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K 비판적 사고 405

철학자들의 행복: 소크라테스

* ‘철학자들의 행복’은 나중에 수정하여 의 부록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행복에 대한 대부분 철학자들의 입장은 단순한 비판 대상이 아니라 냉소의 대상이 될 것이다. 그들의 입장은 소수 억압자의 행복을 정당화해 주기 때문인데, 이 점은 원고가 출판되면 보게 될 것이다. ‘철학자들의 행복’은 원고 내용과 무관하게 각 철학자의 입장을 500자에서 2000자 내외로 정리한 것들을 묶은 것이다. 소크라테스 삶은 누구에게나 갈등을 수반하는 문제의 연속이다. 누구나 한 번은 ‘문제가 없는 세상’을 꿈꾸게 마련이다. 그런데 그 세상을 가정하는 것은 실제 문제 해결에 아무런 단서도 제공해 주지 않는다. 문제가 없는 세상을 꿈꾸는 것을 포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그 세상을 포기하지 않는 사람은 그 세상을 가능하도록..

<곰브리치 세계사> 1장~6장 사고훈련

다음은 2010년도 아이들을 대상으로 만든 중 첫 부분이다. 를 읽은 청소년은 한 번 도전해 보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 것이다. 부모는 아이와 함께 책을 읽고 함께 풀어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이런 자료가 꽤 많은데, 는 충실한 답 해설을 달면 약 80쪽 분량이 나온다. 이런 종류의 자료들은 혹시 맥락구성훈련, 쓰기와 읽기와 관련된 책자를 출판하는 경우, 수정하여 구매자들에 한하여 전자책으로 배포할 것이다. 이런 종류의 자료들은 사실 문제보다는 답 해설이 더 중요하다. 글 보기 -> https://blog.naver.com/goodking_ct/222561492579 독서 프로그램: 곰브리치 세계사 * 다음은 2010년 김나솔과 공동으로 만든 워크북이라고 할 수 있다. 내가 진정으... blog.naver..

직관적 표상(실험판)

2.7. 기호, 직관적 표상, 표현 2.7.1. 기호 (생략) 2.7.2. 직관적 표상 (실험판 올림) 2.7.3 표현 (생략) 2,7.2. 직관적 표상 원은 어떤가요? 원반을 보면, 그 형태를 즉시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눈을 감고 원 모양을 떠올릴 수 있습니다. 원반은 우리 몸밖에 있는 대상이기 때문에 외부 대상으로 분류됩니다. 원반의 형태에서 떠올린 원은 대부분 머리 근처에 위치합니다. 많은 철학자들은 원을 마음속에서 떠올린다고 주장하지만, 이 주장을 받아들이기는 힘듭니다. 머리 근처에 아른거리는 원 모양은 원반과 달리 다른 사람에게는 인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사적 경험’ 속합니다. 원반은 그것을 보는 모든 사람에게 인식된다는 점에서 ‘공적 경험’에 속한다고 할 수 있겠죠. 또한 머리 근처에..

외연과 내연의 비대칭성: 집합론적 해석

2.6. 내연과 외연의 비대칭성 2.6.1. 외연 생략 2.6.2. 내연 1 생략 2.6.3. 내연 2 생략 2.6.4. 추상적이면서 보편적이지 않은 수들 생략 2.6.5 비대칭성 엄격한 분류에 따른 경우, ‘개’의 외연과 ‘포유류’의 외연을 비교해 봅시다. 후자의 외연이 전자의 외연보다 큼을 알 수 있습니다. 모든 개들은 포유류이기도 하니까요. 이를 논리적 집합들의 관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 {x|개(x)}⊊{x|포유류(x)} 그런데 ‘개’의 내연은 ‘포유류’의 내연보다 큽니다. 모든 개들은 포유류의 공통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개’의 내연이 ‘포유류’의 내연보다 크다는 것은 무엇을 뜻할까요? 개를 정의하거나 설명하려 할 때 포유류의 공통 특징을 거론해야 합니다. 개의 정의는 ‘개는..

투표의 역설2. 공간 이론(업데이트 버전)

투표의 역설 2 - 공간이론 - 1. 콩도르세 역설과 함께 투표의 역설로 많이 거론되는 것은 ‘다운스 역설(Downs paradox)’이다. 이 역설은 경제학자 앤서니 다운스(A. Downs)의 1957년 저작 에 등장한다. 다운스 역설에 함축된 ‘합리적 투표자’는 손익 계산을 근거로 투표권을 행사한다. 여기서 합리적 투표자는 고전 경제학의 ‘합리적 개인(rational individual)’을 뜻한다. 그 합리적 개인은 주어진 대안 중 자신에게 가장 좋은 결과를 계산하여 선택하는 행위자로 가정되었기 때문에, 고전 경제학의 합리성 개념은 ‘개인 중심의 합리성’ 개념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때 ‘개인’은 일상생활에서 ‘개인적’이라는 수식어에 함축된 ‘개성을 가진 존재’를 뜻하지 않는다. 그 ‘개인’은 합리적..

투표의 역설1. 애로우 가능성 정리(업데이트 버전)

투표의 역설 1 - 애로우의 가능성 정리 - 1. 게임 이론(game theory)의 관점에서 투표는 세 가지 구성 요소를 가진 게임의 일종으로 파악된다.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는 사람들, 투표 결과에 관한 투표자 개개인들의 선호 방식, 그리고 각 투표자에게 허용된 전략들이 그 세 가지 구성 요소들이다. 법 앞의 평등을 강조하는 간접 민주주의 정치 체제 국가에서 개개인에 허용되는 전략은 정부의 구성 방식에 의존적이다. 입법, 법의 시행, 법에 따른 심판과 해석을 담당하는 민주제 정부는 크게 의원내각제, 대통령제, 그리고 준 대통령제로 분류된다. 정부의 구성 방식에 따라 정치적 후보의 선거 전략 외에도 투표자 개개인에게 허용 가능한 전략의 범위가 법으로 규정된다. 이러한 규정의 차이는 투표 방식의 다양성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