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은 하청을 받아 제작하는 EBS 윤색 문제 세트 중 맛보기에 해당한다. 윤색 및 문제 개발자 이상하의 허락 없이 다음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금한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경제 변수에는 상대적으로 빠르게 변하는 저속 변수와 느리게 변하는 고속 변수가 있다. 나누어 볼 수 있다. 경제학자 돈부시는 환율과 물가의 움직임을 분석하면서 저속 변수의 변화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고속 변수가 오버슈팅을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오버슈팅에 대한 예를 들어 보자. 현재 환율 수준과 물가 수준이 각각 100이라 하자. 그런데 정부가 통화량을 증가시키는 등 확장 정책이 나오면서 환율과 물가 수준의 새로운 균형이 각각 200이 되어야 하는 상황이 도래했다고 하자. 새로운 균형으로 가는 과정에서 특이한 현상이 발생한다. 물가는 저속으로 변하고 환율은 고속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물가가 100 근처에서 서서히 오를 준비를 하는 과정에서 환율은 예를 들어 300까지 올라간다는 것이다. 그러고 나서 시간이 지나면 물가는 서서히 오르게 되고 환율은 오히려 떨어지면서 200 수준을 찾아가는 것이다. 환율이 200을 넘어 300까지 갔다가 200으로 떨어지는 모습이 나타나는 것처럼 고속 변수가 균형을 찾는 과정에서 균형 수준을 넘어 급등하거나 급락하는 현상을 오버슈팅이라 한다.
이런 오버슈팅을 보이는 변수로는 환율 이외에도 주가를 들 수 있다. 주가는 미래에 대한 예상을 반영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주식의 적정가를 산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주가는 미래에 대한 예측 변화에 따라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가운데 균형을 찾아 움직이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상승과 하락이 반복되는 상황에서 모든 경제 변수가 비슷한 속도를 가지고 있다면 상대적으로 고속 변수의 오버슈팅이 관찰될 가능성은 매우 줄어들겠지만, 경제 변수의 변화 속도에 차이가 존재하고 예상에 따라 움직이는 현실에서는 이러한 움직임을 피할 수 없게 될 것이다.
금리의 움직임은 주가나 환율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완만하다. 금리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금리에 균형 수준이 존재하고 금리는 이러한 균형 수준보다 약간 올랐다가 다시 내려오고 균형 수준 이하로 갔다가는 다시 올라오는 경향이 있음을 관찰하고, 이러한 움직임을 ㉠평균 회귀 현상이라 불렀다. 이러한 현상은 주가에도 적용된다. 가끔 적정한 수준에서 유지되던 주가가 별다른 이유 없이 올랐다가는 떨어지고 떨어졌다가는 다시 제자리를 찾는 현상이 관찰된다. 이처럼 적정 수준을 기준으로 주가가 등락을 반복할 때 평균 회귀 현상이 관찰되는 것이다.
오버슈팅과 평균 회귀 현상을 잘 이용하면 이윤을 창출할 수 있다. 주가에 오버슈팅이 생기면 단기적으로 매도 기회가 주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평균 회귀 또한 주가가 적정 주가에 비해 떨어지면 매수 기회로, 오르면 매도 기회로 볼 수 있다. 단기적인 주가의 움직임을 반영하여 그때그때 비율을 조정하는 기법을 전술적 배분이라 하는데, 평균 회귀와 오버 슈팅은 이 전술적 배분에 중요하다. 지나치게 오를 경우 주식의 일부를 팔아 단기적으로 비중을 줄이고, 반대로 지나치게 떨어질 경우 주식을 더 사들여 단기적으로 비율을 상향 조정하는 것이다.
1. <보기> 중 위 글에 근거한 판단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다면?
|
보 기 |
|
(가) 물가와 환율은 각각 저속 변수와 고속 변수를 대표하는군. (나) 물가와 환율과 달리 딱히 저속 변수와 고속 변수로 분류하기 힘든 경우는 없군. (다) 환율의 오버슈팅이 발생하는 경우, 환율은 반드시 오르게 되어 있군. (라) 금리뿐만 아니라 주가도 오르락내리락 하면서 균형 수준을 찾아 가는군. |
① (가), (나) ② (가), (라) ③ (나), (다) ④ (다) ⑤ (다), (라)
2. 현재 환율 수준과 물가 수준을 각각 100이라고 하자. 환율과 물가 수준의 새로운 균형이 각각 75가 되어야 하는 상황이 도래했다고 하자. 물가가 서서히 하락하면서 환율의 오버슈팅 현상이 발생했다. 이를 보여 주는 다음 그래프에 대한 판단으로 적절한 것은?
