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K 비판적 사고/GCTC 퀴즈, 단문, 중문 추론

GCTC 퀴즈: 외연과 내연(Extension & Intension)

착한왕 이상하 2011. 12. 27. 19:40

* 정보학원 고 1, 2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다음 토론 자료를 개발자 이상하의 허락 없이 변형하여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금합니다.

 

* Extension & Intension(외연과 내연) 

 

A rather large and especially useful portion of our active vocabularies is taken up by general terms, words or phrases that stand for whole groups of individual things sharing a common attribute. But there are two distinct ways of thinking about the meaning of any such term.

 

The extension of a general term is just the collection of individual things to which it is correctly applied. Thus, the extension of the word "chair" includes every chair that is (or ever has been or ever will be) in the world. The intension of a general term, on the other hand, is the set of features which are shared by everything to which it applies. Thus, the intension of the word "chair" is (something like) "a piece of furniture designed to be sat upon by one person at a time."

 

Clearly, these two kinds of meaning are closely interrelated. We usually suppose that the intension of a concept or term determines its extension, that we decide whether or not each newly-encountered piece of furniture belongs among the chairs by seeing whether or not it has the relevant features. Thus, as the intension of a general term increases, by specifying with greater detail those features that a thing must have in order for it to apply, the term's extension tends to decrease, since fewer items now qualify for its application. (출처: G. Kemerling's Phiosophypages.com)

   

[예제 1] 개, 고양이, 포유류의 관계를 외연의 측면에서 나타내 본다면? (개, 고양이, 포유류의 각 외연을 원으로 나타내자.)

 

 

   

[예제 2] 다음 도표에 근거하여 개, 고양이, 포유류의 관계를 내연 혹은 내포의 측면에서 나타내 본다면? (개, 고양이, 포유류의 각 내연을 원으로 나타내자.)

고양이

포유류

젖을 먹여 새끼를 양육하는 동물

개과 애완동물

주인에게 충성하는 기질을 가진 동물

젖을 먹여 새끼를 양육하는 동물

고양이과 애완동물

주인을 하인처럼 여기는 기질을 가진 동물

젖을 먹여 새끼를 양육하는 동물

 

 

   

[예제 3] 모든 모임이 집합은 아니다. 집합은 모임을 나타내는 수학적 개념이다. ‘... 개다’라는 술어를 ‘개(x)’로 나타내는 경우, 일반 명사 ‘개’의 외연은 집합 {x|개(x)}로 나타낼 수 있다. 이를 활용하여 개, 고양이, 포유류의 관계를 외연의 측면에서 나타내 본다면?

 

 

 

[예제 4] ㉠은 ‘내연과 외연의 비대칭성’으로 불린다. 이러한 비대칭성이 항상 성립하는 것은 아니다. 공집합(∅)을 외연으로 갖는 일반 명사들은 내연과 외연의 비대칭성을 만족하지 않는다. 이를 다음 두 일반 명사를 가지고 설명해 본다면?

 

• 도깨비, 괴물

 

 

   

[예제 5] 실재하지 않지만 실재하는 것처럼 어떤 존재를 가정하는 것을 ‘존재 도입’이라고 한다. 도깨비, 괴물 등에 존재 도입을 하면, 일반 명사 ‘도깨비’와 ‘괴물’도 내연과 외연의 비대칭성을 만족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이를 다음 구성 방식에 따라 논해 본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