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과 철학 에세이 1095

비행기 폭발 인과 도식, 고민해 볼 문제

이 글은 버드 스트라이크로 몰고 가기에는 ...>에 이어지는 글이다. 이번 제주 항공 폭발 사건을 두고 사건과 직간접적으로 맞물린 집단은 책임 회피에 몰두하고 있다. 벌써부터 보험금, 합의금 얘기가 나오고 있다. 정말 버드 스트라이크가 이번 사건의 결정적 원인이라면, 그 인과 관계 도식 형태는 어떤 것이어야 할까? [버드 스트라이크 -> 한쪽 엔진 이상 -> 다른 쪽 엔진 이상 -> 동체 착륙 -> 랜딩 기어 미작동 -> 기체 꼬리만 남기고 비행기 몸체 폭발]과 같아야 한다. 이러한 단순한 인과 도식에 동의할 항공 전문가는 없다. 있다면 사기꾼이다. 그런 단순한 인과 도식이 성립하도록 비행기를 설계하고 만들지 않기 때문이다.​많은 의문점을 남긴 이번 사건에 대해 그나마 그럴듯한 인과 도식 하나는 다음과 ..

버드 스트라이크로 몰고 가기에는 ...

버드 스트라이크(bird strike), 새나 새 떼가 비행 물체와 충돌하는 현상을 일컫는다. 버드 스트라이크가 자주 발생하는 편이라, 버드 스트라이크로 인한 피해 및 방지 비용은 전 세계적으로 약 12억 달러라고 한다. 비행기나 공항 설계는 버드 스트라이크를 고려한 방식이다. 또 공항 주변 새 떼를 쫓고, 새떼 이동을 돌리거나 피하는 방법도 많이 개발되었다. 1시간 비행 당 버드 스트라이크로 사망할 확률은 10억분의 1이라고 한다. 그 10억 분의 1은 2002년도 자료 것이니, 지금은 더 낮을 것이다.​미 연방항공국 FAA에 따르면, 1988년부터 지금까지 약 200명이 버드 스트라이크로 사망했다고 한다. 동체 착륙 중 180여 명의 목숨을 앗아간 이번 제주 항공 사건의 결정적 원인이 정말 버드 스트..

테레사 노체, 행복의 기차

‘칠드런스 트레인(Il Treno dei Bambini/ The Children’s train)’, 2024년 하반기에 개봉된 크리스티나 코멘치니 감독의 이탈리아 영화이다. 영화는 동명 소설을 각색한 것이라고 한다. 내용은 허구이나, 소설과 영화의 소재는 실제 사건에 바탕을 두고 있다. 제 2차 대전 직후 이탈리아는 남북이 갈라질 정도로 극심한 분열 상황에 처했다. 상대적으로 낙후된 남부 지역은 2차 대전 중 공습으로 초토화된 상태였다. 가난한 아이들은 맨발로 거리를 활보하며 넝마주이로 가족의 생존에 도움을 주어야 했다. 영양실조에 걸린 아이들에게 학교는 꿈과 같은 곳이었다. 이탈리아 공산당과 여성 노동조합은 문화적 교류를 통한 통합을 목적으로 한 계획을 실천했다. 중북부 지역 가족들이 남부 지역 가난한..

헌법 기관으로서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장점과 문제점

대부분 민주제 국가에는 선거를 관리하는 중앙 선거 관리 기구가 있다. 우리나라에는 상설 독립 기관으로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있다. 민주주의 실험 역사가 상대적으로 더 긴 미국이나 유럽 국가 중 그러한 상설 독립 기관으로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를 둔 곳은 없다. 정부가 선거 관리를 하거나, 분산형 체제 속에서 일정 부분 독립성을 부여받은 정부 기관이 선거 관리를 하거나, 아니면 집단 감독 권한 체제 아래 정부가 선거 관리를 한다. 우리나라처럼 상설 독립 기관으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같은 것을 운영하는 국가들은 하나같이 과거 독재 및 부정 선거 경험을 가진 곳들이다. 하지만 그러한 국가 중 중앙 선거 관리 기구를 헌법 기관으로 인정한 곳은 극소수이다. 내가 알기로는 우리나라, 인도, 필리핀, 엘살바도르 정도일 것..

사르카즘, 나쁜 것을 암시하는 좋은 것

2024년 12일 9일, 전남대 철학과 P 교수의 사르카즘 혹은 사캐즘(Sarcasm) 사건이 있었다. 20-30대 남성 집회 참가율이 저조하다면서 P는 어느 팟캐스트에서 “20대, 30대 남성들에게 알려주고 싶은 정보가 있다. 여자분들이 집회에 많이 나온다”라고 말했다. P의 말은 20-30대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들도 조롱하는 뉘앙스를 담고 있어 곧 구설수에 올랐다. 그러자 P는 자신의 발언이 ‘철학적 풍자’라면서 ‘사르카즘’을 운운했다. 의미있는 풍자는 사물이나 현상을 다른 방식으로 보도록 해 주다. 그가 운운한 사르카즘은 그런 풍자가 아니라 비아냥거림이다. 철학 교수라 그런지 고상한 단어들을 사용하던데, 나 같이 실력이 뒤처진 사람이 어찌 P를 함부로 비판할 수 있겠는가. 다만 나도 학위는 갖고 있..

