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왕 356

파르메니데스의 제 3의 사람 논증 6. Why The Third Man?

6. 제 3의 사람 논증 TMA에 대한 현재 대세인 구성 방식과 블라스토스의 구성 방식을 비교해 보는 것은 플라톤의 지적 발달 과정을 추적하는 데 두 가지 접근법이 가능함을 분명히 해준다. 첫 번째 접근법은 ‘플라톤도 여느 다른 사람과 마찬가지로 지적 혼란 혹은 혼선에 빠질 수 있다고 가정하고 그의 저술들을 분석해 나가는 접근법’이다. 이러한 접근법은 블라스토스의 TMA 구성 방식에서 엿볼 수 있다. 블라스토스는 자신이 TMA에서 발견했다고 여기는 플라톤의 지적 혼선을 바탕으로 ‘플라톤의 지적 겸손함’을 강조한다. 하지만 전자가 후자에 대한 근거로는 너무나 불충분하다. 그럼에도 첫 번째 접근 방식을 받아들이면, 플라톤의 저술을 대할 때 그에게서 정합적 형상론을 찾아내야 한다는 강박 관념에서 벗어날 수 있..

파르메니데스의 제 3의 사람 논증 4. Predicates pros heauto vs. ta alla

4. 소크라테스나 플라톤은 당연히 TMA를 피해 나갈 수 있다고 여겼을 것이다. TAM는 그들의 형상론을 반박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기 때문이다. 이때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 플라톤은 TMA를 피해 나갈 수 있다고 여겼다. 그런데 그는 에서 TMA를 피해 나갈 수 있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았다. 그가 생각한 방법은 무엇이었을까? 위 문제를 ‘TMA 문제’라고 하자. 앞서 살펴본 현재의 TMA 구성 방식을 고려할 때, 그 해결 방법은 논리적으로 다음과 같다. • TMA의 무한 후퇴 논증은 OM, SP, NI에 근거하고 있다. 무한 후퇴가 발생하지 않도록 OM, SP, NI 모두 혹은 적어도 하나를 부정 혹은 수정하거나, 적절히 재해석하는 것이다. 이때 OM과 U는 더 이상 모순 관계를 맺..

공산주의(Communism)

공산주의(Communism) 1. 공산 체제는 일반적으로 집단적 생산 및 결과의 공평한 분배를 통해 유지되는 '계급 없는 사회 상태'를 뜻한다. 이때 국가 권력을 대리하는 소수 직업 정치가들로 구성된 정부 형태가 전제되는 것은 아니다. 이 점은 많은 원시 공동체가 그러한 정부 형태 부재의 사회였다는 인류학적 연구에 의해 뒷받침된다. 정치론으로서의 공산주의는 정책 수립 및 시장 경제에서의 강한 통제권을 가진 중앙 정당, 즉 공산당을 인정한다. 따라서 공산주의는 공산당에 의한 공산 체제를 실현하고 유지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 및 실천 방법을 다루는 정치론이라고 할 수 있다. 공산주의의 이러한 성격 때문에, 공산주의에 대한 상반된 평가가 존재한다. 첫째, 계급 구조의 사회에서 피지배자 계층 사람들에게 공산주의..

자연스러운 의심의 사용: 셰익스피어의 언어

자연스러운 의심의 사용 - 셰익스피어의 언어 - 1. ‘자연스러운 의심’이란 무엇일까? 이 질문에 답하는 가장 쉬운 방식은 ‘부자연스러운 의심’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이다. 어떤 믿음이 일상적 공감대에 부합함에도 그것을 의심하는 경우는 부자연스러운 것으로 여겨진다. 역동적 심리 구조체로 일상적 공감대를 규정하는 나의 방식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여기서 ‘부자연스러운 의심’은 그저 ‘누구나 당연시 하는 믿음에 대해 의심하는 것’ 정도로 간주하면 된다. 이때 ‘당연시 한다는 것’은 주변 환경 변화와 무관하게 ‘고정 불변한 것’을 뜻하지 않는다. ‘인간은 두 팔을 가지고 있다’는 믿음이 당연한 것에서 의심스러운 것으로 변하기는 거의 불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이 점이 그 믿음을 주변 환경 변화와 무관하게 ..

