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를 바탕으로 한 다음 토론 자료를 개발자 이상하의 허락 없이 변형하여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금한다.
밝혀진 피카소 천재성의 일부: 가정용 페인트를 그림에 이용하다
FEBRUARY 10, 2013 Live Scienc
Pablo Picasso, famous for pushing the boundaries of art with cubism, also broke with convention when it came to paint, new research shows. X-ray analysis of some of the painter's masterworks solves a long-standing mystery about the type of paint the artist used on his canvases, revealing it to be basic house paint.
Art scholars had long suspected Picasso was one of the first master artists to employ house paint, rather than traditional artists' paint, to achieve a glossy style that hid brush marks. There was no absolute confirmation of this, however, until now.
Physicists at Argonne National Laboratory in Lemont, Ill., trained their hard X-ray nanoprobe at Picasso's painting "The Red Armchair," completed in 1931, which they borrowed from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The nanoprobe instrument can "see" details down to the level of individual pigment particles, revealing the arrangement of particular chemical elements in the paint.
The analysis showed that Picasso used enamel paint that matches the precis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first brand of commercial house paint, called Ripolin. The researchers were able to compare the painting's pigment with those of paints available at the time by analyzing decades-old paint samples bought on eBay.
What's more, the detailed study, which used X-rays to probe the painting's pigment down to the scale of 30 nanometers (a sheet of copier paper is 100,000 nanometers thick), was able to pinpoint the manufacturing region where the paint was made by studying its particular impurities.
"The nanoprobe at the [Advanced Photon Source X-ray facility and the Center for Nanoscale Materials] allowed unprecedented visualization of information about chemical composition within a singe grain of paint pigment, significantly reducing doubt that Picasso used common house paint in some of his most famous works," one of the research leaders, Argonne's Volker Rose, said in a statement.
Art scholars think Picasso experimented with Ripolin to achieve a different effect than would've been possible with traditional oil paints, which dry slowly and can be heavily blended. In contrast, house paint dries quickly and leaves effects like marbling, muted edges, and even drips of paint. Still, experts couldn't be sure house paint was the key to Picasso's look without proof.
"Appearances can deceive, so this is where art can benefit from scientific research," said Francesca Casadio, senior conservator scientist at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We needed to reverse-engineer the paint so that we could figure out if there was a fingerprint that we could then go look for in the pictures around the world that are suspected to be painted with Ripolin, the first commercial brand of house paint."
The scientists detailed their findings in a paper published last month in the journal Applied Physics A: Materials Science &Processing.
* 알아 두기
push A with B: B로 A를 확장하다(밀다/ 넓히다).
pigment: 안료, 도료, 물감
unprecedented: 전례(선례)가 없는/ 획기적인/ 참신한
나노란?
나노(nano)란 10억분의 1을 나타내는 단위로 고대 그리스에서 난쟁이를 뜻하는 나노스(nanos)란 말에서 유래됐다. 1나노미터(㎚)라고 하면 10억분의 1m의 길이, 즉 머리카락의 1만분의 1이 되는 초미세의 세계가 된다. 이를테면 원자 3∼4개가 들어갈 정도의 크기다.
• 나노 시대 = 일상생활이 나노 기술을 기반으로 하게 되는 미래의 시대
1. 위 글에 근거한 판단으로 적절한 것에 대해서는 ‘O’를, 그리고 적절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X’를 표기하시오.
(1) 피카소 이전에는 입체파 화풍은 값진 미술품으로 취급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어.
( )
(2) 피카소는 예술 영역을 넓힌 인물 중 한 명이군. ( )
(3) 모든 물리학자는 그림에 사용된 재료와 기법에 관심을 갖고 있군. ( )
(4) 그림에 사용된 기법이나 재료를 아는 데 물리학이 도움을 줄 수도 있군. ( )
(5) 엑스선 나노탐침은 소재의 알갱이를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 물리학의 기법 중 하나이군. ( )
(6) 피카소 이전에도 가정용 페인트로 그림을 그린 사람들이 많았을 것이야. ( )
(7) 새로운 표현 방식을 실현하기 위해 기존과는 다른 방식으로 소재나 재료를 사용하는 예술가들이 있어. 그들의 표현 방식은 너무나 획기적이어서 다른 예술가들로부터 인정받기 힘들 것이야. ( )
(8) 만약 광택을 내는 가정용 페인트가 피카소 당시에 없었더라면, 피카소는 ‘빨간 안락의자’를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그리지 못했어. ( )
(9) 나노탐침 기법으로 ‘빨간 안락의자’의 물감을 분석해도 그림이 훼손되지는 않아. 왜냐하면 복사 용지 두께에 비해 아주 작은 양의 물감 입자만 가지고도 그 성분을 분석해낼 수 있는 기법이 나노탐침 기법이기 때문이야. ( )
2. ‘예술이 과학과 기술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결론을 위 글에서 이끌어 내는 경우, 그 결론에 대한 두 가지 근거를 든다면?
(가)
(나)
3. 다음 도식을 사용하거나, 아니면 다음 도식을 참조해 새로운 도식을 만들어 글을 완성시켜 본다면?
'GK 비판적 사고 > GCTC 청소년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티븐슨의 <지킬 박사와 하이드> (최아현 중 3) (0) | 2013.05.29 |
---|---|
남존여비 사상과 사대주의 사상은 지금 사라졌을까?(신민주 중1) (0) | 2013.05.28 |
기사 써보기: 언어 구사력과 분노 조절의 관계 (0) | 2013.01.25 |
GCTC 청소년 토론: 두개골 천공술 (0) | 2013.01.09 |
니코마쿠스의 평균 목록(Nicomachus’ List of Means) (0) | 2012.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