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과 철학 에세이/비판적 사고

1.1 약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

착한왕 이상하 2010. 3. 1. 02:52

1. 약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와 강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

 

비판적 사고 훈련 과정이 만족해야 할 두 조건은 교수법의 목적과 같은 것이다. 목적 달성은 현명한 수단을 요구한다. 이를 도식화해 보면 다음과 같다.

 

목적

수단

[조건 1] 비판적 사고 능력의 소유자는 증거나 근거를 갖춘 주장이나 설명을 선호한다.

어떤 주장이 충분한 증거나 근거를 갖추고 있는지 등을 따져보기 위한 선별 기준을 마련하는 교수법의 설계

[조건 2] 비판적 사고 능력의 소유자는 타인의 주장이나 설명뿐만이 아니라 자신의 주장이나 설명에 대해서도 비판적 태도를 견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자신이 추구하는 세계 이해 혹은 이념뿐만 아니라 다른 이가 추구하는 것에 대해서도 열린 태도가 요청된다.

다른 이의 관점뿐만 아니라 자신의 것에 대해서도 비판적일 수 있는 태도를 길러주기 위한 교수법의 설계

 

[조건 1]과 관련된 비판적 사고 진영은 ‘약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in the weak sense)’를 지지하는 쪽으로, [조건 2]와 관련된 비판적 사고 진영은 ‘강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in the strong sense)’를 지지하는 쪽으로 불린다(Richard, P., 1982). 약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와 강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가 목적의 측면에서 상보적 관계를 맺을 수 있다면, 두 진영을 둘러싼 갈등은 수단을 마련하기 위한 실제 교수법의 내용에 기인한 것이다. 이를 보기 위해 각 진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을 구체화해 보자.

 

 

(1) 약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

 

[조건 1]과 [조건 2]를 충족하기 위한 각각의 수단은 구체적인 교수법 설계를 위한 기준과 훈련 과정으로 구성된다. 약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 교수법의 기준과 훈련 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보면 다음과 같다.

 

<기준들>

• 표현의 유의미성

• 글이나 주장의 명확성

• 글이나 주장의 완결성

• 증거나 근거의 충분성

• 글이나 주장의 논리성

• 여러 주장이나 관점의 통합성

 

<훈련 과정>

• 표현의 중의성, 모호성, 인지적 표현 및 정서적 표현 등을 구분하고 명확한 정의를 내리는 것

• 결론과 전제를 구분하거나 주장이 합당하기 위해 필요한 가정 등을 찾아내는 것

• 판단을 위한 정보나 단서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것

• 연역 혹은 귀납 논증을 평가하는 것

• 형식적 혹은 내용적 오류를 찾아내는 것

• 과학적 설명과 인과 추리를 평가하는 것

• 과학적 이론을 평가하는 것

• 가설 연역 설명 모형과 최적 설명의 추론을 구체적 사례에 적용해 보는 것

 

약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 교수법 기준들은 어떤 글이나 주장에서 인지적 의미(cognitive meaning)와 정서적 의미(emotional meaning)를 구분하고, 그 글이나 주장의 명확성, 완결성, 충분성, 논리성 등을 평가하는 것과 관련된다. 불행히도 그 훈련 과정은 표현의 유의미성, 글이나 주장을 평가하는 데 필요한 능력을 키워줄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되지 않았다. 훈련 과정이 글이나 주장에 대한 평가를 논리학의 어떤 기법이나 규칙을 적용한 결과로 오인하도록 구성되고 만 것이다. 약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 훈련 과정이 이러한 방식으로 대학 학제에 자리 잡게 된 시기는 198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캘리포니아 주립대 총장인 덤케는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 능력을 고양시킬 목적으로 학제 개편을 강조했다(Dumke, S.G., 1980). 비판적 사고 능력을 자극시키기 위한 기준들은 지식을 평가하고 사용하는 데 충분치는 않아도 필요한 것이다. 그런 기준들을 충족하는 실제 훈련 과정을 탄탄한 교수법으로 승화시켜야지만, [조건 1]을 충족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된다.

