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646

나로호는 상업용 로켓?

나로호는 상업용 로켓? 강대국이 비행기 기술을 다른 나라에 이전할 때 가급적 은폐하는 부분이 있다. 바로 ‘허드’라 불리는 비행기 머리 부분이다. 그 부분에는 유도 및 제어와 관련된 각종 첨단 기술이 담겨 있다. 로켓 개발과 발사 실험을 통해서도 그러한 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나로호 개발 및 발사가 거액의 투자비에도 불구하고 긍정적 측면을 갖고 있다고 하자. 나로호 1차 실험 발사 실패에 대해서 다수의 시민들은 너그러운 태도로 반응했다. 복잡한 인공물을 개발하고 실험하는 것은 항상 실패할 가능성이 있음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나로호 1차 실험 발사 실패와 관련하여 반드시 집고 넘어 가야 하는 것이 있다. • 나로호는 실험용 로켓인가? 아니면 상업용 로켓인가? 나로호는 당연히 실험용 로..

단절 개념과 종교 시장 논리의 맹점 (수정)

(3) 단절 개념과 종교 시장 논리의 맹점 세속화 과정을 부정하거나 사소한 사건으로 간주하는 종교 시장 논리는 와 라는 두 논증에 근거하고 있다. 그런데 와 를 받아들여도, 종교 시장 논리는 성립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 두 논증은 역사 읽기에서 ‘세속화 과정의 잘못된 규정 방식’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러한 잘못된 규정 방식은 근대 및 현대를 과거 전통과 단절된 것으로 보는 관점에 기인한 것이다. 따라서 종교 시장 논리가 성립하려면, 근대 및 현대가 ‘과거 전통의 매우 특별한 변형’이어야 한다. 그 변형은 ‘기독교 사상의 변형’ 혹은 ‘기독교 종말 사상의 세속화’와 같은 것이어야 한다. 이러한 종류의 변형이 역사적 근거를 결여한 것이라면, 종교 시장 논리는 성립할 수 없다. 이를 알기 위해 다음 물음..

순응의 두 종류

순응의 두 종류 사회 심리학자 레온 페스팅어(Leon Festinger, 1919~1981)는 ‘순응(conformity)’을 두 가지로 분류하였다. 그 하나는 ‘내재화(internalization)’이고, 다른 하나는 ‘굴종(compliance)’이다. 내재화는 개인이 믿는 바에 따라 선택 행위가 나타나는 경우를 일컫는다. 반면에 굴종은 자신이 믿는 바에 반하여 선택 행위가 나타나는 경우를 일컫는다. 이론적인 '내재화'와 '굴종' 개념을 일상적 용어로 대체시키는 경우, '믿음과 행동이 일치하는 순응'과 '믿음과 행동이 불일치하는 순응'이라는 용어를 택할 수 있다. 또 이렇게 함으로써 '굴종'에 함축된 부정적 이미지를 제거할 수 있다. '믿음과 행동이 일치하는 순응'과 '그렇지 않은 순응'의 구분을 도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