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 신화와 자연의 역사 3. 성서 대 자연, 그리고 매개 개념 (수정)
(3) 성서 대 자연, 그리고 매개 개념 성서에서 신의 섭리를 찾든, 자연에서 신의 섭리를 찾든, 그 섭리는 신의 속성으로 여겨지는 전지전능함, 충만성, 통일성과 같은 것과 관련을 맺게 된다. 이 때문에, 신의 섭리를 성서에서 찾아보려는 입장과 자연에서 찾아보려는 입장이 서로 양립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다만 그 두 입장의 공조 관계는 다음의 경우에 깨어지게 된다. • 성서를 은유의 체계로 여기지 않고 글자 그대로 믿는 경우 • 성서의 은유 체계를 적대시 하는 경우 첫 번째 경우를 자세히 살펴보자. 성서의 창세기를 글자 그대로 믿는 사람은 인류의 역사가 자연의 역사에 포함된다는 주장은 받아들이지 않는다. 또 그는 창세기의 논리적 비정합성도 무조건 거부하려 든다. 그는 인간이 신에 의해 특별히 창조된 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