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과 철학 에세이/착한왕의 개념 사전 72

벤담, 법적 처벌과 결과론적 사고방식

쾌락의 종류 차이는 인정하되 질적 차이에 따른 우열 구분을 인정하지 않은 벤담의 입장은 한편으로는 그의 온건한 평등주의에 전제되어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그의 결과론적 사고방식과도 연결된다. 이 점은 법적 처벌(punitive punishment)에 관한 그의 입장을 살펴볼 때 분명해진다. 벤담에게 처벌 그 자체는 악이다. 앞서 논했듯이, 고통 회피 쾌락 증진을 자연적 성향으로 인정한다고 해서 행복을 반드시 고통 부재 및 쾌락 우위 상태로 규정해야 할 논리적 이유는 없다. 그렇게 규정하는 쾌락주의 사고방식에서 쾌락은 그 자체로 선한 것으로서 합리적 행위의 목적이자 동시에 결과이다. 쾌락이 그 자체로 선하다면, 행위의 동기를 가지고 선과 악을 구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선과 악의 구분은 벤담에게는 다수의 ..

벤담, 온건한 평등주의

자유주의 전통에서 평등주의의 역사적 흐름을 이해하려고 할 때, 다음 두 가지 입장을 살펴보는 것이 효과적이다. ​ (i) 만인은 도덕적, 법적 지위에서 평등하다. (ii) 소득, 능력, 분배와 관련된 불평등은 해소되어야 한다. ​ (i)에 근거해 동일 국가 내 시민들에 대한 인종적, 성적 차별은 논리적으로 금지된다. 이러한 점에서 (i)은 보편적 인권 개념의 사회적 확산에 기여한 입장이다. (i)은 또한 선택의 자유가 만인에게 보장되어야 한다는 관점을 정착시켰으며, 기회균등의 원칙은 자유주의 정의의 원칙을 대표한다. 선택의 자유와 복지의 관계에 대한 낙관적 입장과 비관적 입장이 교차하는 과정에서 (ii)의 입장도 평등주의 논쟁에서 주목받았다. 그러한 교차 과정은 부의 불평등으로 인한 계층 갈등이 계급 갈..

벤담, 쾌락과 행복, 합리적 계산의 7가지 요소들

행복이란 무엇인가? 도덕적으로 올바른 선택 및 행위란 어떤 것인가? 행복의 규정 방식, 합리적 계산자로서의 개인, 공리주의와 복지의 관계 등과 뒤얽혀 있는 이 두 물음은 이기주의의 분류법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쉽게 답해 볼 수 있다. 벤담에게 행복은 고통 부재 및 쾌락 우위의 상태이다. 의 내용에 국한하는 경우, 행복을 과정보다는 심리 상태로 규정한 벤담의 이유는 단순하다.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은 고통을 회피하고 쾌락을 증진시키려는 자연적 성향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2879690043 벤담, 쾌락과 행복, 합리적 계산의 7가지 요소들 행복이란 무엇인가? 도덕적으로 올바른 선택 및 행위란 어떤 것인가? 행복의 규정 방식..

홉스 행복론

극심한 종교 갈등기의 폐해를 몸소 체험한 홉스는 갈등의 원인을 진단하고 그 무엇보다 평화로운 사회 상태를 갈망했던 인물이다. 평화 상태에 대비된 자연 상태는 그에게 원죄나 원초적 악에서 기인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다양한 욕구들의 집단적 조정에 실패한 상태이다. 평화 상태는 일정 부분 자유의 제한 속에서 다수가 행복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합의가 이루어진 정치 공동체의 상태이다. 홉스에게 삶은 끊임없이 운동 중인 물질에 비유 가능하는 것이며, 행복은 특정 심리 상태가 아니라 끊임없는 욕구 충족 과정 그 자체이다. 홉스의 정치적 공동체는 개인들이 정서, 특히 공포심과의 공조 속에서 합리적 판단 능력을 발휘해 자연 상태를 극복한 ‘인공적 구성물’이며, 개인은 정치적 공동체의 물질적 토대이자 동시에 구성자이다. ..

