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과 철학 에세이/과학, 기술, 사회 75

토마스 워클리의 랜싯

* 다음은 나의 개인 원고 의 부록으로 사용할 의 일부이다. 이곳에 적합한 내용일 수 있어 해당 부분만 올린다. 우리나라 의대 교육을 보면, 환자의 고통을 체험해 보는 간병 과정과 같은 것은 누락되어 있다. 특히 큰 병원의 시스템은 물건 찍는 공장처럼 돌아가는 측면이 강하며, 환자의 알 권리는 여전히 무시당하고 있다. 이런 문제를 바꾸려는 워클리와 같은 의사는 거의 없다.  토마스 워클리의 란셋 토마스 워클리(T. Wakley, 1795-1862)는 오늘날 종양학, 신경병 및 감염병 분야에서 권위를 갖고 있는 의학 학술지 (The Lancet)>의 창시자이다. 데번 지역 부농의 아들로 태어난 워클리는 1815년 런던으로 건너가 거이와 세인트 토마스 병원에서 의학을 공부했다. 그 병원은 낭만주의 시인 존 ..

독감 백신 무용론과 찬성론

* 2009년 독감 백신 접종 후 기면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핀란드에 늘어났다. 호주에서는 열성 경련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독감 백신이 원인인지는 밝혀낼 수 없었지만, 두 국가 질병 관리본부는 독감 백신 접종을 일정 기간 유보시켰다. 그러자 기면증과 열성 경련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사라졌고, 이후 새로운 백신으로 독감에 대처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백신 접종 후 며칠 만에 사망한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음에도, 질본은 백신과 사망 사이에 인과적 연관성이 없다는 이유를 들어 무선적 샘플링에 근거한 백신 조사조차 하지 않고 있다. 한심하게도 이 문제를 정확히 다룬 신문 기사나 칼럼도 없다. 독감 백신 무용론과 찬성론 디프테리아, 결핵, 파상풍 등에 대해서는 백신 접종이 필수적이라는 데 모든 의학자와 생..

우연과 발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과학 대중서 번역서 중에 로버트 케이브 저 이라는 책이 있더라. 이 책에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박테리아 발견사가 소개되어 있는데, 뭔가 결정적인 연결고리가 빠져 있다. 그 결정적인 연결고리는 무엇인가? 2005년 로빈 워렌(Robin Warren)과 베리 마샬(Barry Marshall)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가 위궤양을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임을 밝혀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는 돼지, 기니피그 등에서는 위궤양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그러니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가 위궤양을 일으킬 수 있다는 가설을 사실로 입증하려면, 사람을 대상으로 실험을 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그런 실험은 윤리적 문제로 인해 허용될 수 없다. 그래서 마샬이 직접 자신을 실험 대상으로 삼았던 것이다. 책은 마샬을 중심으로..

엄마의 작은 도우미, 신경 안정제

* 이 글은 주식창을 보면서 인터넷 라디오 듣던 중 롤링 스톤즈의 ‘Mother’s little helper’가 나와 즉흥적으로 작성한 글이다. 왠지 이 나라 사람들 일부라도 알면 좋을 내용일 것 같다는 느낌이 갑자기 들어서이다. 엄마의 작은 도우미, 신경 안정제 ‘엄마의 작은 도우미(Mother’s Little Helper)’, 롤링 스톤즈(The Rolling Stones)의 1966 앨범 Aftermath에 수록된 곡이다. 롤링 스톤즈의 키스 리차드와 믹 재거가 만든 이 곡 내용은 대충 이렇다. 세상은 너무 많이 변했다면서 한탄하는 엄마, 오늘도 아빠를 위해 스테이크를 준비하지만 행복할 수 없어 결국 찾는 것은 노란 알약! 일단 롤링 스톤즈의 곡을 듣고 이야기를 이어가자. 글 보기 -> https:..