 

덤케는 진술을 전제로 하여 확실하거나 그럴듯한 결론을 이끌어내는 추론 및 추리 과정을 ‘비판적 사고’로 여겼다. 그러한 진술은 암묵지와 같은 것이 아니라 명확한 지식만을 함축한 것이 되어야 한다. 비판적 사고에 관한 덤케의 아이디어에는 다른 세계 이해나 이념에 대해 열려 있는 태도와 같은 것이 강조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약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가 갖춰야 할 [조건 1]에 국한된다. 하지만 이로부터 약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 기준에 부합하는 훈련 과정이 덤케가 제안한 방식으로 구성될 필연적 이유는 없다.

 

덤케는 일상 언어와 형식 논리의 관계에 대한 전통적인 관점 속에서 비판적 사고에 필요한 합리적 능력을 이해했다. 사회적, 문화적 역동성에 의해 얻어지는 내용이나, 생리적 제한 속에 얻어지는 경험적 내용은 추론과 추리를 하기 위한 단순한 입력이거나 방해물일 뿐 핵심이 될 수 없다고 여겼던 것이다. 추론과 추리의 핵심이 진리치의 계산 절차와 같은 형식으로 간주된 까닭에, 약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의 훈련 과정은 다양한 논리 체계들이 서로 구분되는 경계 조건(boundary condition)에 관심을 갖고 있는 논리학자나 수학자보다는 철학자들을 중심으로 설계되었다. 또 인지 발달 과정에 관심을 가진 심리학자들도 그 설계에서 배제되었다.

 

덤케의 제안이 현실화되면서 교양 과목의 확고한 위치를 차지했던 논리학 입문 과정은 ‘비판적 사고와 논리’로 대체되었다. 캘리포니아를 중심으로 벌어진 이러한 양상은 미국 전역으로 확대되었고, 이 땅에 상륙해 마치 세계 각 지역에 공통된 것인 양 인식하게 되었다. 그러나 고도의 추상화 능력의 산물인 형식 논리를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그것도 왜곡 없이 소개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또 언어와 세계의 의미론적 관계 및 논리학의 성격 자체를 놓고 다양한 관점을 띠는 철학자들이 동의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 훈련 과정 교수법을 마련하는 것 자체가 힘든 작업이다. 게다가 논리학의 기본 과정이라 할 수 있는 2치 진술 및 술어 논리를 제대로 학생들에게 이해시키려면, 그 논리가 어떤 전통의 역사적 산물인가라는 물음을 다루지는 못하더라도 그 안에 깔린 논리․철학적 관점도 알려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2치 진술 및 술어 논리가 적용 가능한 범위 설정에 대한 동의를 학생들로부터 얻어낼 수 없을 뿐더러, 학생들도 그 적용 범위에 둔감해진다. 결국, 2치 논리 체계가 다른 논리 체계와 구분 되는 경계 조건들은 무시된 채 그 안에 담긴 일련의 평가 기법들만 교재로 편찬되었고, 20세기 과학철학을 지배했던 몇몇 관점과 함께 ‘과학적인 것과 과학적이지 않은 것’을 구분하는 방법 등이 덧붙여졌다. 이러한 식으로 구성된 약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 훈련 과정은 일명 ‘베이비 로직(baby logic)’이라 불리기도 한다(Black, J.A., 1991). 국내에 번역되거나 소개된 비판적 사고 교재나 훈련 과정은 주로 약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 관점에 근거하고 있다.

 

1주

애매모호한 의미와 명확한 의미의 구분

2주

연역 논증의 타당성과 건전성

3주

진술 논리와 진리표

4주

술어 논리 입문

5주

오류론

6주

귀납 논리와 확률

7주

가설 추리 논증 및 최적 설명의 추론

8주

과학적 설명

 

- 베이비 로직의 전형적인 학습 과정의 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