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K 비판적 사고 405

종개념의 다양성

종개념의 다양성 종은 분류의 ‘최소 단위’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종은 존재론적 측면에서 개체에 의존적이지만, 분류에 있어서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로 취급된다. 개체의 분류는 종에 근거한다는 것이다. 종 실재론은 논쟁의 대상이지만, 즉 종이 정말 인간의 경험과 무관하게 존재하는 것인지는 논쟁의 대상이지만, 분류학적 작업에서 종개념의 필요성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없다.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2784987752 종개념의 다양성 종은 분류에 있어서 ‘최소 단위(basic unit)’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존재론적 측면에서 종은 개... blog.naver.com

외계인 납치(Alien Abduction) 가설

외계인 납치 가설 * 문화 산업의 부작용 또는 인간사의 희극 발명은 대부분 기업을 통해 사회에 확산된다. 그 과정에서 발명가가 큰 이득을 얻기도 하지만 다른 사람만 좋게 만드는 경우도 많다. 발명의 확산이 기업과 사회 양쪽에 득을 주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다. 특정 발명을 주도한 기업은 망하고 다른 기업을 통해 그 발명이 사회 전체에 득을 준 경우도 있다. 또 발명의 확산이 기업에게만 득을 주고 사회적 잡음만 발생시키고 끝나기도 한다. 고대인의 발명인 최면술이 현대 문화 산업과 결합함으로써 커다란 사회적 파장을 불러온 사건이 있다. 외계인에 의해 납치되었다고 믿는 부부가 최면술의 도움을 받아 당시 기억을 되찾았다는 일화가 알려지자, 그와 유사한 일을 당했다는 수십만 명의 사람들이 나타났다. ..

시계와 시계공의 은유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은 우주가 천상계와 지상계로 이분되어 있다는 관점에 결정적 타격을 가한 사건으로 거론된다. ‘코페르니쿠스의 혁명’으로 묘사되는 이 사건은 과거 전통이 붕괴되고 갑작스럽게 생겨난 것이 아니다. 코페르니쿠스 천문학과 어울릴 수 없는 것으로 여겨지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 철학이 신학과 양립 가능하기 힘들다는 의심은 14세기에 본격화된다. 아리스토텔레스주의를 수정하거나, 신학과 양립 가능한 새로운 자연 철학을 찾는 시도에서 여러 신 개념이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에서 생겨난 여러 입장들은 코페르니쿠스의 천문학이 기계론적 세계 이해 방식으로 이어지는 데 밑거름이 되었다. 그러한 입장 중 하나로 ‘임페투스 역학’을 들 수 있다. (임페투스 역학에 대해서는 다음을 참조: http://blog.dau..

논리적 집합

(5) 논리적 집합 논리적 집합을 살펴보기 위해 문제 하나를 풀어 봅시다. 다음 중 참 거짓 판단 가능한 진술은 무엇일까요? (1) 정수 x (2) 1+2 (3) 0<x<3 ( 4) 0<4<3 (5) 임의의 정수 x에 대해 ‘0<x<3’이 성립한다. (6) 어떤 정수 x에 대해 ‘0<x<3’가 성립한다. 답은 (4), (5), (6)입니다. (1)에서 x는 정수가 들어갈 변수라는 항입니다. 만약 x에 1을 집어넣어도, 참 거짓 판단 가능한 진술은 나오지 않습니다. (2)는 참 거짓 판단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 ‘개’라는 표현은 개들을 뜻할 뿐 참 거짓 판단 대상이 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 이유입니다. (3)을 말로 풀면, ‘x는 0보다 크고 3보다 작다’입니다. 혹은 ‘0과 x는 대소 관계 <를 만족..

집합의 단계적 구성 방식 (실험 버젼 1차 수정)

이 글에 이어지는 은 올릴 것이지만, , 는 생략. 이 글은 1차 실험 버젼임을 밝혀 둔다. (4) 단계적 구성 가능 집합 0으로 양의 모든 정수들을 구성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다음을 보죠. • 0′, (0′)′, ((0′)′)′, ... ‘′’는 순차적으로 0, 그 다음에 0′, 그리고 그 다음 다음에 (0′)′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위를 다음과 같이 표현해도 되겠죠. • 0′, 0′′, 0′′′, ... 0′를 1로, 0′′를 2로, 그리고 0′′′를 3으로 여길 수 있습니다. 칸토어의 단계적 구성 방식을 알아보기 위해 ‘′’를 빌립시다. 물론 이때 ‘′’는 위의 경우와 달리 집합에 적용되는 것입니다. • 공집합 { }에 대해 { }′는 {{ }}이다. 즉, ‘공집합을 원소로 갖는 집합’..

공집합의 시각적 의미와 원소 집어넣기 (3차 수정)

1.4. 개와 고양이의 내연적 관계 생략 1.5.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지만 논리적으로 가능한 것 생략 1.6. 개체란 생략 1.7. 개(x)와 {x|개(x)} (1) 두 집합의 같음 생략 (2) 두 집합의 다름 생략 (3) 공집합의 원래 의미와 원소 집어넣기 (4) 집합의 두 가지 구성 방식 블로그에 올릴 예정 (이 부분을 보아야 (3)이 좀 더 설득력을 갖게 되므로) 1.8. 내연과 외연의 비대칭성 생략 2. 원과 '{}'의 차이 (4가지 정도가 있는데 한 개 정도 올릴 예정) * 다음 글은 실험의 일종임을 밝혀둔다. 원과 {}의 유사성과 차이를 다루고, 관련된 여러 문제들을 해결한 후, 관련 수학 역사의 문헌들을 재정리한 후 수정 할 예정. (3) 공집합의 시각적 의미와 원소 집어넣기 집합론의 관계, ..

일본의 과학 기술과 민족주의

* 다음 글은 오래 생각하고 쓴 글이 아니다. 일본의 '과학 기술과 민족주의의 관계'에 대해 고민해 볼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즉석으로 쓴 것이기 때문에, 군데군데 엉성한 부분이 있을 것이다. 노벨상 과학상 수상 때마다 늘상 나오는 잡음 중 하나가 '기초 과학에 투자하라!'는 것이다. 그런데 신문 방송에 나오는 기초 과학이라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나는 모르겠다. 노벨상 수상자들이 주로 대학에서 나오니, 노벨상 수상자를 자주 배출하는 나라의 대학을 조사하면 마치 노벨상 수상 비결의 실마리가 잡히는 것처럼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 듯하다. '지속적인 노벨상 수상자 배출>'이라는 공식이 이 나라에 떠돌고 있는 듯하다. 아예 지역 대학별로 전공에 따른 노벨상 수상자들 전수조사까지 벌인 모양이다. 그..

논리학 퀴즈: 논리적으로 가능하다는 것

* 시중에 도는 국내외 논리학 입문서 및 비판적 사고 교재들의 내용을 고려할 때, 대학에서 해당 과목을 이수한 학생들도 다음 퀴즈를 풀기는 힘들 것이다. 아무튼 관심 있는 사람은 도전해 보시길 ... 다음은 포유류, 개, 푸들, 고양이, 순이, 왈도의 외연적 관계를 나타낸 그림입니다. 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