스콜라 철학

스콜라 철학은 보이티우스와 아우구스티누스의 작업에 반영되어 있는 변증법적 방법의 재발견과 함께 11세기에 시작된 것으로 거론된다. ‘합리적 이해를 추구하는 신앙(fides quaerens intellectum)’이라는 안셀무스(Anselmus)의 문구에서 보듯이, 스콜라 철학자들은 맹목적인 신앙을 강조하지 않는다. 신의 본질은 인간 마음으로는 알 수 없다는 부정 신학(negative theology)이 12세기 아벨라르 이후 대세가 되기 전, 이성에 대한 신앙의 우월성이 강조되었다. 신학과 이성을 중재하겠다는 부정 신학의 전통 속에서 아퀴나스를 거쳐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과 결합한 기독교적 세계 이해 방식이 생성되었다. 뒤이어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을 바탕으로 그러한 결합 가능성을 약화시키거나 부정하려는 인..

고대 행복론의 지성적 관점

행복의 지성적 관점 - 아리스토텔레스, 아우구스티누스, 세네카, 보이티우스 - 현세 행복에 대한 아퀴나스의 부정적 견해를 명확히 하려면, 유사하면서도 미묘한 차이를 보이는 행복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 아우구스티누스, 세네카, 보이티우스의 입장들을 되새김해 볼 필요가 있다. 그들 모두 행복한 삶을 지성적인 것으로, 즉 합리적 판단 능력의 발휘 없이는 불가능한 것으로, 그리고 도덕적인 것으로 전제하는 사고방식의 전통에 충실했던 인물들이다. 또한 진정한 행복을 인간 이상의 신적인 것을 기준으로 논했던 인물들이다. 이 점을 에피쿠로스의 무신론적 입장에서 냉소적으로 평가한다면, 그들의 행복은 신적인 것이라는 허상 속의 열망이 불러일으킨 착각에 불과하다. 행복을 논하는 데 진정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하고, ..

치유의 두 가지 접근법

* 이 글은 다음 글에 이어지는 내용이다.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2345800786 스토아 사상의 덕 체계 제논(Zenon), 클레안테스(Cleanthes), 크리시포스(Chrysippus) 등에 의해 학풍이 마련된 스토아 사상에 ... blog.naver.com 치유라는 것은 정상적인 것과 비정상적인 것의 구분을 필요로 하며, 치유의 규정 방식도 그 구분에 의존적이다. 여기서 치유에 대한 두 가지 규정 방식을 생각해 볼 수 있다. • 첫째, 정상적인 것을 정의하고, 그러한 정의에 따라 비정상적인 것을 ‘정상적인 것의 결여’로 간주한다. 이때 치유는 정상적인 것의 복원을 목적으로 한다. • 둘째, 정상적인 것을 정의하지는 않는다. 정상적인 것은 그저 비정상적인..

아리스토텔레스 이론지와 실천지의 구분

은 하나의 내용적 정합성을 구성하고 있는가? 총 10권으로 구성된 이 책은 여러 상반된 내용을 함축한 부분들 때문에, 그것들에 대한 일관된 해석은 힘들다. 1권~9권의 내용은 ‘사회 유지의 관점’에서 이론지와 실천지의 공조 관계를 강조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그런데 여기에 제 10권의 내용을 더해 ‘진정한 행복의 관점’에서 책 전체를 조망하는 경우, 오로지 이론지를 추구하는 철학자의 삶만이 진정으로 행복한 삶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다시 말해, 은 사회 유지와 진정한 행복 중 어느 관점에서 접근하는가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는 여지를 갖고 있다. 이를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의 이중성’이라고 하자. 그 이중성을 알려면, 그의 ‘지성적 덕’을 파헤쳐 보는 것은 필수적이다. 글 보기 -> htt..

평등주의(Egalitarianism), 짧은 버젼

자유주의 전통에서 평등주의(egalitarianism)의 역사적 흐름을 이해하려고 할 때, 다음 두 가지 입장을 살펴보는 것이 효과적이다. (i) 만인은 도덕적, 법적 지위에서 평등하다. (ii) 소득, 능력, 분배와 관련된 불평등은 해소되어야 한다.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2885582518 벤담, 온건한 평등주의 자유주의 전통에서 평등주의의 역사적 흐름을 이해하려고 할 때, 다음 두 가지 입장을 살펴보는 것이 효과...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