기준 일본과 EU보다 훨씬 높다. 그런데 쌀과 쇠고기를 놓고 한국과 미국에서 다른 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 과정에서 밝혀진 것이 있는데, 일본과 EU와 달리 이번 우리나라와 미국의 관세 합의는 협정서 없는 구두 합의라는 것이다.​당연하다. 국가 간 무역 협정은 양국 수장 간 최종적 동의가 이루어져야 정식 체결이 가능하다. 그리고 나서 세부 사항들을 놓고 양국 부서 간 조율이 이루어진다. 필리핀, 인..

'기억의 장소'라는 은유의 함정에 빠지지 않기: 환자 HM의 사례, 연구 대상의 연구 제한성 그리고 기억과 삶

생리학사, 신경 과학, 인지 과학 및 심리학의 역사를 연구자, 과학자, 의사 등 전문가들의 결과물로만 치장할 수 없다. 그것을 가능하게 만든 데에는 특정 동식물뿐만 아니라 연구 대상으로서의 환자들의 기여가 컸다. 연구 대상 없는 연구란 불가능하다. 실험 과학 및 의학의 경우, 연구에 미치는 연구 대상의 제한성은 강하다. 연구 대상 확보가 연구의 성공 출발점일 수 있기 때문에 그리고 연구 대상 확보가 어떤 정해진 수순을 밟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실험 과학 및 의학의 발견에 우연적 사건이 개입한 사례는 상대적으로 많을 수밖에 없다.​학회지 인용 수만 고려할 때, 집중 연구 대상으로서 가장 유명한 환자는 HM일 것이다. 그를 직간접적으로 다룬 학회지 논문 수는 그의 생애 동안 약 12,000개에 달한다. 무..

국민 소환제

2025년 7월 26일 대만에서 국민 소환 투표제(recall referendum)가 시행된다고 한다. 대만은 지역구가 113곳인데, 31개 지역구에서 26일 동시 투표가 진행되는 것이다. 투표 결과에 따라 31명 의원들의 생사가 갈리는 것이다. 우리와는 다르게, 대만은 진보 진영 정당인 민진당은 친미, 보수 진영 정당인 국민당은 친중이다. 다수당인 국민당이 예산안 등에 제동을 걸자, 민진당 지지 시민들과 중도 성향 민중당 지지 시민들이 합세해 소환 투표 발의 운동을 벌였다. 대만의 경우, 지역구 시민 10% 동의가 있으면, 소환 투표를 하게 된다. 31개 지역구 소환 대상 의원들은 국민당 소속이기 때문에, 이번 선거 결과로 민진당이 다시 다수당으로 등극할 가능성은 상당히 크다고 한다. 이러한 방식의 국..

으뜸가전 환급사업? 국내 기업들만 불리하게 만든 정책

경제 정책은 세밀한 부분까지 들여다 보며 짜야 한다. TV를 보자. 중국산 저가 LCD TV 공세에 밀린 국내 삼성이나 LG는 OLED 스마트 TV를 주력으로 하고 있다. 차별화된 상품으로 상대적 영업 이익을 높여야 하기 때문에, 지능형 어쩌고 저쩌고 여러 기능들이 들어가 있다. OLED 패널 자체는 LCD보다 저전력 구현이 가능하다고 하나 이건 아직까지 이론적으로 그런 것이고, 국내산 고급 TV들은 에너지 1등급 효휼을 맞추기 힘들다.​친환경 좋다. 또 내수 활성화 정책도 당연히 필요하다. 그런데 에너지 1등급을 갖춘 가전제품에 대해 국가가 국민 세금으로 10% 환급해 준다. 이런 식으로 친환경과 더불어 내수 활성화가 가능하다는 발상은 도대체 어느 대가리에서 나온 것일까? 이게 황당한 정책인 이유는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