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K 비판적 사고/GCTC 청소년 교육

GCTC 퀴즈: 중의성과 모호성(Ambiguity & Vagueness)

착한왕 이상하 2012. 1. 13. 01:59

* 다음 토론 자료를 개발자 이상하의 허락 없이 변형하여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금한다. (GK 비판적 사고 031-381-2282)

 

* 중의성과 모호성(Ambiguity and Vagueness)

 

Ambiguity

A sentence, concept, or thought having two or more possible meanings. Sensitivity to ambiguity and vagueness in writing and speech is essential to good thinking. A continual effort to be clear and precise in language usage is fundamental to skilled thinking. Ambiguity is a problem more of sentences than of individual words. Many sentences are clearly intended one way; any other construal is obviously absurd and not meant. For example, the phrase "make me a sandwich" is never seriously intended to request metamorphic change. For an example of a problematic ambiguity, consider the statement, "Welfare is corrupt." Among the possible meanings of this sentence are the following: 1) Those who administer welfare programs take bribes to administer welfare policy unfairly; 2) welfare policies are written in such a way that much of the money goes to people who don't deserve it rather than to those who do; 3) a government that gives money to people who haven't earned it corrupts both the giver and the recipient. If two people are arguing about whether or not welfare is corrupt, but interpret the claim differently, they can make little or no progress; they aren't arguing about the same point. Evidence and considerations relevant to one interpretation may be irrelevant to others. Therefore, before taking a position on an issue or arguing a point, it is essential to be clear about the issue at hand.

 

Vagueness

Not clearly, precisely, or definitely expressed or stated; not sharp, certain, or precise in thought, feeling, or expression. Vagueness of thought and expression is a major obstacle to the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We cannot begin to test our beliefs until we recognize clearly what they are. We cannot disagree with what someone says until we are clear about what they mean. We need much practice in transforming our vague thoughts into clear ones.

* 출처 Richard W. Paul & Linda Elder(2002), Critical Thinking: Tools for Taking Charge of Your Professional and Personal Life, Financial Times Prentice Hall.

 

 

1. <보기> 중 표현의 중의성으로 인해 논쟁이 발생한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

<보기>

 

(가) 철수. “어젯밤에 벼락과 같은 큰 소리가 났어. 분명히 집 앞에서 큰 추돌사고가 난 것 같아.”

영이. “무슨 소리야. 나는 아무 소리도 듣지 못했어. 요새 몸이 허약해져 환청을 들은 것 아니니?”

(나) 철수. “오늘 뉴스를 봤더니 정말 끔찍한 범죄 사건이 또 발생했더라. 매일 끔찍한 소식만 뉴스에 나오니, 이는 인간이 점점 그 착한 본성을 잃어가고 있다는 증거야.”

영이. “범죄 사건이 증가 추세인 것은 맞아. 그런데 그렇다고 세상이 말세가 되어간다고 주장할 수는 없어. 어차피 인간 본성은 끔찍한 것이야. 세상천지 어디에 인간 본성이 착하다는 증거가 있니?”

(다) 철수. “평소에 존경하던 교수님이 돌아가셨어. 정말 멋있는 분이었지. 하지만 죽음은 새로운 시작이야. 천당이든 극락이든 고인은 좋은 곳으로 가셨을 것이라고 확신해.”

영이. “나는 직접 뵌 적이 없지만 그 분을 멋지다고 하는 애들이 내 주변에도 많더라. 그 분을 모르니 그 분이 어떤 사람인지는 내가 알 수는 없지. 그러나 죽음은 생물학적 현상이야. 네가 애도한다고 바뀔 것은 아무것도 없어. 이것은 냉혹한 현실이야.”

