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나키즘
‘아나키즘(anarchism)’은 ‘무정부주의’로 번역되곤 한다. ‘무정부주의’는 ‘질서가 부재한 혼란 상태’를 뜻하는 까닭에, 아나키즘은 부정적으로 평가되곤 한다. 그러나 ‘지배자 없음(no ruler)’을 뜻하는 그리스어 ‘anarkhia’에 어원을 둔 ‘아나키즘’을 ‘무정부주의’로 번역한 것은 적절하지 않다. 아나키즘이 사회적 질서, 사회 체제 등을 무조건 부정하는 정치론은 아니기 때문이다. 아나키즘은 단지 국가 권력에 귀속된 정부 형태를 부정한다. 특히 소수 직업 정치가 집단에 의해 구성되는 정부 형태를 부정한다. 대부분 아나키스트는 국가 권력의 합법화가 그러한 소수 정치 엘리트 집단 주도의 정부 형태를 산출할 수밖에 없다고 본다. 따라서 ‘아나키즘’에 대한 바람직한 번역은 ‘무국가주의’와 같은 것이 되어야 한다.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3218065794
아나키즘
‘아나키즘(anarchism)’은 ‘무정부주의’로 번역되곤 한다. ‘무정부주의’는 ‘질서가 부재한 혼란 상태...
blog.naver.com
* 2010년 1월 31에 올린 글을 약간 수정한 것. 아나키즘에 담긴 '인간의 합리적 능력에 대한 지나친 낙관주의' 등의 문제는 이 글에서는 빼버렸음.
'과학과 철학 에세이 > 진보의 시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울로 프레이리의 ‘억압받는 자들의 교육’ 1 (0) | 2016.08.13 |
---|---|
대의 민주주의 (0) | 2016.07.29 |
<세속화 '저기'와 '여기'> 머리말 완성본 (0) | 2016.04.25 |
선거와 중간층의 성격: ‘더민주당’ 체크 박스 (0) | 2016.03.01 |
고대 그리스 직접 민주주의: 정치가들이 없는 정치 (0) | 2016.0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