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646

2.2. 갈등 원인의 진단: 경험 해석의 측면 (사례 2)

추리는 사고의 중요한 활동으로 여겨지지만, 그 둘의 관계는 최근에 와서야 경험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다(Rips, L.J. & Conrad, F.G., 1989). 사람들은 사고를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문제 해결 과정 자체로 이해하기도 한다. 이때 문제 해결을 위한 단서를 찾아내는 과정이 주로 추리 활동의 본질로 파악된다. 즉, 대상들의 분류와 관련된 개념화 과정은 추리를 하기 위한 전 단계, 추리는 문제 해결을 위한 핵심적인 사고 활동으로 이해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해 방식에 따르면, 사고는 모든 인지 활동을 종합한 것을 일컫는다. 반면에 사람들은 사고를 추리 활동을 하기 위한 능력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그 어떤 경우에나 추리는 사고의 중요한 활동이라는 상식이 경험적으로 뒷받침되는 셈이다. 추리와 ..

2.1. 갈등 원인의 진단: 경험 해석의 측면 (사례 1)

왼쪽 그림의 (A)는 잘 알려진 뮬러-라이어 착시(Mueller-Lyer illusion) 현상을 보여준다. 삼각형 모양의 끝이 선분 쪽으로 향한 선이 그냥 화살표 모양의 선분보다 길다고 사람들은 판단한다. 그러나 두 선의 실제 길이는 동일하다. 사람들은 엇비슷한 길이의 두 선이 엇비슷하게 보일 것이라고 믿는 경향을 갖고 있다. 하지만 뮬러-라이어 착시 현상은 그러한 믿음이 잘못되었음 보여준다. 원초적인 지각 경험에서조차 인간은 오판을 범하게끔 인지적으로 편향되어 있으며, 착시 현상 등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원초적인 지각 경험에서조차 인지적 편향에 자유롭지 않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더 이상 보이는 그대로, 듣는 그대로 과신하지 않게 되며, 또 비판적 사고 능력을 발휘하여 (B)와 같은 사고 실..

자연 신학 1. 페일리의 논증 방식

자연 신학 (1) 페일리의 논증 방식 페일리(W. Paley)는 19세기 자연 신학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자연 신학은 자연 속에서 신의 섭리를 찾아보려는 기독교의 전통에 서있다. 자연 신학 전통에서 신 존재를 이끌어내는 방식은 ‘존재론적 신 존재 증명법’으로 여겨질 수 없다. ‘존재론적 신 존재 증명법’에 따르면, 신 존재에 대한 의심은 논리적 모순이나 터무니없는 결과로 귀결된다. 따라서 신은 존재해야 한다는 것이다. 반면에 자연 신학의 대부로 불리는 17세기의 보일은 과학적 발견들 자체가 신 존재를 반영해준다고 여겼다. 자연 신학의 논증은 과학을 통해 신의 섭리가 자연에 깃들어 있음을 보이는 것이다. 자연에 깃든 신의 섭리를 옹호하는 방식은 시기별 과학에 의존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페일리의 자연 신..

이념 전쟁 2.3. 자연 선택 가설을 둘러싼 독단 3. 종교의 과학화

(2) 자연 선택 가설을 둘러싼 독단 3. 종교의 과학화 지적 설계자 가설로 무장한 세력은 자연 선택 가설의 설명 한계를 강조한다. 그들은 한 발 더 나아가 지적 설계자 가설도 생물학의 통합 원리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을 받아들이려면, 지적 설계자 가설도 과학적 가설로 여겨져야 한다. 그런데 지적 설계자 가설을 검증 및 반증 가능한 과학적 가설로 볼 수는 없다. 그들은 다음과 같은 입장을 들어 이러한 반박에 항변한다. • 자연 선택 가설이 생물학의 유일한 통합 원리라는 주장은 증거를 결여한 것이다. 그러한 주장은 우연적인 것에만 근거하여 생물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는 이념적 독단에 불과하다. 필연적인 것 없이는 생물 현상에 대한 충분한 설명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필연적인 것을 보장해주..