엘리트 이론(Theory of Elites)

민주주의와 공산주의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걸쳐 활발하게 논의되었다. 민주주의와 공산주의 모두 이상적으로는 정치적 권력의 평등한 분배를 지향하는 이론이다. 정치적 권력의 평등한 분배는 정치 체제 기능의 평가에서 중요하지만, 현실적으로 도달하기 힘든 목적이다. 이러한 한계 속에서 민주주의는 그 어떤 경우에도 독재를 허용하지 않는 반면, 공산주의는 무산 계급 독재, 즉 프롤레타리아 혁명 후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필수 불가결한 단계로 허용하는 정치론이다. 시장의 역할, 자본의 사용과 분배 문제를 놓고서도 민주주의와 공산주의는 차이를 보인다. 정부의 시장 개입 폭 여부를 놓고 자유 민주주의와 사회 민주주의의 입장은 다르지만, 둘 모두 기회의 평등은 보장해도 분배에서 결과의 평등까지 보장하지는 않는다. 공..

지능과 문화: 실험 심리학의 개척자 앤 아나스타시(Anne Anastasi)

* 다음 자료를 저자 이상하의 허락 없이 변형하여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금한다. 다음 자료와 관련된 토론 문제들을 풀어보지 않고서는 아나스타시의 입장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란 힘들다. 오프라인 수업에서 활용될 토론 문제들은 올리지 않는다. 지능과 문화 - 실험 심리학의 개척자 앤 아나스타시(Anne Anastasi) - 1. 사람들은 능력의 측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그러한 개인 간 차이는 양적으로 측정 가능하다. 사회 문화적 요인을 완전히 제거한 상태에서 개인 간 차이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이러한 불가능성이 개인 간 차이의 양화 가능성 자체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능력의 측면에서 나타나는 개인 간 차이를 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면, 측정 결과로 나온 자료들을 비교함으로써..

나로호는 상업용 로켓?

나로호는 상업용 로켓? 강대국이 비행기 기술을 다른 나라에 이전할 때 가급적 은폐하는 부분이 있다. 바로 ‘허드’라 불리는 비행기 머리 부분이다. 그 부분에는 유도 및 제어와 관련된 각종 첨단 기술이 담겨 있다. 로켓 개발과 발사 실험을 통해서도 그러한 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나로호 개발 및 발사가 거액의 투자비에도 불구하고 긍정적 측면을 갖고 있다고 하자. 나로호 1차 실험 발사 실패에 대해서 다수의 시민들은 너그러운 태도로 반응했다. 복잡한 인공물을 개발하고 실험하는 것은 항상 실패할 가능성이 있음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나로호 1차 실험 발사 실패와 관련하여 반드시 집고 넘어 가야 하는 것이 있다. • 나로호는 실험용 로켓인가? 아니면 상업용 로켓인가? 나로호는 당연히 실험용 로..

순응의 두 종류

순응의 두 종류 사회 심리학자 레온 페스팅어(Leon Festinger, 1919~1981)는 ‘순응(conformity)’을 두 가지로 분류하였다. 그 하나는 ‘내재화(internalization)’이고, 다른 하나는 ‘굴종(compliance)’이다. 내재화는 개인이 믿는 바에 따라 선택 행위가 나타나는 경우를 일컫는다. 반면에 굴종은 자신이 믿는 바에 반하여 선택 행위가 나타나는 경우를 일컫는다. 이론적인 '내재화'와 '굴종' 개념을 일상적 용어로 대체시키는 경우, '믿음과 행동이 일치하는 순응'과 '믿음과 행동이 불일치하는 순응'이라는 용어를 택할 수 있다. 또 이렇게 함으로써 '굴종'에 함축된 부정적 이미지를 제거할 수 있다. '믿음과 행동이 일치하는 순응'과 '그렇지 않은 순응'의 구분을 도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