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내핵 가설 *심심한 분은 조카나 자식과 함께 풀어보십시오. (중 3 이상) ------------------------------------------------------- 현실적 제약을 제거하고 가정된 것을 추상적인 것이라 하며, 그러한 가정에 담긴 사고 과정을 ‘추상화(abstraction)’라 한다. 추상화라는 용어는 무엇을 뺀다는 ‘abstract’에 기원을 두고 있다. 추상.. GK 비판적 사고/GCTC 청소년 교육 2010.04.17
명탐정 셜록 홈스 * 아이가 있는 분은 아이와 함께 풀어보세요. ------------------------------------------------- 탐정소설의 대부를 들라면 의사였던 아더 코난도일을 빼먹을 수 없다. 명탐정 셜록 홈스는 그에 의해 탄생했다. 탐정은 설명되어야 할 무엇인가에 주목함으로써 문제를 만들며, 여러 단서에 근거해 문제를 해결해야 .. GK 비판적 사고/GCTC 청소년 교육 2010.04.16
스포츠센터는 어느 지점에? 심심한 분은 풀어보시길 ... ---------------------------------------------------- [물음 3] <보기>의 통계 조사 결과가 나온 이유를 추측하여 설명해 본다면? <보기> 두 도시 A와 B의 경계에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스포츠센터를 짓기로 결정했다. 시민들의 의견이 사전에 조사되었다. 도시 A의 인구수는 도.. GK 비판적 사고/GCTC 청소년 교육 2010.04.15
단칭 진술의 문제 단칭 진술의 문제 1. 과거 전통의 논리학, 곧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시작해 르네상스 시절까지 서양 지성사를 지배했던 논리학은 ‘항논리’(term logic)로 대표되곤 한다. 항논리에서 의미의 논리적 단위는 ‘보편적인 개념’(universal concept)이다. ‘개’, ‘사람’, ‘물고기’와 같은 개념들은 몸무게 몇 킬로그램의 구체적인 개체가 아니라 개들, 사람들, 물고기들을 나타낸다. 범주 삼단논법은 그러한 개념들이 나타내는 류(class) 사이의 관계를 따지는 항논리의 일종이며, 정언명제라고 불리는 것은 그러한 관계를 함축한 내용으로 이해해도 무방하다. 반면에 진술 및 술어논리로 대표되는 현대 논리학에서 의미의 논리적 단위는 진술이다. 전제에서 확실한 결론을 이끌어내는 연역 논증의 논리적 형태(lo.. 과학과 철학 에세이/인지와 경험 2010.04.14
현대적인 것 (수정) 현대적인 것 ‘현대적인 것’은 단순히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를 뜻하지 않는다. 그것은 과거의 시대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새로운 것 혹은 혁신적인 것을 뜻한다. 역사적 사건을 평가하는 방식은 어떤 관점을 취하는가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현대적인 것에 대한 규정 방식도 고정된 것은 아니다. 현대적인 것을 전통의 약화와 연관시킬 때 일제 강점기 이후를 현대의 출발점으로 잡을 수 있다. 만약 현대적인 것을 민주주의의 정착 과정과 연관시킬 때 해방 이후를 현대의 출발점으로 잡을 수 있다. 이 땅의 역사를 세계 역사 속에서 파악하는 경우, 현대적인 것을 규정하는 작업은 더욱 어려워진다. 당장 용어 ‘modern’을 ‘현대적’으로 번역해야 하는가, 아니면 ‘근대적’으로 번역해야 하는가라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런데 그.. 세속화와 민주주의 (봉인 해제)/세속화와 민주주의 2010.04.13