혼란기 주식 투자, 개인 판단

지지율 떨어지면 툭하면 튀어나와 자유 민주주의, 종북 세력 운운하던 윤쟁앙은 비상 계엄을 선포하는 바람에 스스로 찢재명이 심어놓은 간첩 꼴이 되고 말았다. 더불어 탄핵당의 횡포가 현행 법제 틀에서 위법은 아니기 때문에, 그것을 심각한 내란으로 규정하여 계엄권을 행사하는 것은 법적 정당성이 없다. 이렇든 저렇든, 윤쟁앙은 직에서 물러나면 강제적으로 건강관리 잘 해 주는 곳으로 들어가야 한다. 지금부터 약 6개월 간은 어차피 혼란기다. 찢죄명의 줄줄이 재판 최종 판결은 6월 전에는 끝내야 하는 상황이다. 찢죄명은 어떻게 하든 최종 공판 전에 대선을 치루도록 전투력을 동원할 것이며, 국짐은 최종 공판이 나올 때까지 버티려고 할 것이다.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

시리아 내전 2024

한때 외신을 장식한 문구는 ‘아랍의 봄’이었다. 아랍 국가들 민중의 민주화 운동을 뜻하는 아랍의 봄 중심지 한 곳은 시리아(Syria)였다. 2011년 10월 7일 바르샤 알 아사드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민중 봉기가 일어났다. 바르샤 알 아사드는 제 5대 대통령 하페즈 알 아사드의 아들로 아버지의 권력을 이어받아 지금까지 시리아의 정권을 차지하고 있는 독재자이다. 시리아는 이슬람의 여러 종파와 민족이 뒤섞여있다. 언제든지 혼란이 벌어질 수 있는 곳이다. 아사드는 세속주의를 내세워 종파 및 민족 간 통합을 표면에 내세웠지만, 그 세속주의는 자신에게 반기를 드는 세력을 억압하는 정치적 수단이기도 했다. 시리아의 민중 봉기는 내전으로 이어졌다. 시리아에 내전이 터지자, 주변국과 미국 및 러시아가 개입했다...

시험의 공정성에도 정도의 차이가 있다고?

어느 대학에서 논술 시험이 있었다. 여러 시험 장소에서 논술 시험이 진행되었다. 감독관의 어이없는 실수로 A 시험 장소의 학생들은 다른 장소 학생들보다 1시간 먼저 시험 문제지를 받았다. 감독관은 자신이 착각한 사실을 알자, 시험 문제지를 회수했다. 학생들과 학부모들은 시험의 공정성이 훼손되었다면서 소송을 제기했다. 1심 판결은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주장을 수용하는 방식으로 나왔다. 그러나 2심 판결은 그 반대로 나왔다. 어느 대학인지는 명시하지 않아도 다 알 것이다.​A 시험 장소 학생들의 평균 점수는 15.72, 다른 시험 장소 학생들의 평균 점수는 15.57이라고 한다. 논술 시험에서 0.15 차이가 얼마나 유의미한 것인지는 따져보아야 할 사항이다. 판사는 그 차이가 유의미한 것이 아니라면서 ‘시험의..

푸바2000 DSD 컨버터

네이버 푸바 공유 폴더에 푸바2000 DSD 컨버터(foobar2000 DSD Converter)를 새로 올렸습니다. 푸바 사용하면서 SACD-ISO가 2채널과 5이상 채널을 함께 포함하고 있는 경우, 2채널만 개별 DSD(dff, dsf)파일들로 추출 변환할 때 유용합니다. 다른 flac, mp3 등은 기존 풀바 컨버터를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 컨버터 사용 방식을 따르면 됩니다. ​SACD-ISO 파일에서 dff, dsf 파일 추출 성능은 iso2dsd_PC_v7나 EZ-CD Audio Converter와 비슷합니다. EZ-CD Audio Coverter처럼 볼룸 평준화, 페이드 등 DSP 기능은 가지고 있지 않으나, 그 DSP 기능은 사실 불필요한 것입니다. 푸바2000 DSD 컨버터는 파일 및 ..

빅터 호스리, 신경외과의 학제적 정착

구조와 기능의 상호 제한 관계 중 외과술은 구조가 기능을 제한하는 방식의 지식에 더욱 의존적이다. 특정 구조의 기관을 제거하거나 일부 변형해도, 해당 기능은 일정 부분 유지되는가? 특정 구조 기관의 변형 중 어떤 것이 해당 기능을 심각히 방해하는가? 기능을 비정상적으로 만드는 구조 변형의 원인은 무엇인가? 이러한 물음들은 구조가 기능을 제한하는 방식과 관련되어 있다. 구조가 기능을 제한하는 방식의 지식 축적 없이는 외과술의 학제적 정착, 즉 의대 내 특정 분과 지위를 확보하고 의료 행위로 공인받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점은 학제적으로 정착한 현대 외과 분과들이 19세기 생리학의 발달에 바탕을 두고 있음을 보여 준다. 또한 외과술을 생리학사에서 분리할 수 없는 이유를 보여 준다.​그러나 외과술을 단순하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