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K 비판적 사고/GCTC 퀴즈, 단문, 중문 추론 82

추리 논증 훈련 18. 천리마 카리마(상황 분석/벤 다이어그램)

살펴볼 [표본 18]은 참 거짓 판단에 상황 분석이 가미된 복합형 문제 유형이다. 이러한 종류의 문제를 풀 때 주의해야 할 것이 있다. 문제의 지문이나 보기에 주어진 전제들뿐만 아니라 선택지에 등장하는 조건들도 전제들로 처리해 문제를 풀어야 한다. ​ 표본 18. 한때 유니콘들이 지구에 살았다고 하자. 오로지 날 수 있는 말들만 유니콘들이다. 카리마는 천리마이다. 다음은 이 전제들을 바탕으로 추정한 것이다. 반드시 참인 것은?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3333532082 추리 논증 훈련 18. 천리마 카리마(상황 분석/벤 다이어그램) 살펴볼 [표본 18]은 참 거짓 판단에 상황 분석이 가미된 복합형 문제 유형이다. 이러한 종류의 문제를 풀 ... b..

추리 논증 훈련 17. 알 수 없는 경우(벤 다이어그램/참 거짓 판단)

이 표본 문제는 전형적인 참 거짓 판단의 문제 유형에 속한다. 단순한 문제 유형이다. 하지만 지문이나 보기에 여러 종류의 논증 형식 및 논증 종류가 들어 있기 때문에, 참 거짓 판단 문제는 의외로 까다로울 수 있다. 적성시험이 제도적으로 정착하면서, 벤 다이어그램 기법을 알아야 하고 그것을 이용해 풀 수 있는 문제들이 있다는 착각의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벤 다이어그램을 이용해 풀리는 문제는 집합론의 기법들만 가지고도 해결 가능하다. 벤 다이어그램 기법 사용이 사고 훈련에 도움을 준다면, 그 기법을 제시문으로 처리하고 시각 추리 능력을 테스트하는 방식의 문제가 적합하다. 다음은 이 점을 고려하지 않고 현 적성시험 출제 방식에 따른 것이다. 그러한 출제 방식은 바뀌어야 마땅하다. https://blog.na..

추리 논증 훈련 15-16. 도덕제국주의(정언명제 조작/논지 찾기/ 참 거짓 판단)

* 적성시험의 정언명제 조작에서 술어논리를 빌린 형식 표현들은 엄밀한 것이 아니며, 무조건 성립하는 것도 아니다. 정언명제 조작에 숨겨진 항 논리 혹은 범주 논리의 어떤 형식에 특정 술어논리 형식을 대응시키는 것은 무조건 성립하는 것이 아니다. 논리학에 진정한 관심을 가진 수험생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 후 시험 준비 과정에서 배운 것은 전부 버리고, 논리학의 형식들에 대한 경계 조건들을 치밀하게 보여 주는 ‘제대로 된 논리학 교재’를 다시 보라. 안타깝게도 그러한 ‘제대로 된 논리학 교재’는 매우 드물다. 범주 개념들의 외연 혹은 모임들 관계를 시각 추리 방식의 문제로 등장시키는 것에 반대하지 않는다. 그런데 ‘어떤’, ‘그 어떤’, ‘모든’ 등이 등장하는 우리말 표현에서 부정은 맥락에 따라 진술 전체 ..

추리 논증 훈련 14. 울랄라(시각 추리/논리적 판단)

[표본 14] 역시 복합형 문제에 해당한다. 이번 경우는 시각 추리가 가미된 논리적 판단 유형의 문제이다. 문제에 주어진 조건들이 시각 표상이나 도식에 어떤 식으로 반영되어 있는지를 파악해야, 문제가 풀린다.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3188602026 추리 논증 훈련 14. 울랄라(시각 추리/논리적 판단) [표본 14] 역시 복합형 문제에 해당한다. 이번 경우는 시각 추리가 가미된 논리적 판단 유형의 문제이다. ... blog.naver.com

추리 논증 훈련 12-13. 배우자 선별(짝맞추기 게임/ 수리 추리)

논리 게임의 문제는 복합형인 경우가 많다. [표본 12]와 [표본 13]은 짝 맞추기 게임에 수리 추리가 가미된 것이다. 문제에 주어진 조건들에 대한 시각 표상이나 시각적 도식화가 문제 해결에 결정적 역할을 하기도 한다.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3159538095 추리 논증 훈련 12-13. 배우자 선별(짝맞추기 게임/ 수리 추리) 논리 게임의 문제는 복합형인 경우가 많다. [표본 12]와 [표본 13]은 짝 맞추기 게임에 수리 추리가 가미된... blog.naver.com

