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이스라엘에는 유대인들과 대등한 법적 권리를 보장받고 함께 살고 있는 2백만 명 이상의 아랍계 시민이나 영주권자들이 있다. 이들은 현 가자 지구 및 서안 지구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아니다. 2023년 하마스의 학살적 침공으로 벌어진 이번 전쟁에 대한 그들의 반응은 어떠할까? 이 물음에 답하기 전에, 친 이스라엘 대 친 팔레스타인으로 양분된 국제적 여론 양분 현상의 역사적 뿌리를 먼저 지적하자. 다음 지도 변천사의 문제점을 살펴보는 것만으로도 그 역사적 뿌리를 짐작해 볼 수 있는데, 실제 양상은 그 두 입장의 중간 지점 정도에 위치할 것이다.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3249752486
2백만 이스라엘 아랍 시민들. 하마스에 대한 그들의 반응
현재 이스라엘에는 유대인들과 대등한 법적 권리를 보장받고 함께 살고 있는 2백만 명 이상의 아랍계 시민...
blog.naver.com
'과학과 철학 에세이 > 진보의 시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소가스, 독극물 주사, 총살: 인도적 사형 방법은? (0) | 2024.01.27 |
---|---|
이란의 반민주적 민주제. 혁명 이전과 이후 (0) | 2023.11.13 |
하마스의 반유대주의와 쿠틉의 자힐리야 개념 (0) | 2023.10.11 |
단식 투쟁과 강제 급식에 관한 WMA 협정. ‘병상 단식 투쟁’은 성립 가능한 것인가? (0) | 2023.09.18 |
정당한 단식 투쟁? 인과 분석 얼개 (0) | 2023.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