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하 358

고대논술 수리 훈련용: 통계적 가설 테스트

* 다음 자료를 개발자 이상하의 허락 없이 변형하여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금합니다. * 통계적 가설 테스트 이해 및 고대 관련 논술 문제 얼핏 보면 아무런 공통점도 공유할 수 없어 보이는 판사의 판결 과정과 통계학자의 가설 테스트 과정을 비교해 보는 가운데, 통계적 가설 테..

구원의 의미: 고대 이집트인들의 사후 세계

구원의 의미 - 고대 이집트인들의 사후 세계 - 기원전 2700년 바빌론의 통치자 길가메쉬(Gilgamesh)의 이야기는 사후 세계에 대한 고대인들의 관심을 보여 준다. 영생의 비밀을 찾던 그는 죽음이란 피할 수 없는 인간의 운명이라는 신탁을 받게 된다. 사후 세계란 없다는 것이다. 사후 세계가 없다면, 사후 구원의 가능성도 없다. 죽음과 함께 모든 것이 끝나는 것이다. 선과 악, 공평함과 부당함, 현명함과 어리석음을 구분하고 전자를 추구하려는 노력도 죽음과 함께 덧없는 것이 되어 버릴 수 있다. (죽음은 삶을 허무한 것으로 만든다는 입장은 유대교를 이해할 때 필수적인 전도서 코헬렛(Qoheleth)에서 엿볼 수 있다. 코헬렛은 일반적으로 헬레니즘의 영향을 받은 고대 유대인들의 종교서로 규정된다. Gra..

한양대 2016년 모의 논술 분석

한양대 논술은 성대 등을 기준으로 한 ‘화제 및 논제 끌어다 두괄식 글 구성 하는 것’이 먹히지 않는 대표적 경우이다. 실례로 ‘제시문들의 공통 화제는 블라블라 ... 제시문 (가)와 (나)에는 ... 입장이 나와 있는 반면, 제시문 (다)와 (라)에는 블라블라 ...’ 식의 어설픈 두괄식 글 구성 답안은 탈락 1순위이다. 한양대 논술은 ‘근거를 갖춘 멋진 에세이 혹은 수필’을 쓰겠다는 태도로 임해야 한다. 왜 그런지를 2016년 한양대 인문계 모의 논술을 통해 살펴보자. 2016년 한양대 인문계 모의 논술 (가)의 내용을 근거로 (나)와(다)에 나타난 각각의 시간의 특성을 설명하고, (가) 지문의 밑줄 친 ㉠과 ㉡에 대해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서술하시오.( 1000자, 100점) (가) 에펠탑에 의해 ..

사이비 과학 속의 과학적 가설: 골상학

사이비 과학 속의 과학적 가설 - 골상학 - 이상하(철학 박사) 인간의 여러 능력은 ‘물질과 무관한 것으로 가정된 영혼이나 마음속의 어떤 작인(agent)과 같은 것’이 아니라 뇌 기능의 산물이며, 뇌는 어느 정도 서로 독립 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영역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뇌 기능 분담설은 오늘날 가설이 아니라 사실로 여겨진다. 물론 마음이라는 현상이 뇌의 기능으로 환원 설명 가능한지는 여전히 논쟁 중이다. 뇌 기능 분담설을 부인할 수 없게 만든 도구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장치 fMRI’이다. 언어 능력, 지능, 특정 감정 등과 관련된 뇌의 기능적 영역을 추적할 때 사용되는 fMRI는 신문 기사에도 자주 등장한다. 그러한 도구가 없었던 시절, 뇌 기능 분담설을 주장한 인물은 누구였을까? 오스트리아..

연대 논술 2014 공감: 지나치게 정답에 집착하지 말 것

* 연고대 논술의 경우 지나치게 모범 답안 혹은 정답에 연연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 성균관대 논술 문제는 여전히 ‘상반된 두 입장을 골라내는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반면에 연대 논술은 2012년부터 그런 방식으로 문제가 구성되어 있지 않다. 고대 논술은 작년부터 그런 방식에서 벗어..

정확도 대 효율성(2012 연대 논술)

* 간만에 논술 및 면접 맛배기 자료를 하나 올린다. 다음 문제는 논술 및 면접 양자에 사용되는 것이다. 실제 연대 논술(2012)의 논제는 이 개발 자료의 [문제 6]에 해당한다. 시중에 도는 해당 논제에 대한 해설은 부적절한 경우가 꽤 많다. 그러한 해설에는 평균합 등이 등장하는 데, 그런 것은 답안 작성에 방해물만 될 뿐 불필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당시 해당 논제에서 요구하는 것: - 일정 생산 공정에서 정확도를 유지하면서 효율을 올리는 법(길브레스 동작 연구에 함축) - 주어진 도표 자료에서는 정확도만 나타나 있음 - 그 도표에서 효율성을 이끌어내고, 정확도와 효율성이 항상 일치하는 것이 아님을 보임 - 경쟁률이 높은 회사에서 신입사원을 뽑는 경우, 1차 면접에서는 어느 정도 정확도 기준을 마련하..

Academic Info 18. 인지심리학실험 제안(범주삼단논법/필요충분조건)

* 아래는 <인간과 동물 4. 속성 존재론의 문제>와 간접적으로 관련된 것입니다. <실험 제안 1> 아이들을 대상으로 세 개의 범주 개념만으로 구성된 범주 삼단 논법을 가르쳐 줍니다. 쉽게 직관적으로 잘 가르쳐 주어야죠. 그리고 논증 타당성 평가에 동원되는 벤 다이어그램 기법을..

인간과 동물 4. 속성 존재론의 문제(철학자는 안 보는 것이 정신건강에 좋음)

개별적 대상들을 서술하는 방식이 반드시 주어와 술어의 문법적 구조를 전제하는 것은 아니다. 명사들로만 구성된 언어도 있기 때문이다. 우리말도 주어와 술어의 문법적 구분을 갖고 있는 언어이다. 하지만 우리말이 주어와 술어의 엄격한 논리적 구분을 갖고 있다고 그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 반면에 영어, 불어 등 인도유럽어족 대부분의 언어들은 그러한 논리적 구분을 갖고 있다. 주어와 술어의 문법적 구분이 아닌 엄격한 논리적 구분이란 무엇인가? 그러한 논리적 구분을 갖는 언어는 다음을 만족한다. (i) 엄격한 의미에서의 논리적 주어는 특정 개별적 대상을 지칭한다. (ii) 모든 개념 F는 논리적 술어 ‘x is F’, 즉 F(x)로 대체 가능하다. ‘x’는 개별적 대상을 지칭하는 임의의 논리적 주어를 나타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