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K 비판적 사고/GCTC 청소년 교육

GCTC 에세이 쓰기: 저승사자의 고백

착한왕 이상하 2012. 3. 12. 01:56

* 다음 자료는 <저승사자의 고백: 아인슈타인-러셀 선언문>을 수정한 것이다. ‘아인슈타인-러셀 선언문을 읽고’라는 제목 아래 에세이를 써보는 과정에서 사용될 다음 자료를 저자 이상하의 허락 없이 사용하는 것을 금한다.

 

저는 저승사자입니다. 제 얘기 한 번 들어볼래요? 갑자기 지축이 흔들리면서 장부에도 없던 사자(死者)들이 염라국에 몰려왔습니다. 원자폭탄이라는 것이 일본에 떨어지면서 발생한 사건이었습니다. 염라대왕께서는 천리(天理)를 어긴 사건의 진상을 밝히라고 저에게 명령을 내리셨습니다. 조사 결과, 하나의 도식이 나왔습니다.

 

아인슈타인이 발견한 것 중에는 ‘E=mc2’이라는 유명한 공식이 있습니다. ‘E’는 에너지, ‘m’은 질량, 그리고 ‘c’는 빛의 속도를 의미합니다. 입자를 충돌시킬 때 작은 질량 결손이 발생합니다. 그러한 질량 결손에 해당하는 에너지는 실로 엄청난 것입니다. 그 결손 양에 빛의 속도를 제곱한 것을 생각해보시면, 왜 그런지 알 수 있습니다. 독일 카이저 빌헬름 연구소(Kaiser Wilhelm Institute)의 오토 한(O. Hahn)은 1938년 중성자와 우라늄 원자를 충돌시켜 우라늄을 쪼개는 데 성공합니다. 만약 그 쪼개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면, 정말 엄청난 양의 에너지를 얻어낼 수 있게 됩니다.

 

오토 한은 자신의 실험 성공 소식을 옛 동료인 마이트너(L. Meitner)에게 편지로 알렸습니다. 마이트너는 오토 프리쉬(O. Frish)와 함께 한의 실험 성공 소식을 네이처(Nature)에 보고했죠. 이를 본 헝거리 태생의 물리학자 유진 위그너(E.P. Wigner)와 레오 질라드(Leo Szilard)는 겁을 먹게 됩니다. 그들은 히틀러가 오토 한의 실험을 개선시켜 가공할만한 대량 학살 무기, 곧 원자폭탄을 만드는 계획을 세울 것이라고 여긴 것이죠. 그리고 그러한 계획에 대한 정보도 입수되었습니다.

 

질라드는 미국도 히틀러에 대항해 원자폭탄 개발에 착수해야 한다고 정치권을 설득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당시 대통령인 루즈벨트는 이에 대해 아무 반응도 하지 않았습니다. 질라드는 아인슈타인에게 협조를 부탁했습니다. 질라드와 아인슈타인은 루즈벨트에게 원폭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한 편지를 보냈습니다. 뒤이어 원자폭탄을 만들기 위한 ‘맨해튼 계획(Manhattan Project)’이 추진되었습니다. 미국은 독일보다 먼저 원자폭탄을 만드는 데 성공했고, 원폭 투하로 수십만 명의 일본인들이 죽게 된 것입니다.

 

저는 제가 만든 도식과 함께 대량 학살의 주원인 제공자로 아인슈타인을 지목했습니다. 제가 당시 장부를 그대로 염라대왕께 제출했더라면, 아인슈타인은 그 날로 지옥 불구덩이에 떨어졌을 것입니다. 그런데 한 가지 이상한 점이 발견되었습니다. 왜 아인슈타인은 맨해튼 계획 수행 과정에서 정부로부터 부름을 받지 못했을까? 저는 이 물음이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장부를 염라대왕께 제출할 수는 없었답니다. 사람의 목숨이 달린 일이니, 그만큼 신중해야만 했으니까요. 그렇지 않다면, 인명(人命)은 재천(在天)이라는 말이 무의미해집니다.

