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K 비판적 사고 405

과학의 전문 직종화: 패러데이와 데이비의 관계

매년 크리마스 때가 되면 패러데이(M. Faraday)가 방송에 자주 나온다. 그의 유명한 크리스마스 과학 대중 강연 때문이다. 패러데이와 관련해 우리가 자주 듣게 되는 두 가지 주장이 있다. 첫째, 패러데이의 영특함을 알아채고 당시 유명한 화학자 데이비(H. Davy)가 패러데이를 실험 조교로 기용했다. 둘째, 패러데이가 스승보다 유명해지자, 데비는 질투심으로 패러데이와 적대적 관계를 맺게 된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해외 인터넷 사이트를 뒤져보면, 위와 같은 주장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방송에 나오는 과학 컬럼니스트라는 사람들도 그런 사이트를 참조해 방송에서 이렇다 저렇다 떠드는 경우가 많다. 위 두 주장은 분명히 나름의 역사적 증거들을 갖고 있다. 그런데 그 증거들을 지금의 관점이 아니라 당시의 관..

패러데이 <양초의 화학사> 아이들의 서평

* 다음은 패러데이의 를 함께 읽은 초등학생들이 쓴 서평들이다. 이 과정은 2010년 말에서 2011년 초까지 진행했다. 패러데이 서평 논문 2011년 3월 19일 민백초등학교 5학년 xxx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3161689910 양초 한 자루의 화학 역사 7. 서평 쓰기, 아이들의 서평 과정을 마치며 ... 는 패러데이의 크리스마스 대중 강의를 바탕으로 패러... blog.naver.com

바이오폴리틱스(Biopolitics)를 왜곡한 책 '생명정치란 무엇인가?'

최근 나온 &lt;생명정치란 무엇인가?&gt;라는 책을 보지는 않았다. 요새 나오는 책들 상당수가 논문 몇개 내용을 가독력을 높여 늘린 것에 불과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저자 람케의 논문 몇편 대충 훑어본사람이라면 출판사 서평만으로도 이 책의 내용을 알 수 있다. 이 책이 정통 바이오폴..

철학자들의 행복: 플라톤

플라톤 소크라테스에 따르면, 참된 지식에 근거한 성찰 없이는 진정한 행복은 불가능하다. 참된 지식을 얻으려고 노력하는 철학자만이 진정한 행복을 누릴 수 있다. 그런데 유한한 인간이 실제 누릴 수 있는 행복은 영원하지 않다. 더욱이 참된 지식을 얻으려고 한다고 얻는다는 보장도 없다. 이러한 사실은 철학자에게는 좌절감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렇다면 참다운 지식을 얻으려고 하는 것과 행복을 연관시키기 위해서 철학자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신적인 영역에 속한 ‘영원하고 제한 없는 행복’은 철학자도 획득할 수 없는 것임을 아는 것이다. 다시 말해, 신적인 것을 염원하고 모방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 점은 플라톤의 「필레보스(Philebus)」, 「향연(Symposium)」, 그리고 「국가(..

플라톤 읽기에 필요한 터커의 저서

플라톤의 행복론을 다룰 때 반드시 읽어야 할 것은 이다. 이 대화에서 필레보스는 멍청한 쾌락주의자로 등장한다. 다시 말해 쾌락 추구를 삶의 목적으로 삼는 인물로 등장한다. 그런데 이러한 필레보스의 모습은 고대 그리스 철학의 한 분파를 이루고 있는 쾌락주의자들의 본 모습은 아니다. 쾌락주의자들 역시 플라톤 만큼이나 행복을 얻기 위해 금욕적 생활을 강조한다. 아니 더 강하게 강조한다. 그렇다면 플라톤과 쾌락주의자들을 구분해 주는 것은 무엇인가? 이 물음에 대한 소박한 답은 나중에 올릴 을 참조하라. 은 원래는 의 부록으로 사용하려 했으나 마음을 바꾸었다. 은 나중에 수정 정리하여 별도의 책 로 낼 생각이다. 페이지 수가 고작해야 150쪽을 넘기지 못할 것이니 책값도 매우 저렴할 것이다. 어차피 관심 연구를 ..

문화, 생존 환경, 신체 구조와 표현법(실험판)

3.3. 표현 3.3.1. 문화, 생존 환경, 신체 구조와 표현법 3.3.2. 표현법과 절차, 표현법과 형식화 (이 작업에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 생략) 3.3.3. 보기들 (생략) 문화, 생존 환경, 신체 구조와 표현법 이 작업에서 ‘표현’이란 ‘기호들의 조합’, ‘직관적 표상들의 조합’ 혹은 ‘기호와 표상들의 조합’을 뜻합니다. 그러한 조합은 특정 대상을 나타내거나, 참 거짓의 판단 대상이 됩니다. 그러한 조합을 만들어 내는 사용법 속에서 기호들은 의미를 갖는 것이며, 특정 직관적 표상은 새로운 의미를 획득하기도 합니다. 먼저 다음 두 표현을 비교해 봅시다. (i)과 (ii)는 각각 1, 2, 3을 나타낸다고 합시다. 이러한 약속 아래 원, 섬, 점 등의 직관적 표상들은 원래의 의미에 더해 새로운 ..

온라인 시민의회 구성? 촛불을 깃발로 만들려는 기회주의적 발상

정치적 권력과 시민 계층을 매개하겠다는 발상은 '정치 영역과 시민 계층'의 이분법을 전제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대의 민주제와 직접 민주제를 섞는 방안 중 하나인 시민의회와 어울릴 수 없는 것이다. 온라인 시민의회 구성? 촛불을 깃발로 만들려는 기회주의적 발상 "방송인 김제동,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