3.1 만세 운동: 기독교 대안론 비판

3.1 만세 운동 - 기독교 대안론 비판 - 사후 심판이나 사후 세계를 가정하는 것은 여러 문화에 걸쳐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그 가정이 구체화되는 방식, 즉 하나의 이야기나 이론 체계로 구체화되는 방식은 문화적 차이를 보이게 마련이다. 타인에 대한 배려를 권장하는 것이 불교와 기독교 양자에 걸쳐 나타나더라도, 불교의 자비와 기독교의 아가페적 사랑을 구별할 필요는 있다. 그런 것을 구별할 필요가 없다면, 불교와 기독교의 차이를 논하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 되기 때문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사후 심판이나 사후 세계를 가정하는 것이 여러 문화에 걸쳐 나타나더라도, 염라대왕이 무에서 유를 창조했다는 기독교의 신 개념과 동일한 것으로 여겨질 수 없다. 그렇게 여겨질 수 있다면, 기독교가 이 땅의 무속 신앙을..

씁쓸한 Dr. 하우스의 종말 ...

Dr. House 전 세계 최고 시청률을 기록한 티브이 시리즈! 병원 얘기라고는 하지만, Dr. House의 캐릭터로 유명해진 드라마. 나도 시즌 2까지 열광적으로 시청했던 드라마다. 이유는? 가족애, 협동, 인본주의, 인류애 ... 이 모든 것은 실재(reality)를 가리기 위한 선동 수단에 불과하며, 궁극적으로는 기존 질서 유지를 위한 세뇌 장치일 뿐이다. 가족애, 협동, 인본주의, 인류애가 없다면, 파멸, 불화, 개판사회, 증오만 남게 되는 것일까? Yes!라고 답하는 사람은 이미 세뇌된 것이다. 하우스에 열광했던 이유 중 하나는 이를 보여줬기 때문이다. 시즌 1, 2를 냉철하게 본 사람은 안다. 가족애, 협동, 인본주의, 인류애라는 세뇌 장치가 벗겨진 상황에서 하우스가 무조건 그런 세뇌 장치에 ..

2.0. 갈등 원인의 진단: 경험 해석의 측면

2. 갈등 원인의 진단: 경험 해석의 측면 약한 의미와 강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 두 진영을 둘러싼 갈등 원인을 구체적 훈련 과정의 설계에 초점을 맞춰 진단할 때 적어도 다음의 네 가지 측면에서 접근 가능하다. • 경험 해석의 측면 • 형식 절차 해석의 측면 • 일상적 영역과 전문적 영역의 관계 해석의 측면 • 개인 및 집단 평가 해석의 측면 어떠한 해석의 측면에서 접근하는가에 따라 비판적 사고의 두 진영 중 어느 쪽이 갈등의 책임을 져야 하는지가 달라진다. 경험 해석의 측면에서 접근할 때 약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 진영보다는 강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 진영이 갈등의 불씨가 된다. 반면에 형식 절차 해석의 측면에서 접근할 때에는 약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 진영이 우선적으로 갈등의 책임을 져야 한다. 일상적 영역..

1.2. 강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

(2) 강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 강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 훈련의 우선적인 목적은 타인의 입장은 물론 자신의 입장에 대해서도 비판적일 수 있는 열린 태도 혹은 마음가짐을 길러주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훈련 과정의 기준으로 열린 태도의 형성에 필요한 심리적 성향들이 거론된다. 강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 옹호자들은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자신이 믿는 것을 과신하는 성향을 갖고 있으며 권위에 약하다고 본다. 그들은 누구나 오판을 한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 열린 태도 형성에 필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까닭에, 자신이 확신한 것에 대해서도 의심해 볼 수 있게 해주는 훈련 과정이 강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에서 요청된다. 강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 교수법의 기준과 훈련 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내 보면 다음과 같다..

1.1 약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

1. 약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와 강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 비판적 사고 훈련 과정이 만족해야 할 두 조건은 교수법의 목적과 같은 것이다. 목적 달성은 현명한 수단을 요구한다. 이를 도식화해 보면 다음과 같다. 목적 수단 [조건 1] 비판적 사고 능력의 소유자는 증거나 근거를 갖춘 주장이나 설명을 선호한다. 어떤 주장이 충분한 증거나 근거를 갖추고 있는지 등을 따져보기 위한 선별 기준을 마련하는 교수법의 설계 [조건 2] 비판적 사고 능력의 소유자는 타인의 주장이나 설명뿐만이 아니라 자신의 주장이나 설명에 대해서도 비판적 태도를 견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자신이 추구하는 세계 이해 혹은 이념뿐만 아니라 다른 이가 추구하는 것에 대해서도 열린 태도가 요청된다. 다른 이의 관점뿐만 아니라 자신의 것에 ..