(라) 철수. “요새 스포츠 스타는 돈을 너무 많이 버는 것 같아. 과연 그들이 우리에게 주는 것이 뭐야? 사람들은 즐거움이라고 하지. 하지만 우리가 그들에게서 얻는 즐거움이 그들의 수입만큼의 가치가 있는 것일까?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

영이. “너 요새 왜 이리 삐뚤어졌니? 네가 많이 벌지 못한다고 스포츠 스타들을 비아냥거리지는 마. 스포츠 스타들이 우리에게 주는 즐거움에 비해 많이 버는 것도 아니야. 툭하면 부상이 발생하지, 성적이 나쁘면 금방 대중들이 등을 돌리지. 사실 구단주들이야 말로 스포츠 스타들 덕에 돈방석에 앉은 사람들이라고.”

(마) 철수. “학교에서 본드를 흡입하다가 학생들이 선생님한테 걸렸데. 게네들은 환각제의 치명적 부작용이 무섭지도 않은가봐.”

영이. “내 참 어이가 없어서, 본드가 환각제니? 그것은 화공약품이야.

 

 

① (가), (나)             ② (가), (라), (마)    ③ (나), (다), (마)

④ (다), (라), (마)     ⑤ (다), (라)

 

2. 논쟁은 크게 ‘사실을 둘러싼 논쟁(factual dispute)’과 ‘표현을 둘러싼 논쟁(verbal dispute)’으로 나뉜다. 사실을 둘러싼 논쟁은 사실 확인 여부에 대한 의견 차이로 발생하는 논쟁을 뜻한다. 표현을 둘러싼 논쟁은 표현의 중의성이나 모호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논쟁을 뜻한다. 일상생활에서 벌어지는 대부분의 논쟁은 사실을 둘러싼 논쟁과 표현을 둘러싼 논쟁이 혼합된 형태를 따는 경우가 많다.

 

다음 각 논쟁이 사실을 둘러싼 논쟁, 표현을 둘러싼 논쟁, 혹은 그 둘이 혼합된 논쟁 중 무엇에 해당하는지 구분해 본다면?

 

(1)

영이: “우리 학교 도덕 선생님은 아이들을 폭력적으로 다뤄요. 한 번은 빗자루로 학생을 때렸어요. 청소를 열심히 하지 않았다는 것이 때린 이유랍니다. 또 쇠로 만들어진 줄자로 내 뺨을 갈겼어요. 숙제를 해오지 않은 것이 줄자로 내 뺨을 갈긴 이유랍니다.”

교감: “다 너희들을 위해서이야. 배우는 학생은 규칙을 존중하는 법을 배워야 해. 선생님이 너희들에게 빗자루와 줄자로 처벌을 가한 것은 더 너희들을 사랑하기 때문이란다.”

 

 

(2)

지혜: “어젯밤 도서실에서 아이팟을 잃어 버렸어. 그런데 절식이가 아이팟을 내 책상에서 들고 가는 것을 순자가 봤데. 나쁜 자식.”

혜진: “글세, 내가 아는 절식이는 그런 아이가 아니야. 절식이하고 순자가 사귄 것을 아직 모르고 있구나. 둘이 최근 헤어졌어. 내 생각에는 순자가 절식이를 골탕 먹이려고 모함하는 것 같아.”

 

 

(3)

잡식: “내일 ‘아트노이즈’의 공연이 있어. 정말 기대가 돼. 여러 잡음을 사용하는 그들은 최근 록 음악에 새바람을 불어 넣고 있어.”

순정: “나도 록 음악을 즐겨 듣지. 그런데 그들이 록 음악에 새바람을 불어 놓고 있다는 너의 평가는 받아들일 수 없어. 그들 방식의 연주 기법을 사용한 그룹은 이미 60년대에도 많았어.”

잡식: “그 정도는 나도 알고 있어. 그 전에 아무도 시도하지 않은 것을 해야지만 새바람을 불어 넣고 있다고 할 수 있니?”

 

3. 표현의 중의성이나 모호성으로 인해 논쟁이 발생하는 경우, 우선적으로 해야 하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