 

알고 봤더니, 아인슈타인은 미연방수사국 FBI의 감시를 받고 있었습니다. 그가 공산주의 계열의 평화주의자들과도 서슴없이 결탁을 한다는 것이 그 이유였습니다. 상황이 이렇게 되고 보니, 저는 아인슈타인에 대해 좀 더 조사를 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여러 신문, 잡지 기사, 인터뷰를 뒤진 결과, 몇 가지 중요한 단서들이 나왔습니다. 아인슈타인은 원자폭탄이 당시 기술 수준으로서는 실현 가능하다고 여기지 않았습니다. ‘E=mc2’라는 공식에는 그 가능성만 함축만 되어 있을 뿐, 그 공식을 직접 응용해 원자폭탄을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니니까요. 또 하나 중요한 단서는 루즈벨트가 맨해튼 계획을 추진하게 된 결정적 동기는 1941년 일본의 진주만 기습 공격에 기인했다는 것입니다. 진주만 공습 이후, 맨해튼 계획 추진 승인이 바로 떨어졌습니다.

 

저의 도식은 결국 사건 발생의 ‘........(가)........’를 충분히 나타내지는 못하는 것이었습니다. 그것은 단지 사건 발생의 ‘........(나)........’만 나타낸 것에 불과합니다. 저는 장부에서 도식과 함께 아인슈타인의 이름을 지웠고, 대신에 히틀러를 적었습니다. 도식을 지운 이유가 있습니다. 사실 저희 염라대왕은 도식을 제대로 이해할 정도로 머리가 좋은 분이 아니니까요. 다만, 당시를 회고해볼 때 제가 실수한 것이 하나 있습니다. 제 2차 세계대전을 일으킨 일본이 주변 국가에 진심으로 사죄하지 않는 작태를 볼 때 히틀러와 함께 일본 천황 이름도 장부에 적었어야 마땅했습니다. 제 실수로 사람들이 인과응보(因果應報)라는 것을 더욱 믿지 않게 될까봐 걱정됩니다.

 

 

15. 아인슈타인이 ‘E=mc2’에 함축된 사실을 발견했다고 해서, 이것이 원자폭탄 탄생에 대한 필요조건이라고 할 수 없는 이유는? (저승사자의 고백에 국한해 답하라.)

 

 

16. 아인슈타인이 ‘E=mc2’에 함축된 사실을 발견했다고 해서, 이것이 원자폭탄 탄생에 필연적 원인이라고 할 수 없는 이유는? (저승사자의 고백에 국한해 답하라.)

 

 

17. 저승사자의 고백에서 빈칸 ‘........(가)........’, ‘........(나).......’에 들어가야 하는 것은?

① (가: 인과관계, 나: 시간적 순서)

② (가: 필요조건, 나: 충분조건)

③ (가: 필연적 원인, 나: 결정적 원인)

④ (가: 인과관계, 나: 필연적 원인)

⑤ (가: 시간적 순서, 나: 필요조건)

 

 

18. 다음은 위 글에 이어지는 저승사자의 고백이다. 다음 글을 읽고 아래 물음에 답해 본다면?

 

아인슈타인은 정말 평화주자가 맞긴 맞는 모양입니다. 국가 간 무기 경쟁을 통해 힘의 균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무기 경쟁은 세계 평화에 필수적이라고 말하는 정치가도 많습니다. 반면에 아인슈타인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군대가 존재하는 한, 그 어떤 심각한 갈등도 전쟁으로 비화할 수 있다. 국가의 군비 확장에 능동적으로 저항하지 않는 평화주의는 무기력하며 무기력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능동적 평화주의(Active Pacificism)」)

 