카진스키, 보수의 의미 제 2차 세계 대전 당시 스탈린의 비밀 경찰 조직은 카틴 지역에서 2만 명 이상의 폴란드인들을 학살했다. 그들 다수는 과학자, 의사, 역사학자, 정치가들이었다. 즉, 카틴 학살은 폴란드 엘리트 계층을 말살함으로써 러시아가 장기적으로 폴란드를 지배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었다. 최근 폴란드 대통령 카진스키가 카틴을 방문하기 위해 탄 비행기 추락 사건으로 사망했다. 국외 보도, 특히 미국 보도에 주로 의존하는 국내 신문 방송은 카진스키는 '우파 보수 정치인'이라는 사실을 크게 부각시켰다. 좌파와 우파의 구분은 자유주의와 사회주의의 구분 방식에 의존하는 측면이 크다. 하지만 '보수적', '진보적', '개혁적'이라는 수식어를 어느 정치가 앞에 붙이는 경우는 그 정치가가 속한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 좌우된다. 이.. 과학과 철학 에세이/잡세상 잡글 2010.04.11
EBS연계문제: 공감주술 (맛보기) * 다음은 EBS 연계 문제 맛보기 예시에 해당한다. EBS가 사용한 지문의 출처는 에드워드 윌슨의 <통섭>이다. 통섭은 19세기 물리학자 휘월이 사용한 개념이다. 가급적 이질적인 여러 현상을 통합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 가설을 선택하라는 것이 통섭의 원리이다. EBS가 사용한 윌슨의 원 지문을 보면, .. GK 비판적 사고/쓰레기 입시 논술, 면접, 수능언어 2010.04.11
EBS 퀴즈 * 1<2이고 2<3이면 1<3이다. 이때 1, 2, 3 사이에 성립하는 대소 관계는 '이행성 조건'을 만족하는 관계로 불린다. [퀴즈 1] 다음 중 이행성 조건을 만족하는 관계는? (1) 부자 관계 (2) 섹스 관계 (3) 모녀 관계 (4) 애인 관계 (5) 저작권 소유 관계 (A의 저작권은 B에 있고, B의 저작권은 C에 있다면, A의 저작.. GK 비판적 사고/쓰레기 입시 논술, 면접, 수능언어 2010.04.10
아인슈타인의 두뇌 아인슈타인의 두뇌 연구는 일종의 시간 낭비이다. 이를 받아들여도, 아인슈타인이 과학적 연구를 위해 두뇌를 기증한 동기가 ‘우생학의 관점’에 기인한 것이라는 ‘두뇌 연구가’의 주장을 받아들일 수 없다. 두뇌 연구가가 거론한 증거들은 역사적 사실이다. 하지만 그 증거들은 ‘두뇌 연구가’의 주장을 뒷받침하기에는 미약한 것이 아니라 부적합한 것이다. 다음 ‘두뇌 연구가’의 글을 읽고 왜 그런지 따져보는 시간을 갖는 것은 ‘합당한 주장’에 대한 의미를 되새겨보는 시간이기도 하다. 아인슈타인의 두뇌 두뇌 연구가: 아인슈타인은 자신의 두뇌를 과학적 연구에 사용하라고 유언을 남겼다. 어떤 이들은 이 사실을 가지고 과학에 대한 그의 열정을 찬미한다. 그런데 두뇌를 과학적 연구를 위해 기증한 아인슈타인의 진의는 다른 데 .. 과학과 철학 에세이/잡세상 잡글 2010.04.09
용어 규정 훈련 예시 * 논술을 준비하는 고등학생이든 리포트를 준비하는 대학생이든, 학생들의 글을 보면 문제 해결에 필요한 제시문의 핵심 부분 혹은 타겟을 찾은 경우에도 글이 명확하지 않다. 이에 대한 이유 중 하나로 학생들이 제시문에 등장하는 용어의 정의나 규정 방식을 간과한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제시문에 그런 규정이 드러나 있다고 해서 그것을 논술에서 빼먹게 된다면, 제 3자에게 글의 의미와 목적을 전달할 수 없다. 또 어떤 경우에는 특정 용어에 대한 규정 방식이나 정의가 그 용어와 관련된 입장이 아니라 다른 입장을 서술한 과정 속에 (간접적으로) 함축되어 있다. 이때 그 과정을 잘 파악하지 못하면 논술은 망치게 된다. 또한 서로 상반된 두 입장이 등장하는 제시문에서 한 입장의 핵심 용어에 대한 설명은 매우 압축적인 경.. 과학과 철학 에세이/잡세상 잡글 2010.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