감염병 대유행과 정치 3. 독일, 이탈리아, 한국(작성 중)

독일 메르켈 수상의 지지율 상승을 봉인 효과와 연관시켜 분석하려면, 먼저 독일 국민들의 일반적 투표 성향을 알 필요가 있다. 독일의 총선 투표율은 기괴할 정도로 높다. 보통 80% 이상은 나온다. ‘기괴하다’는 표현을 쓴 이유는 한 국가의 민주적 역량 평가에서 개인적으로 투표율을 큰 변수로 보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총선 투표율이 70%대로 추락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 기존 거대 정당의 득표율은 상대적으로 축소되고 군소 및 새로운 정당의 약진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독일의 이러한 투표 성향은 일면 부러운 것이기도 하다. 투표율이 70%대로 하락하면, 기민당과 사민당으로 대표되는 거대 정당들은 인적 구성 및 정책의 측면에서 일종의 ‘체질개선’에 들어간다. 메르켈도 기민당의 그러한 체질개선 과정을..

감염병 대유행과 정치 2. 사전투표 조작 의혹 논란(PI와 SI 구분하기)

그런데 이번 총선을 놓고 사전투표 조작설을 둘러싼 잡음이 굉장히 소란스럽다. 부정 투표 정황을 통계적으로 추적하는 방법은 사례별로 다른 경우가 많은 데다가 상당히 복잡하기 때문에, 그것을 다루는 것 역시 상당히 긴 분량의 글을 요구한다. 그러한 글을 작성하는 데 에너지를 투자하는 것은 나에게는 시간 낭비에 불과하다. 그래서 봉인 효과가 독일, 이탈리아, 우리나라에 어떤 식으로 나타났는지를 추정하기 앞서, 이번 총선 사전투표 의혹을 둘러싼 논쟁을 간략히 집고 넘어가자. 그 논쟁을 불러일으킨 핵심 이유는 다음과 같다. 핵심 이유 EG: 더불어 터진당 대 과거 통합당, 문어벙 대 황어벙을 대표하는 이번 총선에서 더불어 터진당의 압승에는 사전투표가 결정적 기여를 했다. 당일 투표 개표 결과에서 두 당의 득표율은..

감염병 대유행과 정치 1. B. 자이가르닉과 봉인 효과

현재 전 세계 각국은 코로나바이러스 19로 진통을 겪고 있다. 그런데 흥미로운 점이 있다. 각국 사회에 확진자가 발생하는 초기에는 각국 대통령이나 수상 등 정부 수장의 입지는 흔들린다. 하지만 확진자의 확산과 함께 사망자가 속출하는 상황에서 정부가 분주하게 움직이거나 확진자 감소 추세가 보이는 순간, 정부 수장들의 지지율은 바이러스 발생 전 그들의 정책과 무관하게 치솟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 현상을 어떻게 분석할 수 있을까? 일명 ‘자이가르닉 효과’를 확장 해석한 ‘봉인 효과’를 통해 이 물음에 대해 간략히 답하고, 향후 개한민국의 정치적 변동에 대한 개인적 입장을 밝히고자 한다. 감염병 대유행과 정치 - 봉인 효과 -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19..

흔들리는 스웨덴의 보편 복지 체계와 집단 면역 실험2. 스웨덴적 모델의 실재와 환영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1991451729 흔들리는 스웨덴의 보편 복지 체계와 집단 면역 실험: 스웨덴적 모델의 환영과 실재 * 다음은 2020년 4월 3일과 6일 다음 블로그에 올렸던 글이다. 입국 금지, 의료 기기 확보, 자국 내 감염병... blog.naver.com

흔들리는 스웨덴의 보편 복지 체계와 집단 면역 실험1. 개괄

흔들리는 스웨덴의 보편 복지 체계와 집단 면역 실험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1991451729 흔들리는 스웨덴의 보편 복지 체계와 집단 면역 실험: 스웨덴적 모델의 환영과 실재 * 다음은 2020년 4월 3일과 6일 다음 블로그에 올렸던 글이다. 입국 금지, 의료 기기 확보, 자국 내 감염병...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