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생전 단락별 요약
1. 글만 읽은 허생 |
12. 백성들에게 남은 돈을 주고도 남은 십만 냥으로 변씨에게 빌린 것을 갚은 허생 |
2. 아내의 투정으로 책을 덮고 일어난 허생 |
13. 돈 욕심이라고는 없는 허생에게 감복한 부자 변씨는 허생의 가족을 돌보아 주기로 한 허생과의 약속을 지킴 |
3. 십년을 책 읽기로 보내려고 했으나 저자거리로 나오게 된 허생 |
14. 어떻게 백만 냥을 벌 수 있었느냐는 변씨의 물음에 대해 답하면서, 독점만으로도 많은 돈을 벌 수 있는 조선의 세태를 한탄하는 허생 |
4. 변씨라는 부자를 찾아가 만 냥을 빌린 허생 |
15. 욕심이 없었기에 성공을 자신했던 허생 |
5. 허생의 영민함과 특별함을 눈치채고 만 냥을 준 변씨 |
16. 인재가 있어도 등용될 수 없는 현실을 조성기와 유형원을 예로 들어 한탄하는 허생 |
6. 만 냥을 얻어 경기도와 충청도에 인접한 안성에 머무르면서 대추, 밤, 감, 석류 등을 매전 매석하여 많은 돈을 벌었지만, 겨우 만 냥으로 온 나라 경제를 좌지우지할 수 있음에 탄식하는 허생 |
17. 변씨는 평소 친분이 있던 이완 대장에게 허생을 소개함 |
7. 칼, 호미, 베, 명주, 솜을 사 제주도에 들어가서 말총을 거둬 들인지 얼마 지나지 않아 값이 오른 망건 덕에 돈을 쓸어 담은 허생 |
18. 난세를 극복하기 위해 와룡 선생과 같은 인물을 천거할 테니 임금이 그의 초가집까지 세 번 찾아가게 하실 수 있느냐는 허생의 요청에 완곡히 거절하는 이완 |
8. 사공의 도움으로 작지만 기름지고 물이 풍부한 섬으로 간 허생 |
19. 조선에 흘러들어온 옛 명나라 장병들에게 종실의 딸들을 시집보내고 세도가의 재산을 빼앗아 그들이 쓰게 해 줄 수 있느냐는 허생의 요청에 완곡히 거절하는 이완 |
9. 허생이 변산의 도둑 두목을 설득해 도둑떼를 섬으로 불러 모운 후, 조용해진 나라 안 |
20. 청나라가 가장 먼저 항복한 조선에 대해 좋은 감정을 갖고 있으니, 이를 역이용하여 청나라와의 교류를 돈독히 하는 가운데, 지식인은 빈공과에 응시하도록 하고, 고관 자제들은 중원의 호걸들과 친분을 맺어야 한다는 허생의 제안을 거절한 이완 |
10. 농사를 지어 거둔 곡식을 당시 일본의 속주인 장기도에 팔아 백만 냥을 거둔 허생 |
21. 조선 사대부들이 오랑캐와 구분해 준다고 믿는 상투마저도 중국에서 본다면 남만 오랑케의 풍습에 불과한 것이며, 조선은 원래 이맥의 오랑캐의 땅임을 강조하면서 이완을 질책하는 허생 |
11. 배를 불사르고 오십만 냥을 바다 속에 던진 후, 조선으로 돌아온 허생 |
22. 양반의 체면치레에 불과한 관습을 지키는 것과 군자의 덕을 쌓는 것을 구분하지 못한 채 세태의 변화에 둔감한 조선 사대부들을 실랄한게 꾸짖은 후, 속세에서 사라진 허생 |
'GK 비판적 사고 > 쓰레기 입시 논술, 면접, 수능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EBS 윤색 문제: 오버슈팅 (0) | 2011.09.19 |
---|---|
문제를 통해 개념 익히기: 호텔링 모델(Hotelling's Model)과 다운스 역설 (0) | 2011.09.18 |
문제를 통해 개념 익히기: 실체 (0) | 2011.07.03 |
수능 문제 만들어 보기: 밤하늘 (0) | 2010.09.12 |
EBS연계문제: 공감주술 (맛보기) (0) | 2010.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