능동적 평화주의자라면 그가 자유주의자이든 공산주의자든 누구와도 결탁할 수 있다. 이것은 아인슈타인의 신념이었습니다. 그렇지 않았다면, 사회주의에 호감을 가진 그가 공산주의를 경멸한 철학자 러셀(B. Russell)과 함께 평화주의 선언문을 작성하지는 않았겠죠. 그 선언문은 ‘러셀-아인슈타인 선언문(Russell-Einstein Manifesto)’으로 불립니다. 막스 보른(M. Born), 브리지맨(Percy W. Bridgeman), 인펠트(L. Infeld), 졸리오-큐리(F. Joliot-Curie), 뮬러(H. Muller), 파울링(L. Pauling), 포웰(C.F. Powell), 로트블라트(J. Rotblat), 그리고 유가와 히데끼가 러셀-아인슈타인 선언문에 서명했습니다. 특이한 것은 러셀을 제외하고는 철학자나 여타 인문학자가 없다는 것입니다. 왜 그렇게 되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능동적 평화주의’를 믿느냐 구요? 미쳤어요? 저는 사람이 아니라 저승사자입니다. 저는 그런 것에 관심이 없어요. 하지만 제가 인간들에게 하고 싶은 말은 하나가 있습니다. 어떤 이념이 올바른지는 아무도 몰라요. 하지만 긍정적 가치를 지닌 모든 이념에 공통된 것은 평화의 상태가 전쟁의 상태보다 좋다는 것입니다. 평화를 실천하고자 하는 노력이 없다면, 평화는 공허한 이상일 뿐입니다.

 

 

[논제] 아인슈타인이 ‘E=mc2’에 함축된 사실을 발견했다고 해서, 이것이 원자폭탄 탄생에 필연적, 결정적 원인이라고 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인슈타인이 원자폭탄 탄생과 무관하다고 할 수 없는 이유는? 그리고 아인슈타인이 원자폭탄 탄생 과정과 유관하다고 해서, 그에게 함부로 도덕적 책임을 묻기 힘든 이유는? (그가 질라드와 함께 루즈벨트 대통령에게 원폭 개발을 해야 한다는 편지를 쓴 것이 과연 ‘능동적 평화주의’ 입장에 반하는 것인지를 따져 보자.)

 

앞서 아인슈타인과 질라드의 편지가 원자 폭탄 개발을 담당한 맨해튼 프로젝트에 어떤 식으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제 2차 세계 대전 이후, 아인슈타인과 러셀이 공조해 평화 선언문을 작성한 사실도 살펴보았다. 그런데 누군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아인슈타인은 평화주의자로 자처했다. 그는 ‘능동적 평화주의’라는 입장을 강조하면서 국가 간 군비 경쟁을 전쟁의 원인으로 간주했다. 하지만 그는 원자 폭탄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편지를 루즈벨트에게 보냄으로써 강대국 간 군비 경쟁을 자극했다. 그 결과, 수십만 명의 사람들이 원폭 추하로 인해 사망했다. 따라서 아인슈타인은 평화주의자로 자처했지만 실제로는 평화주의를 실천하지 않은 모순적 인간이었다."

저승사자의 고백과 관련된 토론을 다시 기억해 보자. 우리는 다음에 근거해 위 주장을 비판할 수 있다.

 

• 루즈벨트에게 보낸 아인슈타인의 편지가 원폭 개발 및 투하의 결정적 원인이라고 주장할 수 없다.

• 누가 보아도 명백한 악(惡)에 대해 맞서 싸우는 것은 능동적 평화주의자 입장에 반하지 않는다.

• 능동적 평화주의를 옹호한 아인슈타인의 입장은 ‘아인슈타인-러셀 선언문’에 잘 나타나 있다. 그 선언문은 미소 냉전 시기 군비 경쟁이 강화되던 시기에 작성되었다.

 

위 단서들에 근거한 반박을 ‘아인슈타인-러셀 선언문을 읽고’라는 제목 아래 하나의 에세이로 확장시켜볼 수 있다. 어떻게 하면 될까?

 

 

* ‘아인슈타인-러셀 선언문’의 탄생 과정과 현대적 의의에 대해서는 다음 글을 참조하라.

The Origin of Einstein-Russell Manifesto                                                          (http://www.pugwash.org/publication/phs/history9.pdf)

 

 

The Russell-Einstein Manifesto, July 9, 1955

In the tragic situation which confronts humanity, we feel that scientists should assemble in conference to appraise the perils that have arisen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to discuss a resolution in the spirit of the appended draft.

 

We are speaking on this occasion, not as members of this or that nation, continent, or creed, but as human beings, members of the species Man, whose continued existence is in doubt. The world is full of conflicts; and, overshadowing all minor conflicts, the titanic struggle between Communism and anti-Communism.

 

Almost everybody who is politically conscious has strong feelings about one or more of these issues; but we want you, if you can, to set aside such feelings and consider yourselves only as members of a biological species which has had a remarkable history, and whose disappearance none of us can desire.

