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K 비판적 사고/쓰레기 입시 논술, 면접, 수능언어

고등학교 과정 윤리학 분류 방식

착한왕 이상하 2013. 2. 11. 03:08

* 다음 자료를 저자 및 문제 개발자 이상하의 허락 없이 변형하여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금한다.

 

 


 

 

고등학교 과정 윤리학 분류 방식

 

 

고등학교 과정 윤리학은 서양 윤리학의 교과서적 분류 방식에 따라 크게 ‘목적론적 윤리학(teleological ethics)’과 ‘의무론적 윤리학(deontological ethics)’으로 나누어 소개되고 있다. 목적론적 윤리학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 기원 전 3세기 제논에서부터 기원후 2세기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로 이어진 스토아학파의 윤리학, 그리고 공리주의와 현대적 결과주의가 속한다. 의무론적 윤리학은 칸트를 중심으로 소개되고 있다. 그런데 어느 윤리학자든 그의 이론을 깊게 파고드는 경우 목적론적 측면과 의무론적 측면을 띠게 마련이다. 특히 목적론적 윤리학에 속하는 ‘아리스토텔레스 및 스토아학파의 윤리학’과 근대 이후 탄생한 ‘공리주의 윤리학’의 차이를 알지 못하면, 근대 이후의 공리주의 전통과 의무론적 윤리학 전통 사이의 대립 관계를 확대 해석하여 ‘목적론적 윤리학과 의무론적 윤리학을 서로 양립 불가능한 것’으로 단순하게 여기는 착각에 빠지기 쉽다. 이 글의 목적은 개인적으로 그 내용이나 구성 방식에 대해 만족할 수 없는 현행 고등학교 과정 윤리학의 분류 방식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아래 도식을 아주 간략히 해석할 것이다. 여기서 ‘아주 간략히 해석한다는 것’은 ‘수능이나 논술에 나오는 제시문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정도로 고등학교 과정 윤리학의 분류 방식을 소개한다는 것’에 국한된다. 따라서 이 글의 내용은 서양 윤리학 전통에 대한 나의 개인적인 평가 방식과는 무관함을 밝혀 둔다.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2016359132

 

쓰레기 논술 배경 지식: 고등학교 과정에서의 윤리학 분류 방식

고등학교 과정의 윤리학은 서양 윤리학의 교과서적 분류 방식에 따라 크게 ‘목적론적 윤리학(teleological...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