① X축에는 물가, 그리고 Y축에는 환율이 들어가야 하는군.
② 환율은 물가가 제 자리로 잡아 가는 동안 급격히 상승하겠군.
③ B와 A의 선분은 환율의 오버슈팅을 나타내는군.
④ 물가가 D 수준에 도달했을 때에도 환율은 여전히 하락하고 있겠군.
⑤ 환율이 제자리로 잡아 가는 동안 물가는 급격히 하락하겠군.
3. <보기>의 빈 칸에 들어가야 하는 것은?
|
보 기 |
|
채권 가격과 금리만을 고려할 때 둘 사이에는 일반적으로 반비례 관계가 성립한다. 올해 초 4.28%였던 국고채 3년 금리는 9월 말 현재 3.16%로 하락했다. AAA 등급의 무보증 회사채 3년 금리도 4.41%에서 3.5%까지 하락했다. 예상보다 빠른 속도의 ( 가 ) 하락으로 현재 ( 나 )은 많이 오른 상태다. 이러한 상태에서 채권형 펀드에 투자한 사람들은 손해를 볼 수 없다. 채권 시장에는 특별한 변동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 금리는 이제 하락세가 꺾여 곧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투자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조언을 해 주고 싶다.
• ( 다 ) |
|
(가) |
(나) |
(다) |
① |
금리 |
채권 가격 |
지금이 국고채를 사들여야 하는 시기입니다. |
② |
금리 |
채권 가격 |
이제 채권 시장에서 발을 빼십시오. |
③ |
금리 |
채권 가격 |
금리가 더 하락할 때까지 기다립시오. |
④ |
채권 가격 |
금리 |
이제 채권형 펀드를 팔아야 할 시기입니다. |
⑤ |
채권 가격 |
금리 |
금리가 더 상승하기 전에 회사채를 파십시오. |
4. <보기>에서 영이가 주식 투자에 실패한 이유를 설명한다고 할 때, 적절하지 않은 것은?
|
보 기 |
|
영이는 미래 지향적 소프트웨어 벤처 회사 ‘잡스 & 게이츠’의 주식을 갖고 있다. 이 회사가 핸드폰 부품을 생산하는 모 기업을 사들이자, 이 회사의 주가는 폭등했다. 영이는 인터넷을 통해 배운 전술적 배분 기법에 따라 ‘잡스 & 게이츠’ 주식을 매도했다. 삼년이 지난 후 영이는 한탄했다. 그 사이 ‘잡스 & 게이츠’ 사는 한 국가의 다국적 기업으로 성장했기 때문이다. 주식의 가치는 수요의 공급에 좌우되는 실물 경제뿐만 아니라 미래에 대한 사람들의 비전(vision)이나 기대감, 그리고 이에 부흥하는 기업의 기술력 등에도 의존적이다. |
① 미래에 대해 예측하기 힘들기 때문에, 주가는 오르락내리락 거리지.
② 그래서 적정 수준을 기준으로 주가의 평균회귀 현상이 나타나지.
③ 전술적 배분 기법에 의하면 주가의 오버슈팅 현상이 일어날 때 주식을 매도하는 것이 현명해.
④ 그렇지 전술적 배분 기법에 의하면 주식은 장기적 투자에는 적합하지 않아.
⑤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기업의 기술력을 고려하는 사람은 단기 투자에 적합한 기법에만 의존해서는 안 되지.
'GK 비판적 사고 > 쓰레기 입시 논술, 면접, 수능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학 문제는 배경 지식을 알아야 쉽게 풀릴까? (0) | 2011.12.20 |
---|---|
EBS 윤색 문제: 이집트 미술 (0) | 2011.12.16 |
문제를 통해 개념 익히기: 호텔링 모델(Hotelling's Model)과 다운스 역설 (0) | 2011.09.18 |
허생전 단락별 요약 (0) | 2011.08.15 |
문제를 통해 개념 익히기: 실체 (0) | 2011.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