 

We shall try to say no single word which should appeal to one group rather than to another. All, equally, are in peril, and, if the peril is understood, there is hope that they may collectively avert it.

 

We have to learn to think in a new way. We have to learn to ask ourselves, not what steps can be taken to give military victory to whatever group we prefer, for there no longer are such steps; the question we have to ask ourselves is: what steps can be taken to prevent a military contest of which the issue must be disastrous to all parties?

 

The general public, and even many men in position of authority, have not realized what would be involved in a war with nuclear bombs. The general public still thinks in terms of the obliteration of cities. It is understood that the new bombs are more powerful than the old, and that, while one A-bomb could obliterate Hiroshima, one H-bomb could obliterate the largest cities, such as London, New York, and Moscow.

 

No doubt in an H-bomb war great cities would be obliterated. But this is one of the minor disasters that would have to be faced. If everybody in London, New York, and Moscow were exterminated, the world might, in the course of a few centuries, recover from the blow. But we now know, especially since the Bikini test, that nuclear bombs can gradually spread destruction over a very much wider area than had been supposed.

 

It is stated on very good authority that a bomb can now be manufactured which will be 2,500 times as powerful as that which destroyed Hiroshima. Such a bomb, if exploded near the ground or under water, sends radioactive particles into the upper air. They sink gradually and reach the surface of the earth in the form of a deadly dust or rain. It was this dust which infected the Japanese fishermen and their catch of fish.

 

No one knows how widely such lethal radioactive particles might be diffused, but the best authorities are unanimous in saying that a war with H-bombs might quite possibly put an end to the human race. It is feared that if many H-bombs are used there will be universal death—-sudden only for a minority, but for the majority a slow torture of disease and disintegration.

 

Many warnings have been uttered by eminent men of science and by authorities in military strategy. None of them will say that the worst results are certain. What they do say, is that these results are possible, and no one can be sure that they will not be realized. We have not yet found that the views of experts on this question depend in any degree upon their politics or prejudices. They depend only, so far as our researches have revealed, upon the extent of the particular expert’'s knowledge. We have found that the men who know most are the most gloomy.

 

Here, then, is the problem which we present to you, stark and dreadful and inescapable: Shall we put an end to the human race; or shall mankind renounce war? People will not face this alternative because it is so difficult to abolish war.

 

The abolition of war will demand distasteful limitations of national sovereignty. But what perhaps impedes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more than anything else is that the term “"mankind”" feels vague and abstract. People scarcely realize in imagination that the danger is to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and their grandchildren, and not only to a dimly apprehended humanity. They can scarcely bring themselves to grasp that they, individually, and those whom they love are in imminent danger of perishing agonizingly. And so they hope that perhaps war may be allowed to continue provided modern weapons are prohibited.

 

This hope is illusory. Whatever agreements not to use H-bombs had been reached in time of peace, they would no longer be considered binding in time of war, and both sides would set to work to manufacture H-bombs as soon as war broke out, for, if one side manufactured the bombs and the other did not, the side that manufactured them would inevitably be victorious.

 

Although an agreement to renounce nuclear weapons as part of a general reduction of armaments would not afford an ultimate solution, it would serve certain important purposes. First: any agreement between East and West is to the good in so far as it tends to diminish tension. Second, the abolition of thermonuclear weapons, if each side believed that the other had carried it out sincerely, would lessen the fear of a sudden attack in the style of Pearl Harbour, which at present keeps both sides in a state of nervous apprehension. We should therefore welcome such an agreement, though only as a first step.

 

Most of us are not neutral in feeling, but, as human beings, we have to remember that, if the issues between East and West are to be decided in any manner that can give any possible satisfaction to anybody, whether Communist or anti-Communist, whether Asian or European or American, whether White or Black, then these issues must not be decided by war. We should wish this to be understood, both in the East and in the West.

 

There lies before us, if we choose, continual progress in happiness, knowledge, and wisdom. Shall we, instead, choose death, because we cannot forget our quarrels? We appeal as human beings to human beings: Remember your humanity, and forget the rest. If you can do so, the way lies open to a new Paradise; if you cannot, there lies before you the risk of universal dea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