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응보론, 억제론, 재활론에 따른 범죄의 규정 및 처벌적 정의의 해석 방식은 달라진다. 이 때문에, 그 세 가지 입장들의 관계를 양립 불가능한 것으로 파악하는 입장이 있다. 반면에 각각의 이론 틀이 갖는 적용 영역의 특수성에 근거해 세 가지 이론 틀을 적절하게 혼합하는 절충주의적 입장이 있다. 그 어떤 입장을 택하든 간에, 세 가지 이론 틀과 무관한 혹은 그것들에 앞선 ‘처벌적 정의의 절차적 세 원칙들’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절차적 관점에서 공정한 법제를 마련할 때 이론적 해석이나 정당화에 앞서 지켜져야 할 세 가지 원칙들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2035709731
디드로, 복수와 처벌적 정의
1. 응보론, 억제론, 재활론 최근 2018년 개봉 프랑스 영화 ‘마드무아젤, 위대한 유혹(Lady J, Mademois...
blog.naver.com
'과학과 철학 에세이 > 역사의 단편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거가 없는 남자, 피니시 탱고, 사투마 (0) | 2019.11.18 |
---|---|
마드무아젤, 디드로, 복수와 처벌적 정의 4-7. 개인적 복수와 법적 처벌의 구분 (0) | 2019.10.23 |
마드무아젤, 디드로, 복수와 처벌적 정의 1-2. 응보론, 억제론, 재활론 (0) | 2019.08.14 |
1964년 도쿄 올림픽과 일본 민족주의의 부활 (0) | 2019.05.21 |
일본 제국주의 1861-1945, 사례 연구들 (0) | 2019.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