추리 논증 훈련 11. 수리 추리/논리적 판단

적성시험에 등장하는 수리추리 문제는 전문적인 수학적 지식이 아니라 일반 교과 과정의 지식에 근거해 풀 수 있는 것에 국한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집합의 포함관계에 근거한 문제를 들 수 있다. 하지만 집합론에 근거한 수리 추리 문제 또한 논리적 판단에 근거해야 풀리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선택지의 내용이 주어진 제시문에서 추리 가능한 것인지, 필연적인 것인지를 구분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3126114170 추리 논증 훈련 11. 수리 추리/논리적 판단 적성시험에 등장하는 수리추리 문제는 전문적인 수학적 지식이 아니라 일반 교과 과정의 지식에 근거해 풀 ... blog.naver.com

추리 논증 훈련 9-10. 코끼리, 모델 선발(논리 게임/논리적 동치관계)

논리 게임은 논리적 판단에 근거한 게임의 일종이다. 그런데 ‘논리적 판단’이라는 것이 항상 논리적 동치관계와 같은 형식 논리학의 지식을 전제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따라서 논리 게임의 영역에는 형식 논리학의 지식을 동원해야 풀리는 문제 유형이 있고, 그렇지 않은 문제 유형이 있다. [표본 9]는 후자 유형의 문제로서 위치 찾기 게임에 해당한다.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3100532831 추리 논증 훈련 9-10. 코끼리, 모델 선발(논리 게임/논리적 동치관계) 논리 게임은 논리적 판단에 근거한 게임의 일종이다. 그런데 ‘논리적 판단’이라는 것이 항상 논리적 동치... blog.naver.com

추리 논증 훈련 8. 벼룩(결론 찾기/가설 추리 논증)

아래 [표본 8]의 에 함축된 논증 또한 인과 논증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런데 인과 논증의 결론이 항상 원인에 대한 결과가 되는 것은 아니다. 문제의 맥락에 따라 결과에 대한 원인이나 원인과 결과의 관계가 결론일 수도 있다. 특히 설명을 요구하는 단서로부터 결과에 대한 원인을 추정하는 인과 논증의 경우가 그렇다. 인과 논증의 결론이 원인과 결과 중 무엇인지를 파악하면, 결론 찾기가 쉬워진다. ​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3073610718 추리 논증 훈련 8. 벼룩(결론 찾기/가설 추리 논증) 아래 [표본 8]의 에 함축된 논증 또한 인과 논증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런데 인과 논증의 결... blog.naver.com

추리 논증 훈련 6-7. D.J. 코코모(결론 강화/유사한 논증 찾기)

주어진 전제로부터 그럴듯한 결론을 끄집어내는 논증 과정은 귀납으로 분류된다. 인과 논증이 항상 귀납 논증으로 분류되는 것은 아니지만 귀납 논증을 대표하는 하나의 논증 유형에 해당한다. 결론을 강화시켜 준다는 것은 어떤 전제를 보충함으로써 귀납 논증의 결론을 더욱 그럴듯하게 해준다는 것이다. 특히 결론이 어떤 원인의 결과인 경우, 결론을 강화시켜 주는 전제는 결과에 대한 증거나 원인들과 결과를 연결시켜 주는 숨은 가정이 된다. 유사한 논증 찾기 문제를 접할 때, 주어진 논증이 연역과 귀납 중 어느 쪽에 가까운지를 먼저 구분해야 한다. 그러한 구분을 ‘논증의 범주적 구분’이라고 하자. 실제 내용적 논증에서 연역과 귀납의 엄격한 구분은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논증의 범주적 구분의 내용적 기준은 무엇인가? 전제..

추리 논증 훈련 4-5. 메타돈 유치법(논지 찾기/가설 평가)

추리 논증 훈련 시리즈는 옛날 옛적에 돈벌이로 1달 정도에 거쳐 만든 80개의 문제들로 구성되어 있다. 추리와 논증에 대한 나의 입장에 따른 것들은 아니다. 리트를 포함한 각종 적성 시험 출제 경향을 고려하여 만든 것들이다. 그 경향을 좋게 평가할 수 없다. 타고난 문제 해결 능력을 자연스럽게 강화시켜 주기보다는 특정 형식이나 양식에 끼워 맞추는 방식의 억지스러운 것으로 나는 판단하기 때문이다. 어쨌거나 추리 논증 훈련 시리즈 1-80을 수정하여 하나씩 올린다. ​ * 논지 찾기, 가설 테스트/ 논증적 독해, 논증 및 논리의 다양성 [표본 4]는 논지 찾기, 그리고 [표본 5]는 가설 테스트와 관련된 문제이다. 논지는 문제의 맥락에 따라 핵심 결론이나 논증 전체를 효과적으로 압축시킨 것을 뜻한다. 내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